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신개

다른 표기 언어 申槩
요약 테이블
출생 1374년(공민왕 23)
사망 1446년(세종 28)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자격(子格), 호는 인재(寅齋). 할아버지는 보문각대제학 집(諿)이고, 아버지는 종부시령(宗簿寺令) 안(晏)이다.

1390년(공양왕 2) 사마시에 합격하고, 1393년(태조 2)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검열을 거쳐 문하습유·좌정언·형조좌랑·이조정랑·예문관제학 등을 지냈다. 1413년 우사간대부로서 춘추관편수관·지제교를 겸임했고, 이어 예조참의·병조참의·충청도관찰사·한성부윤 등을 지냈다. 1417년 공조판서가 되어 천추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집현전제학이 되었다. 세종 즉위 후 전라도·경상도·황해도·경기도 등의 관찰사를 지낸 뒤, 형조참판·예문관대제학·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1433년(세종 15)에는 변경지역을 침입해오던 야인 정벌을 건의하여 토벌하게 했으며, 이듬해에는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우참찬으로 지춘추관사를 겸해 〈고려사〉 편찬에 참여했고, 좌찬성을 지냈다. 1439년에 우의정에 올라 이듬해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의주부터 경원까지 장성을 쌓을 것을 건의하여 장성축조를 시작하게 했다. 1444년에 궤장(几丈)을 하사받고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다. 저서로 〈인재문집〉이 있다.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신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