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조불교 李朝佛敎중 첫 권인 조선유학과 조선불교에 대한 2파트(삼국·신라·고려불교, 이조불교) 중 첫 권인 이조불교, 그리고 조선 유학에 대한 3파트(신라·고려의 유학, 이조 이퇴계까지의 유학, 이퇴계 이후의 유학) 중 우선 총론격으로 「조선 유학사에서 주리 주기파의 발달」을 발표하였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이조불교』는 고...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타카하시 토오루
- 창작/발표시기 :
- 1929년
- 성격 :
-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일본 보문관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
비 碑말에서 고려에 걸쳐 유행된 승려들의 탑비에만 격식이 적용되었을 뿐 귀족들에 대한 규정은 없었으므로 주로 묘지석(墓誌石)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조선시대에 와서는 정3품 이상은 신도비를 세우고 그 이하는 묘갈(작은 묘비)을 세우게 한 것이 ≪경국대전≫에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조선시대에는 비갈(비와 갈)이...
- 시대 :
- 선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신돈 공민왕이 추진한 개혁정치의 선봉장무장들과 이색 · 백문보 등 유학자들이 불려와 다시 등용되었다. 이들은 고려 말기 역사의 주역이 되었다. 신돈이 제거된 뒤 토지제도는 다시 어지러워졌고...조선에 들어와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돈은 불교의 자비사상과 중생구제의 가르침, 유학의 정치운용 원리와 실천도덕을 접목시킨 우리나라 최초의 개혁가...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71년
-
고려극장 高麗劇場오면서 명칭이 카자흐공화국 국립 음악희곡 고려극장이 되었는데, 이는 고려극장이 주립극장에서 국립극장으로 승격되었음을 의미했고, 같은 해에 극장 공연팀의...등이 고려극장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 이들은 1950년대초 소련으로 유학을 왔다가 유학 말기에 김일성 반대운동에 관여하여 북한 귀국을 거부한 정치망...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평생교육 平生敎育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며 종교와 관련된 교육이 불교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고려시대에는 교육기관들이 더욱 발전하고 이들이 교육의 중심역할을 하였다...있었다. 서당은 전국 방방곡곡에 산재하여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하였는데, 유학(儒學)이 중심이었던 당시의 교육에 있어서 가장 초급단계에 해당하였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최충 해동공자(海東孔子), 崔沖대빙재(待聘齋) 등 9개의 방으로 구분 지어 구재학당(九齋學堂)이라 하였다. 이곳에서는 구경(九經)과 삼사(三史)를 포함한 시부(詩賦)와 사장(詞章) 그리고 유학(儒學)을 중심으로 교육하였다. 그리하여 과거시험에 대비하면서 유학에서 강조하는 인격 도야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의 교육방침은 여름에 피서를 겸해...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성종 왕치(王治), 成宗즉, 고려 건국 이래 엄청나게 늘어난 새로운 정치세력을 포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정치체제로서는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성종대의 정치적 지배세력의 성격은 그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성종대 전반기에는 신라 6두품(頭品) 계통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 세력이 정치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가, 후반기에는...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정몽주 정몽란, 鄭夢周고려의 마지막 충신 정몽주를 가장 잘 대표하는 단어는 아마 〈단심가(丹心歌)〉일 것이다. 위화도 회군으로 새 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 새 왕조에 참여할 것을 권하자 그에 대한 답을 한 시조이다. 그는 이 짧은 시조에서 고려에 멸망의 기운이 가득하다 해도 끝까지 배신하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와 두...
- 출생 :
- 1337년
- 사망 :
- 139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