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집권 3년차 증후군잡지 못하자 대연정을 추진하다가 지지율이 급감했다. 이명박 정권은 2010년 민간인 사찰로 드러난 영포라인 논란에 시달리고 세종시 수정안 부결 사태로 국정 동력이 꺾였다. 과거 정부에서 청와대 핵심 참모를 지낸 한 인사는 대통령이 바라보는 현실과 바깥에서 바라보는 현실의 괴리 때문에 ‘집권 3년차 증후군’이...
-
좌찬성 左贊成내용 정원은 1인이다. 우찬성 · 좌참찬 · 우참찬과 함께 3의정을 보좌하면서 대소 국정에 참여하였다.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郎贊成事)에서 비롯되었다. 이것이 1437년(세종 19) 10월까지 왕권 및 의정부기능과 역학관계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헌의육조 獻議六條개설 우리나라 사상 처음으로 시민대회에서 국정의 개혁을 공개적으로 결의하여 제출한 획기적인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독립협회는 밖으로부터의 열강의 끊임없는 압력과 이권 침탈에 대항하고,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외세 침략에 대비하며, 안으로는 국정 전반에 대해 대개혁을 단행해서 독립의 기초를 공고히 하기...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1896년 7월 2일
- 성격 :
- 정책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지존이면서 최고의 문인이었던 조선의 국왕그러한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왕이 된다. 왕이 되기 전에 짧은 시간 대리청정을 한 예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선왕이 세상을 떠나면 바로 왕위를 계승하여 국정을 수행했다. 소의간식(宵衣旰食)이라는 말이 있다. 임금이 국정을 수행하느라 새벽에 옷을 입고 일을 시작하여 한밤에 밥을 먹는다는 뜻이다. 이 말대로 왕은...
-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 公共機關─情報公開─關─法律두며, 이는 「헌법」 제21조에 따른 표현의 자유 속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도 이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민주국가에서 국정(國政)은 국민의 의사형성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국민의 바른 의사형성은 바른 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보공개는 국민의 국정참여와 국정운영의...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96년 12월 31일(제정), 1998년 1월 1일(시행)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왕은 평소 어떻게 일했는가 입법·사법·행정권을 모두 행사하다내리는 천(天)이란 신의 한 세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존재였고, 태조는 그로부터 조선 건국의 당위를 인정받았다고 믿어졌던 것이다. 국왕의 권한, 국왕의 국정 업무는 이러한 위상과 연관되어 규정되고 행사되었다. 무엇보다도 국왕은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존재로서 신을 대면해 제사를 지낼 수 있는 권한을 부여...
-
여걸 문정왕후의 수렴청정명종이 즉위한 후에는 그의 생모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수렴청정이란 나이 어린 왕이 즉위하였을 때 왕실의 어른인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국정을 논하는 자리에서 발을 내리고 앉아 국왕을 대신해 국정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말하자면 국왕의 후견인으로서 정사를 주관하는 제도였다. 명종은 12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