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노동당 朝鮮勞動黨
    조선노동당은 북한의 유일 집권정당이다. 그 연원은 김일성이 1926년 세운 타도제국주의동맹에서 찾을 수 있으며 공식 창건일은 조선공산당대회가 열린 1945년 10월 10일이다. 공식 이념으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표방하며 북한의 모든 국가 정책이 당 주도의 국가체계로 운영된다. 조선사회민주당 및 조선천도교청우당...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International Meeting of Com..
    공산당 방글라데시 노동당 베네수엘라 공산당 스페인 공산당 (1973년) 스페인 노동자공산당 스페인 인민공산당 시리아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 유고슬라비아 신공산당 알바니아 공산당 영국 공산당 영국 신공산당 오스트리아 노동당 호주 공산당 아일랜드 공산당 아일랜드 노동자당 이탈리아 공산당 조선로동당...
    도서 위키백과
  • 조선신민당 New People's Party of Korea, 朝鮮新民党
    위원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주석은 김두봉이며, 부주석은 최창익, 한빈이다. 주요 당 간부로는 백남운, 허정숙, 박효삼 등이 있었다. 조선신민당은 전신인 조선공산당에 비해 다소 온건하고 온화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중들 사이에선 인기가 매우 높았다. 이 점에서 조선신민당은 조선공산당을 계승...
    도서 위키백과
  • 조선의용군 朝鮮義勇軍
    항전하며 용명을 떨쳤다. 그때 중국공산당에서 조선의용군의 옌안 이동을 결정하였다. 많지도 않은 인력을 타이항산전투에서 소모하기 보다는 전쟁 후에 조선 통치의 요인으로 보호하는 것이 중국공산당에 유익하다는 정치적 계산이 있었던 것 같다. 조선의용군은 1943년 12월부터 1944년 3월까지 옌안 이동을 완료...
    시대 :
    근대
    설립 :
    1942년 7월 10일
    성격 :
    독립운동단체, 군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소련 공산당 서기장 General Secretary of the Commun..
    있었고 8월 29일 공산당이 아예 불법정당으로 금지됨으로써 이바시코의 서기장 임기는 불과 닷새만에 끝났다.sfn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로동당 총비서 체게트 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도서 위키백과
  • 김철수 동재, 金綴洙
    제3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지냈다. 호는 지운. 아버지 영구는 소지주로 쌀 위탁판매업을 했다. 화호보통학교를 거쳐, 1908년 금산 금호학교에서 신학문을 공부했다. 1912년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정치과 전문부에 입학했다. 1916년 귀국, 1920년 가을 사회혁명당을 결성했다. 1921년 5월 상하이[上海]에서...
    출생 :
    1893(고종 30)
    사망 :
    198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그레이트브리튼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 Communist Party of..
    해산하고 사회주의 노동당(SLP)에 합류하였으나 노선 차이로 2004년 다시 대거 탈퇴하고 그레이트브리튼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세웠다. 현재는 하르팔 브라르의 딸인 조티 브라르가 이끌고 있다. 대한민국의 민중민주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로동당과 교류하는 공산당 조직이다. 신스탈린주의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조선독립동맹 朝鮮獨立同盟
    간의 통일을 위해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동북항일연군, 건국동맹 등과 접촉하여 전민족 반일통일전선을 형성하고자 했다. 1945년 소련군의 대일참전 때는 조선의용군 사령부를 따로 설치하여 만주에서 한인(韓人) 조직사업을 수행했다. 그러나 중국공산당의 보조역량으로서 활동이 이루어졌고 화북의 조선인이 유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
    동맹회, 요코하마[橫浜]조선합동노동조합 등과 함께 관동조선무산계급단체협의회를 개최해 노동조합법·노동쟁의조정법 등에 대한 반대운동을 전개했다. 조선공산당 일본총국과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가 탄압받으면서 김천해·박균(朴均)·이운수(李雲洙) 등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의 중심인물들이 검거되었다. 192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조선정판사위폐사건 朝鮮精版社僞幣事件
    이 사건이 일반에 알려진 것은 이듬해 5월로, 위폐발행의 근원지가 조선공산당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었다. 당시 시중에 위폐가 범람하면서 통화가 극도로 팽창되고 물가가 크게 뛰어올라 경제가 흔들리게 되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고 범인을 추적, 조사한 결과 조선공산당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 남조선노동당 남로당, 南朝鮮勞動黨
    간첩 혐의로 처형되었다. 창당 배경 남로당은 해방과 함께 결성, 창당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 등 3당이 합당하여 결성된 정당이다. 조선공산당은 1945년 8월 20일 박헌영(朴憲永)을 중심으로 발족한 조선공산당재건준비위원회에 의해 9월 11일 결성되었다. 이 조선공산당은 1928년 해체된 조선공산당의...
  • 조봉암 죽산, 曺奉岩
    같은 해 9월 조선 공산청년동맹과 조선공산당을 조직하라는 임무를 부여받고 국내에 잠입했다. 1925년 4월 노동자·농민 운동의 총집결체인 조선노동총동맹, 청년운동을 주도한 조선청년동맹·조선공산당·고려공산청년동맹 등을 결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26년 2월 상하이[上海]에 조선공산당 해외부...
    출생 :
    1898. 9. 25, 경기 강화
    사망 :
    1959. 7. 31,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조선공산당 창당 문서
조선공산당 관련 보도(『시대일보』 1926.6.19)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 보도(『동아일보』 1929.11.1)
조선공산당 재건공작회사건 보도(『중앙일보』 1933.4.30)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 보도(『동아일보』 1929.11.1)
조선공산당 재건공작회사건 보도(『중앙일보』 1933.4.30)
김기호의 이름이 기록된 「조선공산당사건 검거에 관한 건」2(1926.10.11)
김기호의 이름이 기록된 「조선공산당사건 검거에 관한 건」2(1926.10.1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