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구 근접 천체들이란 무엇이며, 이들은 왜 위험한가?
    지구 주변에는 수백 개 혹은 수천 개의 지구 근접 천체들(NEO, Near-Earth Objects)이 존재한다. 이들은 지구 궤도를 가로질러 태양 주위를 도는 소행성들로, 지구 근접 천체는 우리 행성과 충돌할 수 있으며, 이는 우주적 파멸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항성 별, 恒星
    항성은 태양과 마찬가지로 스스로 빛을 발하는 고온의 가스체이다. 주계열성(主系列星)이 많은 경우에는 에너지를 CNO 순환 핵반응에 의해 수소를 헬륨으로 바꾸면서 얻는 것이 보통이지만 거성렬(巨星列) 또는 그 속의 변광성·신성 등은 또다른 원자핵 반응에 따르고 있다. 항성은 어느 것이나 지구에서 대단히 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우주에서 중력이 가장 강한 천체는 무엇인가?
    우주에서 질량이 가장 큰 천체가 가장 큰 중력을 미친다. 그러나 어떤 주어진 천체 근처의 중력장의 강도는 천체의 크기에도 의존한다. 천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중력장은 더 강해진다. 커다란 질량과 작은 크기의 궁극적인 조합이 바로 블랙홀이다.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간의 簡儀
    중국에서 원(元)의 곽수경(郭守敬)이 전부터 사용해오던 혼천의의 결함을 보충하기 위해 아라비아의 천문기구 등을 참고하여 새로 고안해 낸 것이다. 종전의 기구에 비해 크고 간략하여 관측값의 정밀도를 높였기 때문에 그후 동양에서는 주관측장치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432년(세종 14)에 이천(李蕆)·장영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중력적으로 둥근 태양계 천체 목록 List of gravitationally..
    태양계 사이드바 이 목록은 중력적으로 둥근 태양계 천체 목록이다. 자체 중력으로(정역학적 평형) 둥글어져 타원체가 된 천체들이다. 이러한 천체들은 크기 순으로 왜행성에서 위성, 행성, 태양이 있다. 이 목록은 태양계 소천체를 포함하지 않으나 모양이 정확히 결정되지 않은 행성급의 천체들은 포함한다. 태양의...
    도서 위키백과
  • 천체 분광학 天體分光學, astronomical spectroscopy
    천체로부터의 빛의 스펙트럼의 측정에서 온도·밀도·전리도·화학 조성·시선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천체 물리학에의 기여가 크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러더퍼드 Lewis Morris Rutherfurd
    천체사진용 망원경을 처음으로 제작했다. 매사추세츠 윌리엄즈타운의 윌리엄즈대학에서 자연과학을 이수했으나 나중에 변호사가 되었다. 그러나 1849년 아내의 건강 때문에 변호사업을 그만두고 유럽으로 갔다. 그는 과학에 대한 관심을 계속 가지고 있었으며, 유럽에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조반니 아미치를 만나기도...
    출생 :
    1816. 11. 25, 미국 뉴욕 모리사니아
    사망 :
    1892. 5. 30, 뉴저지 트랭퀼러티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계몽사조에서 20세기까지의 물리과학
    개요 뉴턴의 〈프린키피아〉의 수학적 엄밀함과 〈광학〉의 실험적 방법은 18, 19세기 과학의 모형이 되었다. 천체역학은 〈프린키피아〉를 따라 발전했으며, 광학·전기학·자기학·화학에는 〈광학〉의 영향이 컸다. 천체역학과 천문학 뉴턴의 이론은 1759년 목성과 토성의 중력이 핼리 혜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등급 等級, magnitude
    천체는 밝을수록 더 낮은 값의 등급을 가진다. 옛날에는 별을 6개 등급으로 나누었으며, 1등급에는 가장 밝은 별들이 있다. 1850년 영국의 천문학자 노먼 로버트 포그슨이 오늘날 쓰고 있는 체계를 제안했다. 한 등급은 2.512배의 밝기의 비로 정의되는데, 예를 들면 등급이 5.0인 별은 등급이 6.0인 별보다도 2.512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사하 Meghnad Saha
    1920년 열이온화 방정식의 개발로 알려졌는데, 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에드워드 A. 밀른에 의해 완벽한 형태로 된 이 방정식은 합성 대기에 대한 모든 연구에 기초적인 것으로 남아 있다. 이는 광원의 화학 조성의 특징인 별의 스펙트럼들에 대한 해석에 널리 적용되어왔다. 사하의 방정식은 스펙트럼의 형태와 조성을...
    출생 :
    1893. 10. 6, 인도 데카 근처 세오라탈리
    사망 :
    1956. 2. 16, 뉴델리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만 원권 지폐에는 몇 개의 문화재가 들어있나
    있는 기구가 보입니다. 혼천의입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가 별자리를 관찰했던 기록이라면, 혼천의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월오행성의 위치를 측정했던 천체시계였습니다. 세종 15년이었던 1433년에 이천과 장영실이 제작했지만 실물은 분실됐고, 우리가 만 원권 지폐에서 보고 있는 혼천의는 1669년에 송이영이 만든...
  • 하버드-스미스소니안 천체물리학 센터 Harvard–Smithsonian Ce..
    단체 정보 천체 물리학 센터|하버드 & 스미스소니안(CfA)은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와 스미스소니안 천체물리학 천문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천체 물리학 연구 기관이다. 1973년에 설립되어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본사가 있으며 천문학, 천체 물리학, 지구 및 우주 과학, 과학 교육 분야의 광범위한 연구 프로그램...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3건

다양한 천체의 모습
과학동아천문대 천체투영관과 천체관측관
천체관측실에 설치된 천체망원경
천체분광기
천체투영관
천체투영실
천체투영관
아르날도 포모도로의 〈천체 안의 천체(Sfera con Sfera)〉. 1990년대의 작품
천체투영관(planetarium)
천체투영실 외부
천체관측소 내부
▲ 천체 망원경
천체관측소 내부
천체망원경
천체망원경
천체망원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