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신갈파진

다른 표기 언어 新乫坡鎭 동의어 가을파지보(加乙波知堡)
요약 테이블
성격 하항(河港)
유형 지명
소재지 함경남도 삼수군 신파면
분야 지리/인문지리

요약 함경남도 삼수군 신파면의 압록강에 있는 하항(河港).

내용

조선시대에는 가을파지보(加乙波知堡)라 하였으며, 1500년(연산군 6) 주위둘레 610척(尺), 높이 8척의 석성(石城)을 쌓고, 권관(權管) 1인을 두었다고 한다.

압록강의 상류는 강폭이 좁고 유량도 적은 편이나 신갈파진을 지나면서부터는 수량이 많아지고 강의 너비도 갑자기 넓어진다. 더욱이 신갈파진은 부전강을 합류한 장진강이 다시 압록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므로 이곳은 큰 배가 닿을 수 있을 정도의 하항이 된다. 그러므로 광복 전에는 신의주와 신갈파진 사이에 여객을 수송하는 프로펠러를 단 내항선이 통하고 있었다.

신갈파진은 혜산시와 함께 압록강 상류나 개마고원에서 벌채되는 원목을 집산하는 임산도시로 유명하였으며, 이곳에서 떼로 엮어 압록강 하류에 있는 중강진ㆍ만포ㆍ신의주 등으로 떠내려 보내는 중계항으로서의 기능도 다하였다.

신갈파진에서 4㎞ 가량 하류 쪽에 원래의 가을파지보였던 구갈파진(舊乫坡鎭)이 있고, 그 중간 지점에는 예로부터 하항선의 정박지로 활기를 띠었던 박주호(泊舟呼)라는 지명의 포구가 있다. 근년에는 압록강안을 따라 강계에서 신갈파진을 지나 혜산에 이르는 철도와 자동차도로가 지난다고 한다.

광복 전에는 간도(間島)에서 활동하던 독립지사들이 자주 건너와서 주민들에게 민족혼을 깨우치는 일이 잦았으므로 일본인들은 국경수비대를 주둔시켰으며, 작은 마을인데도 경찰서와 헌병 1개 분대를 상주시켰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 『함경남도지(咸鏡南道誌)』(함경남도지편찬위원회, 196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북한

북한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신갈파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