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하이관 山海關, Shanhai-kuan
    좁은 협곡을 지나 베이징에서 만주(滿洲)로 가는 통로인 동시에 만리장성이 끝나는 곳이다. 6세기부터 임유관(臨渝關)이란 이름으로 알려졌고, 10세기초 거란이 허베이 북동지방을 점령한 후에는 현으로 되어 천민현(遷民縣)이라 불렸다. 이 이름은 13세기까지 남아 있었다. 산하이관이란 이름은 명대(1368~1644)에...
    위치 :
    중국 북동부 허베이 성 동쪽
    인구 :
    140,000명 (2007)
    면적 :
    192km²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宋, Sung dynasty
    통제 밑에 두었다. 그는 죽기 얼마 전부터 강남지방에 있던 10국(十國)을 평정하기 시작했다. 조광윤을 계승한 여러 황제들은 북방에서 세력을 떨치던 거란과 일련의 정전(停戰) 협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료주의적 지배체제는 점차 부패되었고, 요(遼)나라에 복속되어 있다가 독립한 여진·몽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전주군의 난 全州軍─亂
    내용 1216년 거란은 몽고에 쫓겨 고려에 침입하여 서경을 거쳐 염주(塩州 : 연안)·백주(白州 : 배천) 등지에 이르렀다. 고려는 이에 3군을 보내어 적을 물리치려 하였으나 감당하지 못하자, 남부지방의 주현군(州縣軍)을 징발하여 거란의 방어에 참전하게 하였다. 이 때 징발된 전주군은 전주를 떠난지 불과 5일 만...
    시대 :
    고려
    발생 :
    1217년(고종 4)
    성격 :
    반란
    유형 :
    사건
    종결 :
    1217년(고종 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관련 인물/단체 :
    전주군(全州軍), 기윤위(奇允偉)
    관련 장소 :
    전주(全州)
  • 랴오양 遼陽, Liao-yang
    기지로 이용되었다. 756년 남만주에 대한 중국 본토의 통치가 끝나자 랴오양은 8~9세기에 흥성했던 발해국(渤海國)의 남쪽 국경지역이 되었다. 10세기초에는 거란이 이곳을 점령해 그들이 세운 요나라에 편입시켰으며, 919년 요의 태조(太祖)는 랴오양 고성을 재건해 한족과 발해 유민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928...
    위치 :
    중국 북동부 랴오닝 성, 타이쯔 강 유역
    인구 :
    885,000명 (2022년 추계)
    면적 :
    4,743㎢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각장 각서(榷署), 榷場
    침입으로 인해 고려와 거란의 평화 관계가 종식되면서 폐지되었다. 따라서, 보주의 각장을 통한 양국의 교역은 그리 활발하게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고려...각장 재개 계획이 당시 강동지역(江東地域)에 거주하고 있던 여진에 대한 고려의 기미권(羈縻權: 지배권)에 위협을 가해 고려와 여진의 경제 · 군사적...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몽골 제일주의
    원은 민족을 몽골, 색목인(위구르인·이란인 등), 한인(漢人:한족·거란 등), 남인(옛 남송의 유민)으로 나누었는데 최상위 부류는 몽골으로 면세 혜택을 받았으며 광대한 영지를 경작했다. 몽골에 출사(出仕)한 외국용병들이 2번째 계급을 형성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중앙아시아 출신으로 색목인(色目人)이라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발해의 건국
    폐지했다. 이후 요동 지방에는 고구려 유민 중심으로 자치국인 소고구려국이 세워져 9세기 초반까지 유지되었다. 696년 무렵 요서 지방의 요충지 영주에서는 거란이 반란을 일으켜 이 일대를 혼란에 빠뜨렸다. 1년여에 걸친 반란의 와중에 강제로 이주된 고구려 유민과 말갈들이 대조영과 걸사비우의 지도 아래 영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발해
  • 金, Chin Dynasty
    있었는데, 고구려가 망하자 대체로 발해에 예속되었으며, 일부는 신라에 편입되기도 했다. 10세기초 발해가 거란에게 망하자 말갈의 중심세력이던 흑수말갈이 거란에 속하면서 여진이라 불렸다. 여진은 크게 만주의 지린 성[吉林省] 동북지방에 흩어져 사는 생여진과 그 남서쪽의 숙여진(熟女眞)으로 나뉜다. 전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경원도호부 慶源都護府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발해 멸망 이후 거란·여진의 거주지였다. 옛 고구려의 영토를 회복하고자 노력하였던 고려 시대에 윤관이 여진을 내쫓고 공험진내방어소를 두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이전에는 공주(또는 광주)로 불렸다. 조선시대에 들어 1398년(태조 7)에 석성을 쌓고 덕릉·안릉이 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원림전투 原林戰鬪
    역사적 배경 요나라가 멸망한 뒤 금나라의 지배를 받던 거란은 금이 쇠약해지자 한때 독립하였으나, 다시 몽고에게 쫓겨 금산왕자(金山王子)와 금시왕자(金始王子)가 이끄는 유민 일부가 고려를 침범하였다. 경과 이들은 1216년 8월에 압록강을 건너 영주(寧州 : 지금의 평안북도 신의주시)ㆍ삭주ㆍ정주ㆍ융주(戎州...
    시대 :
    고려
    발생 :
    1216년(고종 3)
    성격 :
    전투
    유형 :
    사건
    종결 :
    1218년(고종 5)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관련 인물/단체 :
    금산왕자(金山王子), 금시왕자(金始王子), 노원순(盧元純), 오응부(吳應富), 김취려(金就礪)
    관련 장소 :
    연주(延州 : 지금의 평안북도 영변)의 원림역(原林驛)
  • 초조대장경 初雕大藏經
    대장경판을 새기기로 서원한 뒤 거란군이 물러갔다는 기록이 있다.(『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대장각판군신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文)」) 즉 거란이 침입하자 부처의 가르침을 받들고자 하는 국민정신을 통합하여 외적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을 지키겠다는 신앙심으로 대장경판을 조성한 것이다. 판각 시기에...
    시대 :
    고려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제작시기 :
    고려 현종 연간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성암고서박물관, 호림박물관, 호암미술관, 개인 소장, 일본의 경도 난젠지(南禪寺)와 대마도
  • 저고여피살사건 著古與被殺事件
    외교관계를 맺게 된 것은 1218년 거란유종(契丹遺種)을 친다는 구실로 고려에 들어온 몽골·동진(東眞) 연합군이 고려군과 함께 이듬해 1월 강동성에서 거란을 물리친 다음이다. 그뒤 몽골은 강동성의 전투를 고려에 큰 은혜를 베푼 것이라 하면서 자주 사신을 파견하여 많은 세공물(歲貢物)을 요구했다. 1219~2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7건

거란족의 변발 모습
장막을 치고 잔치를 벌이는 거란족의 모습
서기 700년 무렵, 거란족의 영토를 표기한 지도
매사냥에 나선 거란의 귀족을 묘사한 그림
1025년, 요나라의 위세가 최고에 달했을 때의 영토
요나라 태조 황제 야율아보기
중앙아시아에 들어선 서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