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파엘로 산치오, 〈아테네 학당〉 School of Athens
    그의 손바닥은 플라톤과 달리 ‘지상’을 향한다. 왼편 아폴론 상 아래 있는 무리 중 초록색 옷을 입고 서 있는 남자는 주먹코에 못생긴 얼굴을 가진 소크라테스로 추정된다. 투구를 쓴 남자가 열심히 그의 말을 경청하고 있는데 바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다. 계단 중앙에 널브러진 채 앉아 무엇인가를 읽고 있는 남자가...
    저작자 :
    라파엘로 산치오(Raffaello Sanzio, 1483~1520)
    제작시기 :
    1508~1511년
  • 목적론적 윤리학 目的論的倫理學, teleological ethics
    있고 행위의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여겨지는 선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윗 왕이 〈시편〉에서 지적하듯이 욥이 박해를 받고 소크라테스와 예수가 사형을 당한 반면 사악한 사람들이 잘 산다는 사실은 부당해 보인다. 이 문제에 대해 대체로 행복주의자들은 세상이 도덕적이라고 대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자기주도학습 자기조절학습, 自己主導 學習
    학생의 필요와 욕구에 의해 학생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이다. 역사 가장 오래된 자기주도 학습의 모형은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Socrates)에게서 발견된다. 소크라테스는 문답법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묻고 대답하도록 유도했다. 루소(Jean-Jacques Rousseau)나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h Pestalozzi...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교육
  • 귀류법 배리법, 歸謬法
    간접추리가 있다. ‘대전제→소전제→결론’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삼단논법이 전형적인 간접추리 형식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대전제)→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소전제)→소크라테스는 죽는다(결론). 귀납법(歸納法, inductive method)은 개개의 구체적인 사실이나 현상에 대한 관찰로 얻은 인식을 그 전체에 대한 일반...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 개념과 그리스 고전미술
    도덕적 가치판단의 잣대를 일관되게 사용한다. 그만큼 예술과 도덕을 긴밀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예술을 모방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의 뒤를 잇는다. “어떤 사람은 색체와 형태를 사용하여 사물을 모방하고, 다른 사람은 음성을 사용하여, 율동과 언어와 화성을 사용하여 모방...
  • 전기 傳記, biography
    비난하는 전기가 뒤섞여 있다. 특정한 철학적 주장이나 종교 운동 및 정치적 대의명분을 전기를 통해 널리 알리는 경우가 많았다. 플라톤과 크세노폰은 소크라테스의 가르침뿐만 아니라 그의 생애에 대한 글도 써서 소크라테스의 명예를 회복하는 데 이바지했다. 복음서의 저자들도 나자렛 예수에 대해 비슷한 일을 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프로타고라스 (대화편) Protagoras (dialogue), プロタゴラス (対話篇)
    《프로타고라스》는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의 하나이다. 이 글은 소피스트로서 유명한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와의 덕(德)에 관한 대화이다. 덕이란 무엇이며 과연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일까라는 문제가 음미된다. 소크라테스는 절제·경건·용기·정의·지혜라고 하는 여러 가지 덕이, 그것들이 정말로 덕이라고...
    도서 위키백과
  • 테아이테토스 (대화편) Theaetetus (dialogue), テアイテトス (対話篇)
    에 대한 장이다. 부제는 지식에 대하여이다. 도입부에는 에우클레이데스와 테릅시온이 등장한다. 에우클레이데스는 메가라 출신의 메가라 학파의 창시자이다. 소크라테스의 친구이며, 파르메니데스의 철학도 즐긴 당사자이다. 테릅시온은 메가라 교외 출신으로 소크라테스의 친구이다. 회상부에는 만년 70...
    도서 위키백과
  • 자연철학의 존재론과 인식론 만물의 근원과 변화
    것은 막연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탐구 대상을 우선 자연에 두었다는 점에서 인간을 철학적 탐구의 첫 대상으로 삼은 소피스트나 소크라테스와 구분된다. 하지만 소피스트나 소크라테스를 중심으로 철학적 대상이 인간 내면 탐구라는 방향으로 전환하기까지는 자연철학자의 활동이 전제가 되었다. 인간을 본격 탐구...
  • 거울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줄까
    거시세계를 보는 인류의 시각을, 현미경이 미시세계를 보는 인류의 시각을 바꾸었다면, 거울은 나 자신을 보는 시각을 바꾸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며 그토록 목청을 높였던 것은 잘 보이는 거울이 없던 것과 연관이 있을지 모릅니다. 내 얼굴에 대해서 나보다 남이 더 정확하게 볼...
  • 플라톤 Platon
    Platon(기원전 429?~347).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형이상학의 수립자. 아테네의 명문에서 태어나 젊었을 때는 정치에 뜻을 두었으나 소크라테스의 처형을 계기로 암울한 아테네 정계에서 벗어나 인간의 존재에 관심을 돌리게 되었다. 아테네의 근교에 학원 아카데메이아(Akademeia)를 열고 각지의 청년들을 모아 80세까지...
  •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과 인식론 종합과 새로운 지평
    철학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역사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자. 플라톤은 아테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에 패한 시기에 주로 활동했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스파르타에 경탄한 이유 중의 하나는 안정성이었다. 그리스의 다른 도시 국가에서는 혁명이 일어났지만, 스파르타의 제도는 여러 세기 동안 변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의 죽음
다비드가 그린 〈소크라테스의 죽음〉
델포이 신전은 그리스 종교 동맹의 공유지였다.
폼페이에 있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김나지움
소크라테스 (Socrate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