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조실록 英祖實錄연구하는 데에 있어 근본적인 자료이다. 현황 1930년대 이후 조선 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여러 차례 영인되었는데, 당시 이 실록도 다른 왕의 실록과 함께 영인본이 간행되었다. 『영조실록』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국역하였고, 원문 이미지, 표점 원문을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정종실록 공정왕실록(恭靖王實錄), 定宗實錄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몇 차례 영인되었는데, 당시 『정종실록』도 다른 왕의 실록과 함께 영인본으로 간행되었다. 1974년에 1권의 번역본 『정종공정대왕실록』을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출간하였고,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http://sillok.history.go.kr/)에서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향약절목 鄕約節目대부분 1권 1책으로 필사본·목활자본·목판본 등 다양하다. 이 책의 몇 종을 살펴보면, 1588년(선조 21)경 안동군 일대에서 시행된 향약을 수록한 것(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 1904년 당시 관찰사와 전주군수로 있던 권직상(權直相)을 중심으로 도내의 전역에 시행된 규약으로 북일면 서영(西永)마을과 우동면 둔산...
- 시대 :
- 조선
- 성격 :
- 향약서, 조목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사편찬위원회, 고려대학교 도서관
-
현종실록 顯宗實錄현황 1930년대 이후 조선 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몇 차례 영인 될 때, 이 실록도 함께 간행되었다.1991년부터 1992년까지 모두 9권의 번역본 『현종실록』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출간하였고, 현재 국사편찬위원회홈페이지(http://sillok.history.go.kr/)에서 국역, 원문 이미지, 표점 원문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태조실록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 太祖實錄명단이 있다. 현황 1920년대 이후 조선 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여러 차례 영인될 때, 함께 영인 · 간행되었다. 1972년에 모두 2권의 번역본 『태조강헌대왕실록』을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출간하였고,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http://sillok.history.go.kr)에서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목천현지 대록지(大麓誌), 木川縣誌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찬연대 미상의 『목천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안정복이 편찬한 『목천현지』 1책을 일제강점기 때 편사한 것이 국사편찬위원회에, 영조 연간에 편찬된 『목천현읍지』 1책이 한국민족미술연구소에 있다. 이 읍지는 2권으로 되어 있으며, 상권의 책머리에 목천현산천강역지총도(木川縣山...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17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예천군읍지 경상북도예천군읍지(慶尙北道醴泉郡邑誌), 醴泉郡邑誌때 편찬된 『예천군읍지』와 1841년(헌종 7)에 편찬된 『예천군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전한다. 또한,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예천군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1940년 이동락(李東洛)이 편찬한 『예천군지』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강역(疆域)·군명(郡名)·관직...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용궁군신증읍지 경상북도용궁군읍지(慶尙北道龍宮郡邑誌), 龍宮郡新增邑誌도서에 있고, 1891년 용궁현에서 편찬한 『용궁현읍지』가 장서각 도서에 있으며, 1895년 용궁현에서 편찬되어 일제강점기에 필사된 『용궁현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위치(位置)·건치연혁(建置沿革)·진관(鎭官)·군명(郡名)·방곡(坊谷)·성씨(姓氏)·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