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언필 洪彦弼
    봉해지고 보익공신(保翼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548년 다시 좌의정·영의정을 역임했다. 시·서·화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밝아 중종의 명으로 〈성리대전 性理大全〉을 연구하여 경연에서 강의하기도 했다. 조광조를 싫어하여 그의 신원을 매번 제지하기도 했다. 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출생 :
    1476(성종 7)
    사망 :
    1549(명종 4)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송규렴 宋奎濂
    이 많았으나, 계속 내외의 요직을 지냈다. 정치론에 있어서 임금의 마음이 만화(萬化)의 근본임을 강조했으며, 성학(聖學)이 베풀어지고 인심이 유행하는 사회를 이상으로 여겼다. 송시열·송준길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불렸다. 저서에 〈제월당집〉이 있다. 회덕 미호서원(渼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희(文僖...
    출생 :
    1630년(인조 8)
    사망 :
    1709년(숙종 35)
    국적 :
    조선, 한국
  • 이호민 李好閔
    대우를 받았다. 교서를 잘 지었고, 시에도 뛰어나 전란의 비애를 형상화한 시들을 지었고 특히 〈용만행재문하삼도병진공한성 龍灣行在聞下三道兵進攻漢城〉은 의주로 피난한 왕을 수행하면서 지은 것으로 문학사적으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저서에 〈오봉집〉이 있다. 지례 도동향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희이다...
    출생 :
    1553(명종 8)
    사망 :
    1634(인조 12)
    국적 :
    조선, 한국
  • 김룡사 金龍寺
    588년 운달대사가 창건하여 운봉사라 했다. 1625년 혜총이 중창하고 소실된 것을 1646년 의윤과 무진이 중수했다. 절 이름을 김룡사라 한 것은 문희(지금의 문경)부사 김씨가 이 산에 불공을 드려 신녀와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의 이름을 용이라 했더니 가문이 번창하므로 이에 불공드렸던 곳을 김룡동이라 하고, 운봉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우탁 천장天章, 禹倬
    했다. 당시 원나라를 통해 정주학(程朱學)이 전래되었는데, 특히 정이(程頤)가 주석한 〈주역 周易〉의 〈정전 程傳〉을 터득해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후학들이 그를 종사(宗師)로 삼았다 한다. 유작으로 시조 2수가 전한다. 예안 역동서원(易東書院), 안동 구계서원(龜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희(文僖...
    출생 :
    1263(원종 4)
    사망 :
    1342(충혜왕 복위 3)
    국적 :
    고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윤정희 손미자, 尹靜姬
    회사의 신인배우 오디션에 합격하여 1967년 <청춘극장>으로 데뷔했으며, 이 작품으로 대종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했다. 한국영화의 황금기로 불리는 1960년대에 문희·남정임과 함께 여배우 트로이카 시대를 이끌었으며, 33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면서 거의 모든 유명 감독들과 작업을 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
    출생 :
    1944. 7. 30, 부산
    사망 :
    2023. 1. 19, 프랑스 파리
    국적 :
    대한민국
  • 꿈을 사면 효과가 있을까
    알 수 있지요. 그런데 꿈을 사면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정답이 없는 질문이지만, 꿈을 믿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있을 것도 같습니다. 김유신의 누이동생 문희가 언니한테 꿈을 산 덕에 신라의 왕후가 됐다는 설화를 떠올려 하는 말이 아닙니다. 꿈을 가진 사람과 꿈이 없는 사람, 그들이 이뤄내는 성취가 얼마나 다른지...
  • 이두용 李斗鏞
    용산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0년대 이만희·정소영 감독의 조감독으로 활동하다 1970년 문희·신성일 주연의 〈잃어버린 면사포〉로 데뷔했다. 1972년 〈아낌없이 바치리〉 등 멜로드라마로 두각을 나타냈고, 1973년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 곽재우의 무용담을 그린 시대극 〈홍의 장군〉으로 제12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영화감독
  • 신개 申槩
    좌찬성을 지냈다. 1439년에 우의정에 올라 이듬해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의주부터 경원까지 장성을 쌓을 것을 건의하여 장성축조를 시작하게 했다. 1444년에 궤장(几丈)을 하사받고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다. 저서로 〈인재문집〉이 있다.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출생 :
    1374년(공민왕 23)
    사망 :
    1446년(세종 28)
    국적 :
    조선, 한국
  • 쏘아 맞혔다. 태조는 탄복하여 기러기가 날던 땅 300결을 하사하고 본관을 평산으로 삼게 했다고 한다. 그뒤 시조의 14대손 대에서 사간공파(思簡公派)·문희공파·제정공파(齊靖公派)·정언공파(正言公派)·한성윤공파 등 25파개로 갈라졌다.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에 따르면, 가구수 21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 춘향전 春香傳
    극장에서 개봉되었다. 제작자 김태수(金泰洙), 촬영 장석준(張錫俊), 조명 차정남(車正男), 음악 김희조(金熙祚), 미술 이문현(李文鉉) 등이다. 춘향 역에 문희(文姬), 이도령 역에 신성일(申星一), 방자 역에 박노식(朴魯植), 향단 역에 여운계(呂運計), 춘향모 역에 윤인자(尹仁子) 등이 출연하였다. 70㎜ 촬영기는 이...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어령(각본)
    창작/발표시기 :
    1971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태창흥업(泰昌興業)
  • 김인문 인수, 金仁問
    개요 자는 인수(仁壽). 아버지는 무열왕(武烈王)이고, 어머니는 김유신(金庾信)의 동생 문희(文姬)이다. 문무왕(文武王)의 친동생이다. 무열왕과 김유신을 도와 백제·고구려 정벌에 공을 세웠고, 7차례에 걸쳐 당나라에 들어가 숙위(宿衛)하면서 양국간 정치분규의 중재와 해결에 힘썼다. 백제 정벌 651년(진덕여왕 5...
    출생 :
    629(진평왕 51)
    사망 :
    694(효소왕 3)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 {여진족의 모습}(‘문희귀한도(文姬歸漢圖)’의 일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