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 어구(語句), 句두 개 이상의 단어가 통합되어 나타나는 통사론적인 언어단위. 어구 내용 절(節)이 주어와 서술어를 갖춘 두개 이상의 단어가 통합된 단위임에 비하여, 구는 주술관계(主述關係)가 나타나지 않은 두 단어 이상의 통합체를 말한다. 체언과 조사의 통합형이나(철수가), 어간과 어미의 통합형(읽는다)을 어절(語節)이라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
구 球, sphere구(球. sphere)는 한 정점(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반지름)에 있는 점들로 이루어진 3차원의 도형이다. 수학에서의 구는 속이 비어 있는 ‘구면’을, 공은 속이 차 있는 ‘구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중심 C의 좌표가 (a, b, c)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구의 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구면상의 점 P(x, y, z)...
-
구 區지방자치단체의 하부행정구역. 내용 일반적으로 서울특별시·광역시 및 인구 50만 이상의 시에 하부행정구역으로 설치되어, 국가가 위임한 사무를 처리하는 보통행정기관으로 시와 동(洞) 사이에 해당한다. 선거구·투표구·학구(學區) 등과 같이 어떠한 법령집행의 목적으로 정한 일정한 토지의 구획을 말하기도 한다...
- 시대 :
- 현대
- 성격 :
- 행정구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
산과 악, 봉, 령, 구 (동의어 구) 山과 岳, 峰, 嶺, 丘본 뜻 산(山) - 돌이 없는 높은 언덕. 악(岳) - 산보다 크고 높은 것. 바위산을 포함한다. 답인악(踏印岳, 제주). 봉(峰) - 산봉우리가 솟은 곳을 말한다. 삼도봉(三道峰, 무주), 도봉(道峰, 양주). 령(嶺) - 재를 말한다. 산굽이 중 낮은 곳이다. 구(丘) - 언덕. 돌이 있는 언덕이다. 바뀐 뜻 산악(山岳)은 작은 산과 ...
-
-
고려 17대 왕, 인종 해, 仁宗고려 제 17대 왕이자 예종의 맏아들로 이름은 해, 초명은 구, 자는 인표. 예종과 이자겸의 둘째 딸 순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예종의 맏아들이었으며, 이어 인종이 이자겸의 셋째 딸과 넷째 딸을 비로 맞아들이면서 이자겸의 권세가 크게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자겸 세력을 제거하고 난 뒤에는 서경 출신의 인물들...
- 출생 :
- 1109(예종 4)
- 사망 :
- 1146(인종 24)
- 국적 :
- 고려,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122년∼1146년
- 시호 :
- 극안공효대왕(克安恭孝大王)
- 능묘 :
- 장릉(長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