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굿거리장단의 이름과 곡의 이름에 두루 쓰이는 용어. 내용 장단의 이름과 곡의 이름에 두루 쓰이는 용어. 장단명으로 쓰일 때는 장단을 뒤에 붙여 굿거리장단이라고 하거나 그냥 굿거리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굿거리장단은 보통 12박자로 기보하고 [그림 1]의 리듬으로 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음악에 따라서 그 ...
- 성격 :
- 기악합주, 장단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굿거리춤 입춤개설 풍물 판굿이나 탈춤 중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소고춤 등 개인기를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또는 그 춤사위도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기녀들이 입춤을 출 때 사용되는 장단 역시 주로 굿거리와 자진굿거리가 사용되는데, 굿거리장단의 명칭을 좇아서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기녀들은 수건이나 부채, 소고 등의 무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진주교방굿거리춤 晉州敎坊굿거리춤내용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춤. 다른 말로 기방굿거리 · 굿거리춤 · 수건춤 · 입춤으로 불리어진다. 이 춤은 주로 3분박 4박자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고려 문종때 들어와 고려, 조선조를 통하여 1900년대 이후 승무와 더불어 여기들에 의해 교방에서 예술적으로 다듬어져 왔다. 궁중의 각종 연회에서 중요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
남도굿거리 南道─내용 경기지방 삼현육각 굿거리와 구별된다. 남도 승무(僧舞)나 검무(劍舞)와 같은 민간무용의 반주, 거상(擧床)으로 치는 삼현육각, 순음악으로 연주하는 줄풍류 굿거리, 성주풀이의 간주 등에 두루 쓰였다. 악기는 굿거리간주와 거상·무용 반주에는 해금·대금·목피리·곁피리·장구·북이 편성되며, 풍류굿거리에는...
- 성격 :
- 민속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전라도
-
봉등채장단 5박 굿거리개설 경기도 굿에서 굿거리장단 느낌인데 굿거리에 한 박을 더한 장단. 5박으로 된 장단이라 5박 굿거리라고도 한다. 내용 4박 장단인 굿거리장단의 느낌으로 치는데, 굿거리장단에서 한 박을 더해서 5박으로 치는 장단이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굿거리 트로트」[개설] 「굿거리 트로트」는 부산 민족 예술인 총연합회 연극 위원회 소속 극단 자갈치가 창작한 희곡으로, 2008년 6월 제10회 정기 공연으로 신명천지 소극장에서 공연한 작품이다. 2008년 8월에는 부산 마당극 제전, 충청북도 농촌 우수 마당극 제전, 범어사 개산 문화 대전, 부산 소극장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하였다...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해안별신굿 東海岸別神굿차려놓는다. 굿의 진행순서를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① 부정굿 : 굿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끼어든 모든 부정한 것을 정화시켜 제전을 깨끗이 하는 굿거리로서, 무녀는 평복으로 등장하여 무가를 가창하고 바가지의 물을 신도(神刀)로 찍어 제상 주변에 뿌린다. ② 골매기 청좌굿 : 마을 수호신인 골매기신을...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