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사포딜라 sapodilla, sapotier〈프랑스어〉익지 않은 과일은 약간 떫은맛이 난다. 열매 모양은 용안처럼 생겼는데 열매 하나당 씨가 보통 2~3개 들어 있다. 열대지방에서는 11월부터 2월까지가 이 과일의 수확기이다. 이 나무의 수액에서 추잉검의 원료가 되는 치클을 얻는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했을 당시 이미 그곳 사람들은 사포딜라의 치클인 껌을 씹고...
- 분류 :
- 사포테과(Sapotaceae)
- 원산지 :
- 중미 지역
- 학명 :
- Manilkara zapota van Royen이명 : Achras sapota L, Manilkara achras Fosb.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나무껍질, 뿌리
- 외국어명 :
- sapodilla〈이탈리아어〉, zapotillo〈스페인어〉, tsiko〈필리핀어〉, lamut(라뭇)〈타이어〉, sauh manila, sawo〈인도네시아어〉, sauh manila, sawo, ciku〈말레이어〉, サポジラ(사포지라)〈일본어〉
-
나주시의 식재느타리버섯은 육질이 쫄깃쫄깃하고 맛이 담백하다. ㆍ생산시기 : 연중 단감 알맞은 기후 및 토양조건에서 생산되는 단감은 사각사각 씹히는 맛이 일품이고 수확기의 풍부한 일조량과 밤낮의 온도차가 심하여 당도가 높고 입안에서 녹는 듯 단맛이 풍부하다. ㆍ생산시기 : 10월∼익년 1월 돌미나리 영산강 주변의 물빠짐...
-
-
대추2013년 10,582톤 활용 과거 대추를 말려서 활용한 것은 보관 및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현재는 유통기술의 발달로 인해, 신선한 생대추를 수확기에 즐길 수 있다. 생과의 당도는 30brix로 매우 달고, 건대추보다 식감이 아삭하다. 외식업소에서도 단맛을 제공하는 메뉴에 생대추를 활용하는 것을 생각...
- 분류 :
- 농산물 〉 과일류 〉 기능성과일류
- 원산지 :
- 경북 경산/군위/청도, 경남 밀양, 충북 보은
- 생산시기 :
- 5~10월
- 생산량 :
- 2013년 10,582톤
- 가공식품 :
-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꿀대추
-
-
-
-
켈트인들의 생활 흔적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철의 공급이 풍부해졌음을 반증한다. 농기구를 보면, 손 쟁기는 물론이고 바퀴가 달린 쟁기까지 만들었으며, 짐승이 끄는 발루스라는 수확기도 만들어졌다. 이렇게 농기구들이 발전하면서 전과 달리 영국 각지에는 '켈트식 들판'이라 불리는 대규모 농경지의 흔적들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들...
-
긴노린재 chinch bug식물의 액을 빨아먹기 시작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해 어두운 색으로 변하며 약 40일간에 5번 탈피한다. 밀이 너무나 딱딱해져서 빨아먹을 수 없게 되거나 수확기가 되면 이 곤충의 다수는 발생단계에 따라 기거나 날아서, 다른 곡물 밭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찾거나 제2세대를 위한 산란 장소를 물색한다. 가을이면 제...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노린재목 > 긴노린재과
- 원산지 :
-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 서식지 :
- 곡물밭, 풀 덤불
- 크기 :
- 약 0.3cm ~ 1.2cm
- 식성 :
- 초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