백과사전 상세 본문
성격 | 악기, 북 |
---|---|
유형 | 유물 |
크기 | 북통의 지름 일곱치, 북통의 높이 7푼 |
재질 | 나무, 가죽 |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국립국악원 |
요약 농악에 쓰이는 작은 북.
내용
법고(法鼓)에서 온 말로 법구 혹은 소고(小鼓)라고 하며, 이 북을 치는 사람을 벅구잡이 혹은 소고잡이라고 부른다. 불교 의식에 쓰이는 법고와는 악기의 모양과 기능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농악에 쓰이는 벅구의 모양과 크기는 지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대개 지름이 일곱치, 높이는 7푼 가량의 둥글고 넓적한 북통에 짧은 나무자루를 단 형태가 많고, 간혹 나무자루 대신 끈을 달기도 한다.
양쪽 북면은 개가죽을 주로 쓰고 두 북면을 개가죽 끈으로 얽어매는데 간혹 개가죽 대신 노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북채는 한뼘 정도 길이에 손가락 굵기의 나무로 만든 채를 사용하며, 양쪽 가죽의 복판이나 북통을 친다.
강릉ㆍ삼척 등지의 영동농악(嶺東農樂)에서는 조금 큰 것을 소고라 하고, 조금 작은 것을 벅구(혹은 미지기라고도 함.)라 하여 소고와 벅구를 구분하지만 다른 고장의 농악에서는 이런 구분이 따로 없다.
영동지방에서는 벅구잡이가 상모가 달린 벙거지를 쓰고, 소고잡이는 고깔 또는 채상을 달지 않은 벙거지를 쓰는 데 비하여 벅구와 소고의 구별이 없는 다른 고장에서는 경기농악(京畿農樂)ㆍ영남농악(嶺南農樂)ㆍ호남좌도농악(湖南左道農樂)에서와 같이 채상이 달린 벙거지를 쓰기도 하고 호남우도농악(湖南右道農樂)에서와 같이 고깔만 쓰기도 한다.
호남우도농악에서는 벅구잡이가 ‘벅구춤(소고춤)’만을 추지만, 다른 고장 벅구잡이는 벅구춤 외에도 채상놀음(상모놀음)ㆍ자반뒤집기(허궁잡이)와 같은 것을 곁들인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13-농악·풍어제·민요 편-』(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1982)
- ・ 『남사당패연구(男寺黨牌硏究)』(심우성, 동화출판공사, 198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벅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