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구마, 재배환경
    기온 저하를 초래하여 줄기가 웃자란다. 또, 줄기 마디에서 뿌리발생이 심해 덩이뿌리의 비대감소를 유발하므로 고구마의 건물생산 및 수량이 낮아진다. 수확기에 강우가 잦으면 고구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저장력이 약해진다. 토양 (1) 토양 수분 고구마의 생육에 적당한 토양 수분은 잔뿌리의 경우 최대용수량의 90...
    도서 고구마 | 태그 식물
  • 사포딜라 sapodilla, sapotier〈프랑스어〉
    익지 않은 과일은 약간 떫은맛이 난다. 열매 모양은 용안처럼 생겼는데 열매 하나당 씨가 보통 2~3개 들어 있다. 열대지방에서는 11월부터 2월까지가 이 과일의 수확기이다. 이 나무의 수액에서 추잉검의 원료가 되는 치클을 얻는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했을 당시 이미 그곳 사람들은 사포딜라의 치클인 껌을 씹고...
    분류 :
    사포테과(Sapotaceae)
    원산지 :
    중미 지역
    학명 :
    Manilkara zapota van Royen이명 : Achras sapota L, Manilkara achras Fosb.
    활용부위 :
    식용 : 열매약용 : 나무껍질, 뿌리
    외국어명 :
    sapodilla〈이탈리아어〉, zapotillo〈스페인어〉, tsiko〈필리핀어〉, lamut(라뭇)〈타이어〉, sauh manila, sawo〈인도네시아어〉, sauh manila, sawo, ciku〈말레이어〉, サポジラ(사포지라)〈일본어〉
  • 나주시의 식재
    느타리버섯은 육질이 쫄깃쫄깃하고 맛이 담백하다. ㆍ생산시기 : 연중 단감 알맞은 기후 및 토양조건에서 생산되는 단감은 사각사각 씹히는 맛이 일품이고 수확기의 풍부한 일조량과 밤낮의 온도차가 심하여 당도가 높고 입안에서 녹는 듯 단맛이 풍부하다. ㆍ생산시기 : 10월∼익년 1월 돌미나리 영산강 주변의 물빠짐...
  • 한국의 사과
    등이 주종을 이루었지만, 그뒤 인도·딜리셔스·골든딜리셔스 등도 재배되었으며 요즘에는 후지·스가루 등의 신품종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사과의 품종은 수확기에 따라 조생종·중생종·만생종으로 나뉘는데, 조생종으로 미광·조홍 등이, 중생종으로 스가루·모리스딜리셔스·스타킹딜리셔스·세계일·조나골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원맥 품질 맥주보리 품질과 평가
    윤기가 있는 광택을 가져야 한다. 녹색을 띤 것은 성숙이 불완전한 것이고 알갱이의 첨단이 갈색인 것은 곰팡이가 발생한 것이며, 빛깔이 불량한 것은 수확기에 비를 맞았거나 수확 후에 습기 있는 곳에 둔 것이다. 신선한 보릿짚 향기가 나며 연하고 전분과 같은 맛을 가지며 약간 단맛이 있는 것이 좋다. 순도가 높고...
    도서 맥주보리 | 태그 산업
  • 대추
    2013년 10,582톤 활용 과거 대추를 말려서 활용한 것은 보관 및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현재는 유통기술의 발달로 인해, 신선한 생대추를 수확기에 즐길 수 있다. 생과의 당도는 30brix로 매우 달고, 건대추보다 식감이 아삭하다. 외식업소에서도 단맛을 제공하는 메뉴에 생대추를 활용하는 것을 생각...
    분류 :
    농산물 〉 과일류 〉 기능성과일류
    원산지 :
    경북 경산/군위/청도, 경남 밀양, 충북 보은
    생산시기 :
    5~10월
    생산량 :
    2013년 10,582톤
    가공식품 :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꿀대추
  • 캔턴 Canton
    주 볼티모어에 가지고 있던 캔턴 대농장(중국과의 교역에서 얻은 이익으로 세운 개인 저택)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쟁기, 곡물수확기, 농장에 필요한 장비 등을 제조하던 곳이었는데 이후 중요한 산업요지로 발전했다. 오늘날은 전기청소기, 합금 강철, 점감(漸減)된 롤러 베어링, 금고, 가로등...
