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정숙군 金正淑郡개설 북한 양강도의 북서부 압록강(鴨綠江) 연안에 위치한다. 동쪽은 삼수군(三水郡), 서쪽은 김형직군(金亨稷郡), 남쪽은 함경남도(咸鏡南道) 부전군(赴戰郡) 및 자강도(慈江道) 낭림군(狼林郡)과 맞닿아 있으며 북쪽으로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7°17′∼128°01′, 북위 41°02′∼41...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위원강 渭原江흘러드는 작은 내를 합하여 서류한다. 위원면을 남북으로 곡류하며 서류하고 하류 근처에서 북류하여온 남면강(南面江)을 합하고, 구읍동(舊邑洞)에서 압록강으로 합류한다. 위원면을 지날 때 특히 감입곡류가 심하여 산간 절벽과 작은 범람원이 아담한 옥토를 강 양안에 만들고 있다. 구읍을 비롯하여 작은 촌락이 강을...
- 성격 :
- 강
- 유형 :
- 지명
- 면적 :
- 길이 86.5㎞
- 소재지 :
- 평안북도 위원군 대덕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관방유적 關防遺蹟고려의 관방 설치는 북방의 여진족 등 주변의 방해로 수월하지 않았다. 즉 성종 3년(984)에 처음 형관어사(刑官御事) 이겸의(李謙宜, ?∼?)에게 명하여 압록강 강안에 성을 쌓아 관방을 설치하게 하였으나 여진이 군사를 일으켜 방해하였고, 성종 16년(997)에 관방을 절령으로 옮기려하기도 하였다. 이후 덕종(德宗)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평안북도의 자연환경중·서부 저산지대를 이루었으며, 천마산(1,169m)·문수산(736m) 등이 솟아 있다. 총 790여 개의 하천이 있으며, 주요하천은 압록강·청천강·대령강·구룡강·삼교천 등이다. 압록강은 중국과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서류하는데, 자강도 우시군·초산군과, 벽동군·창성군·삭주군 일대에 수풍호를 이루고 구곡천·당목천...
-
-
신갈파진 가을파지보(加乙波知堡), 新乫坡鎭조선시대에는 가을파지보(加乙波知堡)라 하였으며, 1500년(연산군 6) 주위둘레 610척(尺), 높이 8척의 석성(石城)을 쌓고, 권관(權管) 1인을 두었다고 한다. 압록강의 상류는 강폭이 좁고 유량도 적은 편이나 신갈파진을 지나면서부터는 수량이 많아지고 강의 너비도 갑자기 넓어진다. 더욱이 신갈파진은 부전강을 합류...
- 성격 :
- 하항(河港)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함경남도 삼수군 신파면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대수맥 大水貊내용 지금의 압록강 유역에 살았다. 여기에서의 대수(大水)는 압록강이며, 맥(貊)은 예맥(濊貊)을 축약하여 일컬은 ‘맥’ 또는 예와 맥으로 구분되는 것 중의 ‘맥’을 가리키는 말이다. 고구려가 성립되기 이전에 이미 압록강 일대에는 상당한 수의 예맥족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예맥족에서 고구려가 나오게...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고대사
-
운봉호 雲峰湖내용 넓이 104.88㎢, 둘레 359㎞, 길이 77.5㎞, 너비 1.2㎞. 압록강의 중류를 막아서 건설한 발전용 호수이다. 1966년에 완공되었다. 운봉호로는 압록강과 그 지류인 자성강, 중강천, 건하천, 연풍천, 삼풍천을 비롯한 많은 하천이 흘러든다. 운봉호는 전력생산뿐 아니라 압록강의 홍수와 수풍호의 물을 조절하고 담수...
- 성격 :
- 호수
- 유형 :
- 지명
- 면적 :
- 넓이 104.88㎢, 길이 77.5㎞
- 소재지 :
- 자강도 자성군, 자강도 중성군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