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청군의 식재탁월한 효과가 있는 누에제품으로 누에분말, 누에환, 동충하초, 뽕잎차, 뽕잎가루 등이 생산되고 있다. ㆍ생산시기 : 연중 된장, 청국장 산청에서 재배한 토종콩으로 제조한 발효식품들은 지리산의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맛이 좋고 영양이 풍부하여 대도시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상품이다. 특히 단백질...
-
생강쓰는 용도로 선호 수입 짙은 노란색이고 냉동품으로 표면에 수분이 있음. 세척되어 표면이 아주 깨끗하고 모양과 형태가 국내산보다 굵고 큼. 작은 생강을 토종생강이라고도 하는데 대체적으로 작을수록 향이 짙고 맵다. 반면 중국의 씨앗용 생강은 대부분 크고 향이 적으며 매운맛이 덜한 편이다. 작은 생강은 소강...
- 분류 :
- 농산물 〉 채소류 〉 근채류
- 원산지 :
- 충남 서산/태안/당진/서천/예산, 충북 충주, 경북 김천/영주/예천/구미/안동, 경남 창녕/산청, 전북 완주/김제/임실/남원
- 생산시기 :
- 10~11월
- 생산량 :
- 평년 23,677톤, 2013년 23,073톤
- 가공식품 :
- 생강가루, 편강
-
묘산면 妙山面, Myosan-myeon많다. 산간곡저를 흐르는 소하천 일대에 취락과 소규모의 농경지가 밀집해 있다. 약간의 쌀을 비롯하여 마늘·고추 등이 생산되며, 지역 특산물로는 곰취와 토종흑돼지가 있다. 화양리에는 수령 약 500년으로 추정되는 소나무(천연기념물 제289호)와 조선 중기의 사대부 주택인 묘산묵와고가(중요민속문화재 제206...
- 인구 :
- 1,640 (2019)
- 면적 :
- 50.02㎢
- 행정구역 :
- 21개리 47개반 (법정리 11개리)
- 소재지 :
- 경상남도 합천군
- 사이트 :
- http://ms.hc.go.kr/main/
-
양서류를 절멸시킬 뻔 한 항아리곰팡이사례가 많다. 굳이 인간이 멸종시킨 수많은 생물을 일일이 열거할 수도 없다. 단 한 마리의 고양이 때문에 50여 종의 새가 모조리 사라진 섬이 있는가 하면, 토종생태계를 말 그대로 초토화할 기세인 큰입배스와 황소개구리의 사례도 있다. 양서류를 급감시킨 외래생물을 꼽자면 대표적으로 ‘항아리곰팡이(Chytrid...
-
물장군후에 부화하고, 애벌레는 약 40일동안 자라서 성충이 된다. 한국에서는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된 황소개구리의 올챙이를 잡아먹어 생태계를 안정화시키는 토종 생물로 부각되고 있다. 활용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태국물장군(L. indicus)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크기가 10cm에 이르고 향이 강하고 맛이 독특...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노린재목 > 물장군과
- 원산지 :
- 아시아
- 서식지 :
- 저수지, 늪
- 크기 :
- 약 4.8cm ~ 6.5cm
- 학명 :
- Lethocerus deyrollei
- 임신기간 :
- 약 10일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
금낭화 비장한 사랑 그리고 순종의 꽃, 錦囊花비장한 일이다 김종제 시인의 '금낭화' 일부입니다. 사랑도 저렇게 목숨을 걸어 하면 어떨까요? 금낭화가 피는 뜻은 오달지게도 비장한 일이라네요. 우리 토종들꽃 금낭화는 5~6월에 연약하고 가녀린 줄기가 길게 나와 주머니 모양의 납작한 분홍색잎을 올망졸망 매달고 있는 꽃입니다. 꽃의 모양이 심장을 닮아 영어식...
-
청설모는 우리강산 토박이다?!다람쥐로 표기한다. 비록 쥐 과로 천시되어 많은 문헌이나 민화 등에 별로 등장하진 않지만 청설모는 오히려 세계적으로 다람쥐보다도 인정받는 분명히 우리 토종 동물이다. 아무리 중국산 물품이 범람하고 청설모가 보기 싫다고 하더라도 함부로 우리 고유의 토종동물을 중국산이라고 우기는 행위는 우리 스스로 독도가...
-
한강에 고래가 나타났다?!나라에는 상당히 많은 고래가 서식하고 있어. 전 세계 고래 90여 종 가운데 1/3인 30여 종이나 사는데, 그중에서도 ‘웃는 고래’라고 불리는 이 상괭이는 토종돌고래에 속하지. 그런데 얼마 전, 이 상괭이가 한강에서 발견돼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한 적이 있단다.” “말도 안 돼. 고래가 어떻게 강에 나타나요...
-
꺽지 Coreoperca herzi개요 농어과에 속하는 민물어종. 학명은 Coreoperca herzi이다. 한국 토종 물고기인 꺽지는 그 모양이 쏘가리와 비슷하나 크기는 작다. 꺽지는 먹이사슬 최상위 포식자로 잡식어종의 개체 수가 엄청나게 늘어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형태 최대전장 20cm 정도까지 자라지만 15cm 이상 되는 개체는 드물다...
- 분류 :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농어목 > 꺽지과 > 꺽지속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
- 서식지 :
- 강
- 먹이 :
- 새우
- 크기 :
- 약 15cm ~ 20cm
- 학명 :
- Coreoperca herzi
- 식성 :
- 육식
-
-
경칩 개구리 깨어나는 경칩은 토종 연인의 날옛날 경칩에 젊은 남녀들이 서로 사랑을 확인하는 징표로써 은행씨앗을 선물로 주고받으며, 은밀히 은행을 나누어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이날, 날이 어두워지면 동구 밖에 있는 수나무, 암나무를 도는 사랑놀이로 정을 다지기도 했다고 전해지지요. 그래서 경칩은 정월대보름, 칠월칠석과 함께 토종 연인의 날입니다...
-
가물치 snakehead유래했다. 영어로는 뱀 대가리로 번역되는' 스네이크 헤드(Snakehead)'로 불린다. 2002년부터 미국 동부의 포토맥강 수계에서 가물치가 발견된 후 미국의 토종 어류인 배스를 마구 잡아먹어 정부 차원에서 전개하는 퇴치 작업의 대상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식용한다. 형태 몸 길이는 10~90cm쯤 된다. 입이 크며, 하나씩...
- 분류 :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농어목 > 가물치과 > 가물치속
- 원산지 :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 서식지 :
- 연못, 늪
- 먹이 :
- 개구리
- 크기 :
- 약 50cm ~ 1m
- 학명 :
- Channa argus
- 식성 :
- 육식
- 용도 :
- 회용, 탕용, 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