    위치 :
    미국 오하이오 주 북동부
    인구 :
    70,909명 (2017 추계)
    면적 :
    65.99㎢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크라스노야르스크 Krasnoyarsk
    길게 뻗어 있다. 주요공업단지가 자리잡고 있는 이곳은 러시아 연방 최대의 알루미늄 생산지로 꼽히며, 레이온·타이어코드·합성고무·타이어·크레인·수확기·불도저·벌채장비·텔레비전·냉장고 같은 화학 및 기계 제품도 생산한다. 조선소와 선박 수리소가 있으며, 대규모의 목재가공 공장에서는 톱질한 재목과...
    위치 :
    러시아 중동부 크라스노야르스크 주, 예니세이 강 연안
    인구 :
    1,090,811명 (2018 추계)
    면적 :
    353.9㎢
    대륙 :
    유럽
    국가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크리스털 팰리스 Crystal Palace
    미국의 출품작 가운데는 틀니, 의족, 콜트의 연발총, 굿이어의 인도산 고무 제품들, 씹는 담배, 속보로 달리는 말 1필이 끄는 1인승 2륜 경마차, 매코믹의 수확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6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10월 11일까지 일반에게 공개되었던 이 박람회를 관람했으며, 75만 달러의 총이익을 내고 10월 15일 폐막...
    위치 :
    런던의 하이드파크(Hyde Park)
    건립시기 :
    1851년
    대륙 :
    유럽
    국가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켈트인들의 생활 흔적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철의 공급이 풍부해졌음을 반증한다. 농기구를 보면, 손 쟁기는 물론이고 바퀴가 달린 쟁기까지 만들었으며, 짐승이 끄는 발루스라는 수확기도 만들어졌다. 이렇게 농기구들이 발전하면서 전과 달리 영국 각지에는 '켈트식 들판'이라 불리는 대규모 농경지의 흔적들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들...
  • 긴노린재 chinch bug
    식물의 액을 빨아먹기 시작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해 어두운 색으로 변하며 약 40일간에 5번 탈피한다. 밀이 너무나 딱딱해져서 빨아먹을 수 없게 되거나 수확기가 되면 이 곤충의 다수는 발생단계에 따라 기거나 날아서, 다른 곡물 밭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찾거나 제2세대를 위한 산란 장소를 물색한다. 가을이면 제...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노린재목 > 긴노린재과
    원산지 :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서식지 :
    곡물밭, 풀 덤불
    크기 :
    약 0.3cm ~ 1.2cm
    식성 :
    초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록퍼드 Rockford
    있으면서도 제조업 중심지로 발달했다. 주요생산물로는 공작기계·나사제품·걸쇠·철물·농기구·가구·종자 등이 있다. 1850년대초에 발명가 존 매니가 수확기와 풀베는 기계를 종합한 농기구를 개발하면서 농기계류 생산업이 시작되었다. 가구산업은 걸리너-시카고 유니언 철도가 록 강에까지 확장되면서(1852) 이곳...
    위치 :
    미국 일리노이 주 북부, 록 강 중류 연안
    인구 :
    147,811명 (2022년 추계)
    면적 :
    167.01㎢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곡물 수확기
곡물수확기
봉지재배 수확기
원목재배 수확기
팽이버섯 수확기
수확기의 버섯
수확기의 버섯
수확기의 버섯
감자 수확기(potato harvester)
옥수수 수확기(corn harvester)
곡물수확기 작용 원리
(그림 14-12) 수확기 모습
(그림 8-5) 적채 수확기 모습
(그림 7-2) 수확기 기상재해
(그림 9) 수확기의 감초 뿌리
(그림 8-1) 수확기의 적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