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깨강정
    식재료 참깨 480g(4컵), 검은깨 4컵, 들깨 4컵, 설탕 6컵, 물엿 3컵, 꿀 3큰술, 물 800mL(4컵) 조리방법 1. 참깨는 껍질을 제거하고 볶는다. 2. 검은깨는 깨끗이 씻어 볶는다. 3. 들깨도 손질하여 볶는다. 4. 설탕에 물을 넣고 끓이다가 물엿과 꿀을 넣고 불을 약하게 하여 반 정도 조린 다음 숟가락으로 떨어뜨려 보아 ...
    분류 :
    다과류 > 과정류 > 엿강정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 강정 (관련어 깨강정) 견병
    전통 당과류의 일종. 원재료는 찹쌀이며 그 밖의 재료나 모양에 따라 깨강정, 엿강정, 잣강정 등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다. 명절이나 잔치에 많이 쓰이는 음식이고, 차와 함께 곁들여 먹기도 한다.|개요 참깨, 들깨, 콩 같은 것을 볶거나 튀겨서 되직한 물엿에 버무려서 굳힌 것. 명절이나 잔치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소한 小寒
    몇 말인고 콩 갈아 두부하고 메밀쌀 만두 빚소 세육은 계를 믿고 북어는 장에 사서 납평날 창애 묻어 잡은 꿩 몇 마린고 아이들 그물쳐서 참새도 지져먹세 깨강정 콩강정에 곶감 대추 생률이라 주준에 술 들으니 돌틈에 샘물 소리 앞 뒷집 타병성은 예도 나고 제도 나네 새 등잔 세발심지 장등하여 새울 적에 웃방 봉당...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이바지 이바디, Ibaji
    것이다. 그 종류는 자반·젓갈·구이·장아찌, 마른 찬 등이 있다. 떡과 과자는 이바지 음식에서 뺄 수 없는 것으로 찰떡·메떡·약과·강정·다식·정과·깨강정·엿 등이 있다. 이바지의 풍습은 지방마다 서로 다른데, 제주도에서는 혼례에 쓸 물품을 신부댁에 보내는 것을 이바지라고 한다. 경상도에서는 혼례 전날...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강정 견병
    튀겨진 것이 좋다. 이렇게 만든 강정바탕에 흰엿 녹인 것에 꿀을 섞어 졸인 것을 묻히면서 여러가지 고물을 묻혀 강정을 만든다. 강정은 묻히는 고물에 따라 깨강정·흑임자강정·계피강정·잣강정·신검초강정·송화강정·밥풀강정 등으로 불린다. 밥풀강정은 좋은 찹쌀을 4, 5일간 밤이슬을 맞혀 알맞게 습기를 머금게...
    성격 :
    음식, 과자, 조과
    유형 :
    물품
    재질 :
    찹쌀, 꿀, 술, 기름, 깨, 흑임자, 계피, 잣, 신검초, 송화, 밥풀, 지초
    용도 :
    의례, 간식
    관련 의례 :
    제례, 혼례, 세시의례
    분야 :
    생활/식생활
  • 회갑상 回甲床
    대체로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음식의 가짓수와 괴는 높이의 치수는 홀수로 하는 것이 관례였다. ① 유밀과 : 약과·만두과·다식과 등, ② 강정 : 깨강정·세반강정·계피강정·실백강정·매화강정 등, ③ 다식 : 송화다식·녹말다식·흑임자다식·밤다식 등, ④ 당속 : 옥춘당·팔보당·온당·원당 등, ⑤ 생실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이연수 (배우)
    제삼화학 - 잣두유 1984 해태제과 - 버터코코낱 비스켓 1984 오뚜기 - 마요네스 골드 1984 경인상사 - 뉴테크 샤프심 1984 동양제과 - 오리온 땅콩강정 & 깨강정 1984 시사영어사 - 시사중학영어 1984 크라운제과 - 크라운 커피나 1984 합동산업 - 합동유산균 제리킹 1984 동양제과 - 오리온 삐삐코 1985 LG전자 - 금성...
    도서 위키백과
  • 거승주: 참깨로 만든 술이다. 참깨를 약간 볶아 생강과 생용뇌를 섞고, 다시 볶아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술에 담근 뒤에 우려 만든다. 호마주라고도 부른다. 깨강정: 찹쌀가루 반죽을 적당히 썰어서 말린 뒤에, 기름에 튀기고 꿀을 바른 위에 볶은 참깨를 묻힌 강정이다. 지마강정이라고도 부른다. 깨고물: 참깨, 특히...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