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천 강, 河川일정한 물길을 형성하며 지표를 흐르는 물줄기. 강·천 개설 하천(河川, stram, river)은 강수를 통해 지표에 공급된 물이 일정한 물길을 형성하며 경사진 지표면을 흘러내리는 현상이다. 하천을 이루고 있는 일정한 물길을 하도(河道, channel)라고 하며, 하천에 의해 형성된 또는 하천이 흐르는 낮은 골짜기를 하곡(...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천 天물리적 하늘인 허공과 대비해 초월적 존재의 세계, 그리고 그 세계에 거주하는 존재, 곧 신(deva)들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마하바스투』에 따르면 거기에는, “신과 같은 수명 · 힘 · 행운 · 지배가 있다. 부하들이나 신의 겉모습, 소리, 향기, 손의 감촉, 의복, 장식, 감각기관의 즐거움과 쾌락은 모두 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강과 하, 수, 천 (동의어 천) 江과 河, 水, 川본 뜻 강(江) - 전통적으로 장강(長江), 즉 양자강을 지칭했다. 하(河) - 갑골문에서 황하(黃河)를 지칭하는 전용 명사로 쓰였다. 수(水) - 강하(江河)의 지류를 말한다. 낙수(洛水), 한수(漢水) 등. 천(川) - 수(水)보다 단위가 낮은 물줄기를 말한다. 우리말로 ‘내’라고 한다. 내린천, 까치내. 강(江)과 하(河)는 물...
-
천 天하늘. 지고무상(至高無上). 밝음. 큼. 천체(天體). 태양. 자연(自然). 임금, 왕. 아버지. 지아비. 세상, 세계. 천개(天蓋) : 하늘. 관(棺)을 덮는 뚜껑. 천경지위(天經地緯) : 천지의 바른 도(道). 또는 천지의 도에 의하여 행함. 천경지의(天經地義) : 하늘이 바른 길을 열고 땅이 적절함을 얻는 길이라는 뜻으로, ‘...
- 유형 :
- 하늘과 땅에 관련된 한자
-
천 川내. 수류(水流)의 총칭. 산과 산 사이에 흐르는 물(작으면 溪가 된다). 수(水)보다 작다. 산천(山川) : 산하(山河). 강산(江山). 강호(江湖). 이 세상(世上), 속세(俗世)를 이름. 천후(川后) : 수신(水神). 하백(河伯). 천택납오(川澤納汚) : 하천이나 못은 더러운 물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우두머리 되는 사람은 ...
- 유형 :
- 물이나 강에 관련된 한자
-
하늘 (동의어 천)지평선이나 수평선 위로 보이는 무한대의 넓은 공간. ‘하느님’을 달리 이르는 말. 천공(天空)에 있어 신 또는 천인·천사가 살고 사람이 죽어서 올라가 머무르는 청정무구한 상상의 세계. 개설 우리가 바라보는 하늘의 현상은 지평선으로 한정되어 아득히 높고 멀리 궁륭상(穹窿狀)을 이루는 창창(蒼蒼)한 공간이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천 泉샘. 돈. 화천(禍泉) : 지나치면 불행의 근원이라는 뜻에서, ‘술〔酒〕’을 이르는 말이다. 화천(貨泉) : ‘화(貨)’자와 ‘천(泉)’자를 각각 파자(破字)해보면, ‘진인(眞人)’과 ‘백수(白水)’가 되는데, 이에 ‘돈’을 ‘백수진인(白水眞人)’이라 비유하기도 한다.
- 유형 :
- 돈(화폐)에 관련된 한자
-
꼭두서니 가삼자리, Asian madder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일본과 중국, 대만 등이 원산지이다. 산지에 있는 숲 가장자리나 들에 서식하며, 크기는 약 1~2m이다. 식재료로 사용할 때에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것이 보편적이다. 개요 식용이 가능한 꼭두서니과의 다년생초. 뿌리는 수염뿌리처럼 가늘고 길며 붉은색이 도는 노란색이다. 네모난 ...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꼭두서니목 > 꼭두서니과 > 꼭두서니속
- 원산지 :
- 아시아 (일본,중국,대만,대한민국)
- 서식지 :
- 산지 숲 가장자리, 들
- 크기 :
- 약 1m ~ 2m
- 학명 :
- Rubia akane
- 꽃말 :
- 미태
- 용도 :
- 무침용, 볶음용, 양조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