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천강 虛川江
    함경남도 풍산군 안수면의 옥련산(玉蓮山, 2,164m)에서 발원하여 갑산군을 지나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하천.|내용 길이 210.7㎞. 강 유역은 북수백산(北水白山, 2,522m)을 비롯하여 백산(白山, 2,379m)·대덕산(大德山, 2,113m)·검덕산(檢德山, 2,150m) 등 높이 2,000m 이상의 준봉들이 첩첩이 있는 개마고원이다. 이 ...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210.7㎞
    소재지 :
    함경남도 풍산군 안수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허천강 虛川江
    양강도 김형권군·풍서군·갑산군·삼수군·혜산시를 흐르는 압록강의 주류.|길이는 하구까지 925.5km, 보혜천(普惠川) 합류지점까지 210.7km이며, 유역면적은 4,921.5㎢이다. 김형권군 평산리 명당봉(明堂峰:1,800m) 북동쪽에서 발원해 황수원강이라 불리며, 북동쪽으로 흘러 황수원호·내중저수지(內中貯水池)를 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허천강
    허천강은 김형권군에서 혜산시로 흐르는 압록강의 지류이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허천강발전소 虛川江發電所
    1·2·3·4 발전소에 총 16대의 발전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총설비용량은 39만 4,000kVA, 최대출력은 33만 5,400kW이다. 양강도 풍서군의 동서방향을 흐르는 허천강 지류인 웅이강(또는 능귀강) 상류를 막아 형성된 풍서호(연두평저수지)와 김형권군의 북서쪽을 지나는 허천강 상류의 황수원강을 막아 형성된 사초평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허천강수력발전소 虛川江水力發電所
    내용 제1발전소를 함경남도 풍산군 공근리에 두고 있으며, 제2발전소는 허천군 고성리에, 제3발전소는 허천군 상농리에, 제4발전소는 허천군 고읍리에 각각 두고 있다. 1936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인에 의하여 건설되었으며, 6·25 때 파괴된 것을 1953년체코슬로바키아의 기술 및 시설원조로 복구공사가 완료되었다...
    시대 :
    근대
    성격 :
    발전소
    유형 :
    지명
    소재지 :
    함경남도 허천군
    분야 :
    경제·산업/산업
  • 허천강 발전소
    허천강 발전소(虛川江發電所)은 황수원강(黃水院江)과 웅이강(熊耳江)의 합류점에 댐을 축조하고, 분수령의 중복을 터널로 도수(導水)하여 단천 남대천(端川南大川)에 낙하시켜 그 낙차를 이용한 발전소이다. 1941년에 준공하였으며 총출전력은 32만 5,000kW이다.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풍산군 豊山郡
    검덕산 부근에서 발원하는 남대천이 천남면의 홍군(洪君)을 거쳐 단천군으로 흘러가고, 백산에서 발원하는 웅이천(熊耳川)은 서동천(西洞川)과 합쳐 허천강(虛川江) 본류로 들어간다. 안수면명당봉(明堂峰)에서 발원하는 허천강은 이 군의 주요 수계의 기간(基幹)이 되어, 남대천을 제외한 모든 크고 작은 하천을 합류...
    성격 :
    행정구역, 군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3,925.05㎢
    소재지 :
    함경남도 중앙부 산악 지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갑산군 甲山郡
    卓狀)의 고원 위에 솟아 있어 산세는 험하지 않다. 이들 고봉 사이에는 현무암의 용암대지가 발달해 있으며, 화전으로 개간된 곳이 많다. 군내를 흐르는 주요 하천은 허천강(虛川江)·운총강(雲寵江)·진동천(鎭東川)·회린천(會麟川) 등으로, 허천강은 풍산군 명당봉(明堂峰)에서 발원해 이곳으로 흘러 들어와 산남...
    시대 :
    조선
    성격 :
    행정구역명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139.8㎢(광복 전), 면적 1,128㎢(현재)
    소재지 :
    양강도 중심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김형권군 金亨權郡
    등 높은 산들이 있다. 그리고 후치령(1,325m) · 통달령(1,445m) · 금패령(1,637m) · 불개미령(1,657m) · 조가령(1,164m) 등의 고개가 있다. 군 전역이 허천강(虛川江) 하천망에 속하고, 상류인 황수원강(黃水院江)에는 광덕천 · 지경천 · 풍산천 · 노은천 등 수십 개의 지류들이 유입된다. 허천강 유역과 저수지...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압록강 패수(浿水), 鴨綠江
    東北地方 : 滿洲)과의 국경을 이루는 국제 하천으로, 혜산 · 중강진 · 만포 · 신의주 등을 거쳐 용암포의 초하류(稍下流)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압록강은 허천강 · 장진강 · 부전강 · 자성강 · 독로강 · 충만강 · 삼교천을 비롯하여 100㎞를 넘는 여러 하천들과 수많은 지류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강은 직선거리...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개마고원 蓋馬高原
    서쪽은 낭림산맥, 동쪽은 마천령산맥, 남쪽은 함경산맥과 경계를 이룬다. 동해 사면(斜面)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북쪽으로는 완만한 경사지이므로 허천강 · 장진강 · 부전강 등 여러 하천이 북으로 흘러 압록강에 흘러든다. 백산(白山) · 연화산(蓮花山) · 북수백산(北水白山) · 대암산(大巖山) · 두운봉...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혜산시 惠山市
    산에 있는 자원의 혜택을 받고 생활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자연환경 혜산시는 해발고도가 700m에 달하는 고지대에 있지만, 압록강과 그 지류인 허천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한 분지에 위치해 있다. 넓은 범위로 보면 혜산시는 해발고도 2,000m 내외에 달하는 산들로 둘러싸인 혜산분지의 중심부에 있다. 해발...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북한/정치·법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