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차 이산 유대인 방랑시대의 시작
    언제 어디서건 가장 중요한 것은 하느님과 맺은 계약에 충실하고 하느님의 말씀을 들으며 그대로 실천하는 삶이 궁극적인 살길임을 알려주었다. 그는 바빌로니아에 항복하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말까지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하며 유다 왕국의 멸망을 예고했다. 그 뒤 하느님이 당신 백성을 기억하고 그들과 새로운 계약...
  • 예레미야 Jeremiah
    발생한 종교 및 정치 사건들에 깊이 휘말렸으나, 그런 가운데서도 영적인 지도력을 발휘하여 동족들로 하여금 BC 586년에 예루살렘이 바빌로니아에게 함락되고 많은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로 끌려가는 등의 재난을 견뎌낼 수 있게 해주었다(바빌론 유수).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에서 북동쪽으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출생 :
    BC 650(?) 이후, 유다 아나돗
    사망 :
    BC 570경, 이집트
    국적 :
    성서
  • 카시테 Kassite
    BC 3000년대말의 엘람 자료들에 처음으로 언급되는 이들은 BC 2000년대에 메소포타미아로 진격해왔다가 함무라비의 아들에게 격퇴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바빌로니아의 북부 국경지대의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거주지를 확보했으며 후에 바빌로니아 제2왕조를 창건했다. 이들에 관한 연대기들과 역대왕의 기록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센나케리브 Sennacherib
    아름답게 꾸몄으며, 지금까지 남아 있는 성의 외벽과 내벽을 세웠다. 센나케리브는 〈구약성서〉에 주로 등장하는 인물이다(메소포타미아). 초기활동과 바빌로니아 전쟁 센나케리브는 사르곤 2세의 아들이자 후계자로서 바빌로니아에서 남부 팔레스타인과 소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제국을 물려받았다. 그의 재위 당시...
    출생 :
    미상
    사망 :
    BC 681. 1, 니네베(지금의 이라크에 있음)
    국적 :
    아시리아
  • 베로수스 Berosus
    그리스어로 바빌로니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저서(전3권)를 썼다. 후대 그리스 편집자들이 이 책을 폭넓게 사용했고, 이들의 판본들은 다시 유세비우스와 요세푸스 같은 종교사가들이 인용했다. 그의 저서는 단편적인 인용문만 남아 있으며 그는 고대 그리스인에게 바빌로니아의 기원에 관한 여러 사실을 전달해주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바빌로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칼데아 Chaldea
    칼데아의 한 지방)의 통치자인 칼데아 출신 사람 마르두크 아플라 이디나 2세(성서에는 므로닥발라단으로 기록되어 있음)는 아시리아의 반대를 무릅쓰고 바빌로니아 왕위를 차지했다(BC 721~710). BC 721~710년에 그는 마침내 도망쳤고 비트야킨은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아시리아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BC...
    위치 :
    바빌로니아 남부, 아라비아 사막과 유프라테스 강 삼각주 사이
    대륙 :
    중동
    국가 :
    이라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크세르크세스 1세 Xerxes I
    부조에서 크세르크세스는 후계자의 모습으로, 옥좌에 앉은 아버지 뒤에 서 있다. BC 486년 다리우스가 죽었을 때 크세르크세스는 35세였고 이미 12년 동안 바빌로니아를 통치한 경험이 있었다. 즉위와 더불어 그가 가진 첫 관심사는 지난 2년 동안 반란자의 수중에 있는 이집트를 평정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출생 :
    BC 519경
    사망 :
    465, 페르세폴리스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네코 2세 Necho II
    신(新)바빌로니아에 대항하는 아시리아를 지원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뒤에는 아프리카 일주 탐험대를 보내기도 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네코는 나일 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건설을 시작했는데, 이는 이집트 삼각주 유역에서 교역이 늘어났기 때문인 듯하나 결국 예언자들의 반대로 중단하고 말았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시리아 Assyria
    초기 북부인 샤니다르에서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이 발견되어 구석기시대 이래 인류가 거주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정주농경생활도 남부의 바빌로니아 지방보다 일러 BC 6000년대에는 관개에 의해 형성된 촌락이 출현했다. BC 5000년대에는 하스나·하라파·사마라의 세 문화권이 존재했음이 확인되었다. BC...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탈무드 구전 율법에 해석을 덧붙인
    심지어 해석방법이 크게 서른 두 가지로 분류되기도 했다. 아무리 구전 율법이 좋다고는 하나 기억력의 한계에 부딪혔다. 이유는 또 있었다. 기원전 6세기 바빌로니아 1차 이산 이후, 세계 도처에 흩어져 있는 유대인 젊은이들은 밀려오는 외래문화와 헬레니즘 문화에 파묻혀 정체성을 잃어갔다. 이들을 위해서는 율법도...
  • 유대 교와 《구약성서》, 바빌론 유수
    관계 속에서 국력을 신장시키기는 어려웠다. 주변국과의 사이도 녹록하지 않았다. 이집트와 아시리아 사이에서 부대꼈고, 아시리아를 물리친 신(新)바빌로니아가 들어선 뒤에는 아예 포로로 끌려가는 불운을 겪었다. 유대 왕국을 파멸로 이끈 신바빌로니아는 셈계의 한 종족인 칼데아 인이 기원전 612년 아시리아를 멸망...
    시대 :
    기원전 586년
  • 랍비 시대의 유대교
    탈무드인데, 이것은 팔레스타인에 있는 카이사리아 학파와 세포리스 학파의 해석을 모아 5세기초에 편찬한 것으로 히브리어와 아람어로 씌어졌다. 2번째는 바빌로니아 탈무드인데 메소포타미아에 이민 가서 살던 유대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주로 네하르데아·품베디타·수라 학파의 해석을 모아 7세기초에 편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바빌로니아 숫자
신 바빌로니아 석비
{▲ 바빌로니아의 점토판 지도}
인도와 바빌로니아에서의 0의 표현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 남쪽에 있는 바빌로니아 유적지
프톨레마이오스가 쓴 고대 그리스와 바빌로니아의 천문학 이론서 《알마게스트》
고대 바빌로니아의 수학 문제집.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유물이다.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수도 바빌론을 상징하는 이슈타르 문 상상도
아시리아의 영토와 아시리아를 멸망시키고 들어선 신바빌로니아의 영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