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압록강 패수(浿水), 鴨綠江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 지방과 국경을 형성하며 황해로 유입되는 강.|개설 백두산 천지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 지방(東北地方 : 滿洲)과의 국경을 이루는 국제 하천으로, 혜산 · 중강진 · 만포 · 신의주 등을 거쳐 용암포의 초하류(稍下流)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압록강은 허천강 · 장진강 ·...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압록강 강 건너 북한의 만포시가 한눈에
    지안 박물관 남쪽으로 강변을 따라 멋지게 조성된 산책로가 눈에 띈다. 중국과 북한의 국경을 이루며 유유히 흘러가는 압록강이 펼쳐진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상념에 빠지게 되는 장소다. 단둥(丹东) 보다 강 건너 북한이 훨씬 가깝게 보여서 이북에 고향을 둔 실향민들이 벤치에 앉아 하염없이 고향을 바라보기도 한...
    요금 :
    유람선 ¥30(40분), 모터보트 ¥160(1시간 30분)
    도서 인조이 중국 | 태그 해외여행
  • 압록강 鴨綠江, Yalu river
    한반도에서 제일 긴 강이다. 전체 길이는 925.502㎞, 국경하천의 길이는 806.503㎞이다. 유역면적은 6만 3,160㎢이며 한반도에 속하는 유역면적은 3만 1,226㎢, 중국에 속하는 유역면적은 3만 1,934㎢이다. 양강도 김형권군의 명당봉 북동계곡에서 발원해 지경천·웅이강을 합치면서 북류한다. 혜산시 강구동에 이르러 ...
    위치 :
    한반도, 중국 동북 지방의 국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압록강 Yalu River, 鴨緑江
    압록강(鴨綠江, zh)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 있는 강으로 두만강과 함께 두 국가의 국경 역할을 한다. 압록강이라는 이름은 그 한자만 두고 보면 '오리녹색'을 의미하는데, 1060년 송나라에서 편찬된 〈고구려전(高句麗傳)〉에 "물빛이 오리의 머리 색과 같아 압록수라 불린다(色若鴨頭 號鴨...
    도서 위키백과
  • 압록강의 자연환경
    하천의 유로는 대체로 지질구조와의 관계로 결정되는데 압록강은 창바이 산맥과 강남산맥 사이에 직선상의 유로를 따라 흐르고 있어 지질구조선의 방향과 일치한다. 전체적으로 압록강 유역은 지질구조상 고생대 이전에 형성된 퇴적암 기원의 변성암인 각종 편암과 편마암이 널리 나타나는 낭림지괴에 속한다. 이 지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압록강철교 鴨綠江鐵橋
    내용 재래교와 신철교로 구성되어 있다. 재래교는 압록강 하구에서 상류로 45㎞ 지점에 있다. 1909년 8월에 착공하여 1911년 11월에 준공되었는데 공사 동원 연 인원은 51만명, 공사비는 175만원으로 건설비는 중국과 일본이 분담하였다. 재래교의 중앙에는 단선철도가, 양측에는 2.6m의 인도가 설치되어 있다. 재래교의...
    시대 :
    근대
    성격 :
    철교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943.3m(신철교)
    소재지 :
    평안북도 신의주시, 중국 요령성 단둥시(丹東市)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압록강의 자원이용
    압록강 수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포장수력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으로 유량에 비해 강폭이 넓지 않아 수력 이용에 매우 유리한 지형적 조건을 지니고 있어 발전가능한 자원만도 420만kW나 된다. 또한 압력강 수계는 유역변경을 이용한 큰 낙차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한 터널식 발전소, 파이프라인식 발전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압록강은 흐른다 鴨綠江은 흐른다
    를 발표한 이래 주로 고국과 고향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독일어로 창작했다. 1950년 암으로 사망하였고, 뮌헨대학교에서 유학한 전혜린에 의해 1959년 『압록강은 흐른다』가 번역되었다. 구성 및 형식 『압록강은 흐른다』는 작가 작가 본인의 삶과 대체로 일치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어 자전적 소설로 평가된다. ‘한국...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압록강 철교 鴨綠江鐵橋
    총연장 944m이며, 압록강 하구에서 상류로 45㎞ 지점에 위치한다. 일본은 대륙진출을 위하여 한국과 만주를 잇는 철도교량을 도문·상삼봉·훈융·만포·수풍·신의주 등 6개 지역에 가설할 계획이었으나 압록강철교만이 경의선에 연결되어 건설되었다. 당시에는 압록강 상류 수백㎞를 배나 뗏목을 이용해 왕래했으나...
    위치 :
    평안북도 신의주역과 중국의 단둥역 사이
    건립시기 :
    1911년 (1943년 압록강 상류 쪽에 복선 철교가 개통)
    대륙 :
    아시아
    길이 :
    944m
  • 압록강의 문화유적
    압록강 유역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평안북도 용천군 신암리·쌍학리·용연리, 의주군 미송리, 염주군 도봉리, 자강도 중강군 토성리·장성리 등지에서 빗살무늬토기·반달돌칼·별도끼 등이 발굴되었다. 그밖에 평안북도 벽동군 송련리, 용천군 신암리·강계리·공귀리, 자강도 시중군 심리·귀리, 중강군 토성리·장성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압록강체육단 압록강체육선수단, 鴨綠江體育團
    조치는 1959년 2월 내각결정 제15호 체육 사업을 발전시키며 스포츠기술 수준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그리고 전문선수단 중 가장 역사가 오랜 1급 선수단이 압록강체육단이다. 설립목적 북한의 체육기술 수준을 높여 세계 경기의 모든 종목에서의 우승을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97년 10월 창립 50주년 기념식...
    시대 :
    현대
    위치 :
    신의주
    설립 :
    1947년
    성격 :
    체육클럽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체육
  • 압록강 해전 사치와 부패로 빼앗긴 전쟁의 승리
    1894년 9월 17일 압록강 입구 서해. 청의 북양 함대와 일본 연합 함대가 맞붙었다. 낮 12시 50분부터 5시간 동안 이어진 함대 결전에서 일본은 완승을 거두었다. 청은 군함 14척 중 5척이 격침되거나 좌초하고 3척이 파손된 반면 일본은 군함 12척 중 3척이 파손되는 데 그쳤다. 인명 피해도 청이 전사 850명, 부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9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