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야산 국립공원 伽倻山 國立公園
    새매 · 붉은배새매 · 소쩍새 등 총 72종이 조사되었으며, 이중 붉은배새매 · 새매 · 소쩍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양서 · 파충류는 도롱뇽 · 꼬리치레도롱뇽 · 무당개구리 · 참개구리 · 산개구리 · 아무르산개구리 등 총 18종이 확인되었다. 담어류는 버들치 · 갈겨니 · 미구리 등 총 20종, 곤충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노랑무늬영원속 Salamandra, サラマンドラ属
    생물 분류 노랑무늬영원속은 도롱뇽목 영원과 노랑무늬영원아과에 속하는 양서류 무리로, 6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북아프리카·서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관행적으로 도롱뇽으로 불려 왔지만, 분류학적으로는 영원에 더 가깝다. 북아프리카노랑무늬영원 (S. algira) 고산도롱뇽 (S. atra)고산도롱뇽과 란차고산...
    도서 위키백과
  • 목도리뱀 ring-necked snake
    미국과 멕시코이다. 대개 멕시코 고원지대와 미국 서부지역의 바위 또는 통나무 밑에서 발견된다. 식성은 잡식으로, 곤충과 지렁이, 개구리, 파충류, 도롱뇽, 뱀 등을 먹고 산다. 위험에 처하면 몸을 공 모양으로 똘똘 감아 그 속에 머리를 감추고 그 대신 꼬리를 들어올려 밑부분의 빨간색이나 노란색을 적에게 보임...
    분류 :
    척추동물 > 파충강 > 뱀목 > 뱀과
    원산지 :
    북아메리카 (미국,멕시코)
    먹이 :
    도롱뇽, 뱀, 개구리
    크기 :
    약 60cm
    학명 :
    Diadophis punctatus
    식성 :
    잡식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영원아목 Salamandroidea, 蠑螈亞目
    생물 분류 영원아목(Salamandroidea)은 도롱뇽목에 속하는 양서류의 아목이다. 남극 대륙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그리고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 발견된다. 모든 종이 체내 수정을 한다. 점박이도롱뇽과 또는 암비스토마과 (Ambystomatidae) 큰도롱뇽과 (Dicamptodontidae) 영원과 (Salamandridae) 동굴영원과...
    도서 위키백과
  • 게리맨더링 gerrymandering
    당의 지지표를 집중시킴으로써 민주공화당이 다수의 의석을 차지하도록 만들었는데, 이렇게 나누어진 선거구들 가운데 하나의 윤곽이 샐러맨더(salamander:도롱뇽)를 닮은 것으로 생각되어 게리와 샐러맨더를 합성한 '게리맨더링'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게리). 게리맨더링은 선거구민이 지역적으로 밀집해 있어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의회/정당 , 선거
  • 올챙이 tadpole
    도롱뇽의 유생과 비교할 때 몸이 짧고 타원형으로 생겼으며, 꼬리는 넓고 입이 작으며, 외부아가미는 아가미뚜껑으로 덮여 있다. 어떤 종의 올챙이는 육식성이거나 심지어 서로 잡아 먹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올챙이는 초식성이다. 올챙이의 변태는 먼저 앞다리와 뒷다리가 점차 자라나고 꼬리가 없어지며 장이 짧아지고...
    분류 :
    척추동물 > 양서강 > 개구리목
    식성 :
    잡식
  • 무릉원 武陵源
    풍화하여 이런 명승을 낳게 되었다. 무릉원 일대는 지형이 복잡하고 기후가 온화하며 강수량이 풍부하여 삼림이 우거져 많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무릉소나무는 이 지역 특산종이며, 주목, 편백 등이 잘 분포되어 있다. 구름표범, 황금표범, 큰도롱뇽 등 중국 정부에서 보호하고 있는 멸종 위기 동물도 분포하고...
    문화재 :
    세계자연유산(1992)
  • 우에노 동물원 上野動物園, Ueno Zoological Garden
    금붕어·해파리·파충류 등이 특별히 전시되고 있다. 이 동물원에는 약 960종(種), 8,860마리의 동물들이 수용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는 희귀한 대형 도롱뇽, 몇몇 희귀한 꿩과 왈라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동물원은 공공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동물원 동물의 사육과 번식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양서류 물뭍동물, 兩棲類
    호흡을 하면서 육상에서 사는 생물을 의미한다. 양서류는 두 곳에서 산다는 의미이며 일반적으로 다리를 네 개를 가지며, 알에 양막이 없다. 이는 개구리 도롱뇽 등이 포함된다. 양서류는 부피와 표면적의 비에 의해 효율이 결정되기 때문에 신체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근래에 도시화와 농약의 사용으로 인해 급감...
  • 은행 씨앗을 주고받으며 사랑을 싹 틔운 날, 경칩 驚蟄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한 데서 알 수 있듯 우수와 경칩은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때입니다. 더러 민간에서는 경칩에 개구리 알이나 도롱뇽 알을 먹으면 몸에 좋다고 하였으나 어린 생명을 그르치는 지나친 몸보신은 삼가해야 할 것입니다. 또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에서 나오는 즙을 마시면...
  • 경칩 驚蟄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허리아픈 데 좋을 뿐 아니라 몸을 보한다고 해서 경칩일에 개구리알을 먹는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 지방에 따라서는 도롱뇽알을 건져먹기도 한다. 또,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이부세 마스지 井伏鱒二, Ibuse Masuji
    것으로 유명하다. 원래 시와 그림에 흥미가 있었으나, 1918년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 입학하면서 소설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1930년대에 풍자소설 〈도롱뇽 山椒魚〉(1929)과 역사소설 〈존 만지로 표류기 ジョン万次郞漂流記〉(1937) 같은 작품으로 알려졌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부터 작가로서 명성을 날렸다...
    출생 :
    1898. 2. 15, 일본 히로시마 현[廣島縣] 가모[加茂]
    사망 :
    1993. 7. 10,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일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도롱뇽류 한살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