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압록강의 자연환경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국경을 이루면서 서해로 흘러드는 강의 자연환경.|하천의 유로는 대체로 지질구조와의 관계로 결정되는데 압록강은 창바이 산맥과 강남산맥 사이에 직선상의 유로를 따라 흐르고 있어 지질구조선의 방향과 일치한다. 전체적으로 압록강 유역은 지질구조상 고생대 이전에 형성된 퇴적암 기원의 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벽동군의 자연환경
    강남산맥과 피난덕산맥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내려 도내에서 가장 높은 산간지대를 이루고 있다. 남서부는 1,000m 내외의 높은 산지를 이루며, 북쪽의 압록강 유역에 이르러서는 점차 낮아진다. 군내에는 비래봉(1,470m)·단풍덕산(1,159m)·연두봉(903m)·천봉산(898m)·다림산(771m)·달각산(1,314m)·도마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압록강 패수(浿水), 鴨綠江
    말일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들은 압록강을 ‘얄루장’이라 부르고, 영어로는 ‘얄루(Yalu)’라 표기한다. 압록강 유역의 자연환경 압록강 유역의 지질과 지형 압록강은 중생대의 지각 변동으로 형성된 압록강 단층대를 따라 흐른다. 유역의 지질은 크게 네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상류 연안에 해당하는 함경남도의 신갈...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자강도의 자연환경
    1,433m) 등의 고개들이 나 있다. 동쪽의 낭림고원에는 희색봉(2,185 m)·연화산(2,355m) 등의 장년기 산지들이 중첩되어 있고 북쪽에는 학성산(1,276m) 줄기가 압록강 유역으로 뻗어 있다. 강남산맥은 장강군 사랑봉(1,787m)에서 갈라져 압록강 남쪽 사면을 따라 뻗어 내려 황수령(1,475 m)·향래봉(1,727m)·비삼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평안북도의 자연환경
    압록강 연안일대와 대관군 부근에는 변성퇴적암이 분포되어 있으며, 구성시와 철산군·천마군·태천군·운산군·향산군·구장군 일대의 넓은 지역에는 신생대에 속하는 화강암층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삼림토가 서부 및 남서부 구릉지대와 도내 저산성 지대에 분포하며, 포드졸성 갈색삼림토는 동부 및 북동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00′36″(함북 온성군 풍서리)에 해당한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서해에 면해 있으며, 남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대한민국(남한)과 분리되어 있고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만주 지방과 러시아 연방의 극동부지방에 인접해 있다. 총면적은 한반도의 약 55%를 차지한다. 8·15해방 당시 행정구역은 6개 도...
    위치 :
    아시아 한반도
    인구 :
    26,244,582명 (2024)
    면적 :
    120,540㎢
    공식명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기후 :
    대륙한랭성기후
    민족 구성 :
    한민족
    언어 :
    한국어
    정부/의회형태 :
    중앙집권공화제 / 일당제&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방위원회 위원장 / 국방위원회 위원장
    화폐 :
    북한 원 (W)
    대륙 :
    아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의주군의 자연환경
    군의 동부와 남부는 500m 내외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북부·서부로 갈수록 낮아져 압록강 유역에 이르러 넓은 평야가 전개된다. 군내에는 금강산(525m)·백마산(410m)·황금산(406m)·신미산(413m)·사래산(399m) 등이 솟아 있다. 압록강과 그 지류인 옥강·고진강·온천강 등이 군내를 흐른다. 압록강의 퇴적작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신의주시의 자연환경
    압록강 하류 용천평야의 북부에 해당하는 평야지대이다. 북부·서부에 압록강의 유로변경과 퇴적작용으로 형성된 위화도 등 10여 개의 섬들이 산재한다. 압록강과 그 지류인 삼교천이 흐르며, 강연안에 제방을 쌓아 범람을 막고 있다. 기반암은 편마암·결정편암·규암·화강암·사암·혈암이며, 토양은 충적토가 대부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양강도의 자연환경
    나뉜다. 압록강은 백두산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한 보혜천을 비롯하여 이명수·가림천·삼수천·장진강·후주천·후창강 등의 지류와 합류하면서 약 200㎞ 상류를 흐른다. 두만강은 백두산 동쪽으로 약 52㎞ 상류를 흐르며 소홍단수 등을 합류한다. 도내에는 백두산 천지를 비롯하여 삼지연·대택 같은 자연호와 수력발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자성군의 자연환경
    압록강의 운봉호 연안에 있는 산간지대로서 북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지세가 점차 낮아진다. 북부에는 학성산맥이 뻗어내려 학성산(1,276m)·산두산(1,275m)·백설봉(1,222m)이, 동부에는 전가봉(1,227m)·판자봉(1,069m)이, 남부에는 월기봉(1,254m)·무선동산(1,252m)·신원봉(1,335m)·딸기봉(1,161m) 등이 솟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북한의 자연환경
    서부 해안에 있는 좁고 불규칙적인 해안평야와 연결되어 있다. 주요평야로는 재령평야·연백평야·평양평야·안주평야 등이 있다. 북한에서 가장 긴 강은 압록강으로 양강도 김형권군 남쪽에 솟은 명당봉 북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들며 길이는 803km이다. 두만강은 양강도 삼지연군에 솟은 백두산에서 발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백두산의 자연환경
    곤충류가 4종, 그리고 이끼가 생장한다. 천지의 물은 중국측의 달문으로만 유출되어 창바이 폭포에서 얼다오바이허를 흘러 쑹화 강[松花江]을 이룬다. 압록강과 두만강으로는 지하수로서 유출될 뿐이다. 장군봉(2,750m) 부근의 해발고도 2,000m에 있는 백두폭포는 높이 18m, 너비 0.8m로 1단계에서 7m, 2단계에서 11m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