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평북개마지괴 평북개마육괴, 平北蓋馬地塊산봉우리를 점철시킨 함경산맥이 있는데, 이는 원래준평원이 융기된 뒤 개석된 지대로 지질학적으로는 지괴이다. 평북고원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압록강과 평행하게 달리는 강남산맥·적유령산맥·묘향산맥이 차례로 있다. 또한 낭림산(2,014m)에서 서쪽으로 갑현령·적유령(969m)·구현령·각대봉(1,164m...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압록강임수 鴨綠江林藪여연임수(閭延林藪)와 후창군 동신면 무창동에 있는 무창임수(茂昌林藪)가 대표적인 것이다. 여연임수는 자성읍 북동쪽에 있는 중강진부터 상류 1㎞되는 압록강 남쪽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장 2,500m, 너비 30m, 면적 7.5ha에 성립되어 있다. 하안의 평탄지인데 토성은 사양토이고 주변 지형은 비교적 광활하다...
- 성격 :
- 임수(林藪)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평안북도 자성군 중간면 중덕동, 평안북도 후창군 동신면 무창동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김형직군의 산업과 교통임업 중심지역으로 바뀌어 임산자원을 이용한 공업생산액이 전체생산액의 68.2%를 차지한다. 동흥·상창·노탄 등의 임산사업소에서 생산된 원목이 압록강 유벌사업소를 거쳐 강 하류로 수송된다. 그밖에 임산자원을 이용하여 성냥·이불장·찬장·책상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산열매·산나물·한약재 등을 이용한...
-
벽동군 碧潼郡개관 동쪽은 초산군, 남쪽과 서쪽은 창성군과 접하고, 북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만주지방인 안동성(安東省) 관전현(寬甸縣)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13′∼125°45′, 북위 40°20′∼40°46′에 위치하며, 면적 1,217.14㎢, 인구 5만 2924명(1943년 현재)이다. 7개 면 46개 동으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벽동면...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
-
혜산군 惠山郡개관 동쪽은 함경북도 무산군, 서남쪽은 삼수군, 남쪽은 갑산군, 북서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하여 중국 만주 지방의 장백현(長白縣)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04′∼128°47′, 북위 41°07°∼42°02′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2,325㎢, 인구 11만 1759명(1943년 현재)이다. 1개 읍 5개 면 95개 이로 되어 있으며...
- 성격 :
- 행정구역, 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2,325㎢
- 소재지 :
- 함경남도 북동부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정숙군의 자연환경신대봉(1,645m) 등의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장진강과 그 지류에 의한 하식작용으로 협곡이 많으며, 전체적인 기복이 남고북저형을 이룬다. 북쪽의 압록강 유역에서는 높이 500m까지 낮아져 개마고원 가운데 가장 낮은 지대가 된다. 압록강이 중국과의 국경지역에서 동서로 흐르며, 그밖에 장진강과 그 지류인 신창...
-
후금에 패하여 형제의 맹약을 맺다, 정묘호란 丁卯胡亂되기도 했다. 하지만 인조 대에 이르러서는 광해군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며 숭명배금(崇明排金)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후금의 요동 지역을 회복하기 위해 압록강 입구인 평안도 철산 앞바다의 가도(椵島)에 주둔하고 있던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에 대해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누르하치 사망 이후 후금의 2대...
- 시대 :
- 1627년
-
서희 徐熙삼았다. 만약 땅의 경계를 가지고 논한다면, 거란의 동경(東京, 지금의 랴오양)도 우리 경내에 들어가니 어찌 침식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뿐만 아니라 압록강 안팎도 역시 우리 경내인데 지금 여진이 그곳을 점령해 간사한 짓을 하므로 도로가 막혀 고려가 어려움을 겪는다. 거란과 소통하지 못하는 것은 다 여진 때문...
- 출생 :
- 942년
- 사망 :
- 99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