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압록강 패수(浿水), 鴨綠江신화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민족의 심성에 비추어진 민족의 강이라고 할 수 있다. 압록강의 이용 수자원 압록강은 우리나라에서 포장수력자원이 가장 큰 강이다. 1920년대 이후 강의 지류와 본류 여러 곳에 대규모의 수력발전소가 건설되었다. 1929년에 부전강발전소가 건설...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자원 資源공동이용대상으로 삼아왔다. 이러한 관습은 고려 이래 조선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전래되어 오다가 조선 중기부터 사유화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나, 조선...삼림은 대단히 울창하였었다. 이렇게 천혜적으로 부존되었던 산림자원이 한말에 이르면서 열강의 이권쟁탈의 제물이 되어 삼림벌채가 남발되기 시작하였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백두산 白頭山원목들은 압록강과 두만강의 뗏목이나 혜산(惠山)∼대평(大平) 간의 백두산 임산철도 · 혜산선 · 백무선(白茂線) 등을 통해 길주(吉州) · 무산 · 만포 등지로 운반되어 그곳에서 제재(製材)된다. 백두산 지역의 또 다른 임산자원으로 각종 약재(藥材)를 들 수 있다. 백두산 3보(三寶)에 속하는 산삼과 녹용을 비롯...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산 山잘못된 이용은 생태계의 파괴를 가져와 오히려 자원의 고갈은 물론, 인간생활에 부적당한 환경으로 변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산의 개발은 산의 보존이라는 범주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임산자원 산지가 65% 이상인 우리나라는 임상(林相)으로 볼 때 기후의 남북성에 따라 북부는 냉대림, 중부는 온대림, 남부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개마고원 蓋馬高原않는다는 산간벽지로 알려져왔으나 1920년대말 풍부한 삼림과 광산 및 수력자원이 개발되면서 점차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다. 고원 북쪽의 압록강으로 흘러드는...허천강과 장진강을 통하여 뗏목으로 운반되기도 하고, 1937년에 개통된 혜산선을 이용하여 운반하기도 한다. 그밖에 철·동·금·은 등의 지하자원도 풍부...
- 위치 :
- 함경남도 북서부, 양강도의 중부·서부·남부, 자강도의 동부 지역
- 면적 :
- 14,300㎢
- 언어 :
- 한국어
- 국가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특징 :
- 한국에서 가장 높고 넓은 고원
-
-
초산군 楚山郡협소하여, 제한된 소규모의 농경지에서 주곡 중심의 농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조·수수 등이다. 임업은 임산자원이 풍부하며, 생산된 목재는 압록강의 수운을 이용하여 운반한다. 광업은 인상흑연이 산출된다. 교통은 주요 지역에 등외도로가 지나며, 남면·풍면·판면 등과 연결되어 있으나...
- 성격 :
- 행정구역, 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2,327.63㎢
- 소재지 :
- 평안북도 중북부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물물을 자원으로 종합적인 개발을 해야 한다는 최초의 계획이었다. 이 계획에서 물은 자유재로부터 경제재의 개념으로 변환되었으며, 현대적인 기법에 의해 우리나라 수자원의 수지(收支, water budget)를 수립하였다. 이 계획과 병행하여 1차로 한강유역합동조사단이 구성되어 1965년 10월부터 본격적인 유역조사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혜산군 惠山郡농산물은 감자·조·피 등이며, 특산물로는 아마·양귀비 등이 있다. 임업은 대부분의 지역이 원시림의 수해를 이루어 임산자원이 풍부하다. 목재는 뗏목으로 가림천과 압록강의 수운을 이용하여 신의주까지 운반되었으나, 수풍댐건설 이후 혜산선을 이용하여 원목 및 제재목이 반출되었다. 교통은 혜산진∼무산군간의...
- 성격 :
- 행정구역, 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2,325㎢
- 소재지 :
- 함경남도 북동부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다사도 사자도, 多獅島전에는 압록강의 수풍발전소의 전력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을 비롯한 전기공업·화학공업도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간석지가 발달한 평안북도 연안은 해안선에서 3∼4㎞ 가까이 간척이 이루어져 다사도항 대부분이 바다를 잃고 말았다. 그러나 일부 항만 시설은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항만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 성격 :
- 섬
- 유형 :
- 지명
- 면적 :
- 대다사도 면적 약 0.2㎢, 해안선 길이 약 2.5㎞, 소다사도 면적 약 0.05㎢, 해안선 길이 약 700m
- 소재지 :
- 평안북도 염주군 다사노동자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창성군 昌城郡진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옥수수·조·팥 등이다. 특산물은 양잠·면화·대마 등이며, 소·돼지 등의 축산업도 이루어진다. 임산자원이 풍부하며 벌목된 목재는 압록강의 수운을 이용하여 뗏목으로 수송되고 있다. 교통은 의주∼혜산진 간의 국도가 면의 북부를 통과하여 창성을 중심으로 삭주군·벽동군과 연결되며...
- 성격 :
- 행정구역, 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1,322.56㎢
- 소재지 :
- 평안북도 서북부
- 분야 :
- 지리/인문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