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청 訴請
    청구라는 점에서 행정심판의 일종이며, 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 기타 그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에 대한 구제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공무원에서 행정심판에 대한 특례로 소청제도를 마련한 것은 공무원의 신분을 보다 강하게 보장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소청제도는 공무원의 권익보장을 목적으로 할 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법
  • 행정소송 行政诉讼, administrative litigation
    186조에 규정된 특허취소결정 또는 심결에 대한 소, 특허취소 신청서에 대한 각하결정에 대한 소 등 특허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는 사건만이 특허소송 사건이 되고, 서류불수리, 절차의 무효, 특허권의 수용, 통상실시권 허락을 위한 재정에 관한 불복 등에 관한 소송은 일반 행정소송의 절차에 따른 행정소송 사건이 됨.
  • 경찰 警察, police
    진척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경찰관계법령의 통폐합과 함께 1953년 12월「경찰관직무집행」을 제정하여 경찰직무의 표준을 규정하였다. 1954년 4월 「행정대집행(行政代執行法)」을 제정하고, 일제강점기의 「경찰처벌규칙」을 폐지하는 대신 「경범죄처벌」을 제정하였다. 1955년 4월 「경찰순열규정(警察巡閱...
    시대 :
    현대
    성격 :
    행정조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4년(고종 31) 7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당사자소송 當事者訴訟
    관한 것이어서 행정청을 피고로 하지 않고 그 법률관계의 당사자 일방을 피고로 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실질적으로는 항고소송과 하등 다를 바가 없다. 행정소송은 당사자소송에 관하여 피고적격, 재판관할, 제소기간과 소의 변경 등을 규정하고 있으나 행정소송은 항고소송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사법 行政士法
    제1장 총칙, 제2장 행정사의 자격과 시험, 제3장 업무신고 등 전문 38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1년 9월 23일 '행정서사'으로 제정되었다가 1995년 1월 5일 법률 제4874호로 내용이 전부 개정되며 법률명도 '행정사법'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을 전부 또는 일부 개정하였다. 행정사는 다른 사람의 위임을 받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서사 行政書士
    업무의 내용과 범위는 행정서사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다(1976. 3. 27, 대통령령 제8039호). 이에 따르면 행정서사는 타인의 위촉을 받아 행정기관에 제출하는 허가·인가·면허·승인·등록·신고 및 확인신청·이의신청, 또는 진정·건의·질의 기타 행정기관의 특정행위를 구하는 의사표시 등에 관한 서류의 작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지방자치 地方自治
    단체의 하급행정구역(구 · 동 · 이) 및 중앙정부의 일선기관(경찰서 · 소방서)에 관한 사항까지 일괄 규정하였으므로 국가의 보통지방행정기관에 관한 , 즉 지방행정조직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규모와 특성의 차이,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고려함이 없이 서울특별시에서 읍 · 면에 이르기...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만 나이 滿 ─
    계산한다. 관련 법령 한국에서는 태어나면 1살로 보고, 생일이 들어있는 연도가 되면 1살을 더하는 관행이 있었으나, 2023년 6월 28일부터 <민법>, <행정기본>을 개정하면서 만 나이 계산과 표시의 규정이 명문화되었다. 이를 "만 나이 통일"이라고 부른다. "만 나이 통용법" 해당 법령 <행정기본> 개정(2022. 1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민법 , 행정법
  • 행정법원 行政法院
    내용 1998년 2월까지는 행정소송 등에 의하여 행정청의 행정처분 등에 불복하는 행정소송은 원칙적으로 행정심판법에 의한 행정심판을 거친 뒤에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행정심판전치주의를 채택하고 있었고, 이에 불복하는 소의 관할을 고등법원으로 하였다. 즉 행정심판과정 자체를 법원의 제1심으로 보고 이에...
    시대 :
    현대
    성격 :
    법원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8년 3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주민등록 住民登錄法
    장·군수 또는 구청장은 해당 권한의 일부를 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 제11조에 따른 행정시장이나 그 관할구역 내의 자치구가 아닌 구의 구청장·읍·면 또는 출장소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 구성 <주민등록>은 사무의 관장과 감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지방자치 地方自治法
    정변 이후 그 중요한 부분이 거의 효력이 정지된 채 4반세기 이상을 동면하지 않으면 안 되었으며, 그 동안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서울특별시 행정에 관한 특별조치」과, 부산을 비롯한 각 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들, 그리고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이 우선 적용되어왔다. 한편, 지방자치의 상징...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1949년 8월 15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세기본 國稅基本法
    지분의 비율을 적용해 산출한 금액을 한도로 하도록 함( 제39조 제1항). 넷째, 조세불복청구기간을 60일에서 90일로 연장하여 행정심판법 및 행정소송상의 청구기간과 균형을 맞춤( 제55조·제56조·제60조·제61조 및 제68호). 다섯째, 국제심판소장의 자격요건을 국세·법률·회계 분야에 관하여 전문지식과...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74년 12월 21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행정법(administrative law)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