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란 몽골제국의 선배가 된 유목민 집단
    유명한 여행가인 베네치아의 마르코 폴로는 자신의 책인 《동방견문록》에서 중국 북부를 ‘카타이’라고 불렀고, 예수회의 마테오 리치도 각각 1575년과 1607년에 중국에 도착해서 중국을 ‘카타이’라고 했다. 카타이는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기까지 유럽에서 중국 북부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였고, 오늘날에...
  • 거란 (동의어 거란족) 요(遼), 契丹
    거란은 5세기 중엽부터 1125년까지 퉁구스와 몽골의 혼혈족으로 알려진 동호(東胡)계의 한 종족명이자 국가명이다. 요하 상류인 시라무렌[西刺木倫]의 남쪽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여러 부족으로 이루어진 민족이다. 거란국은 당나라 말과 오대십국의 혼란기를 틈타 8부족을 통일한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에 의해 9...
    시대 :
    고려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거란 (동의어 거란족) 해단, 契丹
    몽고계의 한 종족으로 추정되는 거란은 모용연에 의해 격파된 선비족이 우문·해·거란으로 분리된 4세기 전반부터 사서에 등장한다. 이들은 필요할 때는 서로 잠정 동맹을 맺었으나 내부적으로는 끊임없이 충돌을 일으켰다. 이러한 상황은 당의 기미지배로 바뀌었다. 628년 거란 8부의 수령들이 모두 부족을 이끌고 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거란 (관련어 거란족) Khitan people, 契丹
    거란거란의 후예로 추정된다. 남몽골, 몽골, 랴오닝성, 헤이룽장성, 지린성, 연해주에 거주하였다. 일찍이 378년 가을 9월에 거란이 고구려의 북쪽 변경을 침범하는 등 노략질하였으나, 고구려는 거란의 여덟 부락을 정복하였다. 광개토대왕 때는 거란 대부분을 고구려에 복속시켰다. 395년 고구려는 염수(鹽水)...
    도서 위키백과
  • 중국인 지역을 통치하는 남면관에서는 당(唐)식의 군현제도를 그대로 모방했고, 북면관에서는 내륙 아시아의 초원지대에 살고 있던 유목민을 거란의 관습법으로 다스렸다. 거란 지배자들은 중국인 고문을 두고 중국식 행정기술을 본받았기 때문에 자신들의 부족적 주체성이 흐려질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그들 부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발해의 멸망과 유민의 동향
    시대가 개막되었고, 중원에서도 5대 10국의 혼란이 야기되었다. 발해 역시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었다. 이런 혼란을 이용하여 서요하 일대에 흩어져 살던 거란은 야율아보기의 지휘 아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였다. 거란은 중원 진출을 최종 목표로 삼고 먼저 911년 서쪽의 해와 습을 정복하고 동쪽의 발해를 압박...
    시대 :
    926년~12세기
  • 야율아보기, 거란 건국
    당나라가 멸망하고 중국이 혼란에 빠지자 거란 추장 야율아보기가 거란제국을 세웠다. 거란은 몽골의 일파로 오랫동안 당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그러나 거란제국이 나타나면서 중국과 거란의 세력은 역전된다. 거란제국은 북아시아 대부분과 발해를 정복한 뒤(발해 멸망 참조), 936년에는 중국의 황하 유역까지...
    시대 :
    916년
    국가/대륙 :
    아시아
  • 고려 ・ 몽골 연합군, 강동성에서 거란 침입군 격파
    목매 자살하고 군사와 백성 5만여 명은 성문을 열고 나와 항복했다. 조충은 포로들을 각 지방의 개간이 덜된 곳에 보내 살게 했으며, 이때부터 거란장(契丹場, 고려의 거란 집단 거주지)이 생겨났다. 강동성싸움은 고려와 몽골의 첫 만남이었으며, 고려는 약속한 대로 화의를 맺고 몽골을 형의 나라로 받들었다. 참조
    시대 :
    1219년
    국가/대륙 :
    한국
  • 몽골 Mongol
    연합제국을 이루고 수세기 동안 중국의 신흥국 진(秦)나라와 전쟁을 벌이다가 48년 무너졌다. 그뒤 나타난 부족이 거란이다. 이들은 때때로 아바르이나 오르곤 돌궐, 위구르 등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거란은 만주와 화북지방을 다스리면서 그곳에 요(遼 : 907~1125)나라를 세우고 '전(全)몽골 동맹'이라는 잘...
  • 거란의 침입
    그후에도 고려가 개척한 강동6주를 계속 요구했다. 또한 당시 거란은 연운16주(燕雲十六州)를 둘러싸고 송과 대치했으며, 압록강 유역에서 거란에 의해 밀려난 여진과 발해유민과도 적대관계를 계속하고 있었다. 특히 발해유민도 송과 군사적 연합전선을 형성하여 거란에 대항하고자 했는데, 여기에 고려가 가세한다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거란, 중국 북방 연운 16주 획득
    거란이 지금의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연운 16주를 얻었다. 이 지역은 중국 북방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연운 16주 남쪽에는 이렇다 할 만한 지형적 장애물이 없어 거란 기병이 중국 본토로 곧장 쳐들어갈 수 있었다. 이후 거란(요나라)은 연운 16주를 발판으로 중국을 계속 위협한다. 참조
    시대 :
    936년
    국가/대륙 :
    아시아
  • 고려의 대외관계
    고려-금-남송의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었다. 13세기초 몽골의 등장으로 동북아시아의 질서는 재편되었다. 고려는 1219년 몽골군과 합동으로 강동성(江東城)에 웅거한 거란을 격파하면서 처음으로 몽골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몽골은 고려에 막대한 공물을 요구했다. 그뒤 사신 피살을 구실로 1231년 처음 침입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7건

거란족의 변발 모습
장막을 치고 잔치를 벌이는 거란족의 모습
서기 700년 무렵, 거란족의 영토를 표기한 지도
매사냥에 나선 거란의 귀족을 묘사한 그림
1025년, 요나라의 위세가 최고에 달했을 때의 영토
요나라 태조 황제 야율아보기
중앙아시아에 들어선 서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