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참외박과에 속하는 덩굴성 1년생 초본식물. 내용 예로부터 재배되고 있는 식물이며, 학명은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이다. 원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는다. 잎은 어긋나고 장상(掌狀)으로 얕게 갈라지며 밑부분이 얕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1가화로서...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참외 oriental melon참외는 수박과 함께 여름을 대표하는 과일이다. 삼국시대 또는 그 이전에 중국의 화북(華北)으로부터 우리나라로 들어왔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이미 재배가 일반화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개구리참외, 감참외, 열골참외 등 전국 각지에서 재래종이 재배되었으나, 1957년에 일본에서 은천참외가 ...
- 분류 :
- 농산물 〉 과일류 〉 일반과일류
- 원산지 :
- 경북 성주/칠곡/김천, 대구, 경기 여주
- 생산시기 :
- 상시 생산
- 생산량 :
- 평년 188,146톤, 2013년 174,097톤(시설참외 기준)
- 가공식품 :
- 참외 장아찌
-
참외분포지역 전국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덩굴성 한해살이풀 잎 잎겨드랑이에 덩굴손이 있음.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길고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며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단성꽃이고 꽃부리는 5개로 갈라지며 황색이고 암꽃에 씨방하위가 있다. 열매 열...
- 분류 :
- 박목 > 박과 > 오이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 개화기 :
- 6월, 7월
-
-
참외 감과(甘瓜), oriental melon잎 각 마디에서 어긋나와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갈라지는데 끝이 약간 뾰족하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고 잎겨드랑이에는 덩굴손이 있다. 꽃 6~7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잎겨드랑이에 달려 핀다. 암수한그루의 1가화이다. 꽃부리는 5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하위이며 돌기가 있다. ...
- 학명 :
- Cucumis melo var. makuw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밭에 재배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열매·꼭지
- 생약명 :
- 과채(瓜菜)
- 키 :
- 1.5~2.5m
- 과 :
- 박과
- 생활사 :
- 한해살이 덩굴풀
- 채취기간 :
- 6~8월
- 취급요령 :
- 열매는 날것으로, 꼭지는 말려서 쓴다.
- 특징 :
- 차며, 열매는 달고 꼭지는 쓰다.
- 독성여부 :
- 열매에는 없고 꼭지에는 있다.
- 1회 사용량 :
- 꼭지 2~3g
- 주의사항 :
- 열매는 이로우나 꼭지는 1~2회만 사용한다.
-
참외 감과(甘瓜), oriental melon•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잎 : 호생(互生)하고 장상(掌狀)으로 얕게 갈라지며 밑부분이 얕은 심장저(心臟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줄기 : 원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올라간다. • 꽃 : 일가화(一家花)로서 6~7월에 피며 화관(花冠)은 5개로 갈라지고 황색...
- 분류 :
- 박과
- 서식지 :
- 밭
- 학명 :
-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분포지역 :
- 인도 및 한국, 중국, 일본, 아프리카, 이란
- 번식 :
- 종자, 실생
- 생활사 :
- 한해살이
-
참외 감과(甘瓜), oriental melon생물학적 특징 덩굴성 일년생 초본 잎은 호생, 장상 천열, 심장저, 거치연 꽃은 단성화, 자웅동주, 6~7월 황색 개화 암꽃은 자방하위 열매는 장과, 황색 성숙, 원주상 타원형 용도 식용 : 과일로 식용한다. 약용 : (열매) 이뇨작용이 있다. (꼭지) 이뇨, 축농증, 간염에 사용한다. (종자) 소염, 배농작용이 있다. 참고문헌
- 분류 :
- 박과(Cucurbitaceae)
- 학명 :
-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 본초명 :
- 첨과(甛瓜)
- 분포지역 :
- 외래식물
-
참외의 특성 및 영양학적 가치특성 동양계의 참외와 서양계(유럽계)의 멜론으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참외가 많이 재배되어 왔다. 참외의 학명중 쿠쿠미스는 쿠쿠마(cucuma) 즉 라틴어의 냄비 또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식기류라는 뜻이 있는데 과실을 식기류로 사용했거나 또는 과실을 잘라 두 조각내면 그 모양이 식기류와 닮았기 때문...
- 분류 :
- 박과
- 원산지 :
- 아프리카
- 학명 :
- Cucumis melo L.
-
밥 대신에 먹던 토종 과일 참외참외라는 이름에서 '참'의 의미는 그 이치를 내 따져 알 수 있다네 짧은 놈은 당종(唐種)이라 부르고 긴 놈은 물통이라 부른다지 베어놓으면 금빛 씨가 흩어지고 깎아놓으면 살이 꿀처럼 달지 품격이 전부 이와 같으니 서쪽 오이란 말과 한가지라네 이 시는 '진과(眞瓜, 참외)'라는 시로 지은이는 조선 중기의 이응희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