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맥문동
    40cm, 나비 4∼7mm로서 7∼11맥이 있다. 꽃 꽃은 5∼7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꽃대의 길이는 25∼40cm로서 둔한 능선이 있다. 맥문동에 비해 매우 작다. 화피는 6장으로 길이는 약 4mm이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검은색으로 익으며 둥근 모양이고 지름 약 7mm이다. 줄기 꽃대의 높이는 약...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맥문동속
    학명 :
    Liriope minor (Maxim.) Makino
    개화기 :
    6월, 7월, 5월
  • 상주 맥문동 솔숲
    상주 맥문동 솔숲은 매년 8월쯤 맥문동이 가득 피어나는 소나무 숲으로 여름철 산책하기 좋은 장소로 손꼽힌다. 주변 관광지로는 장각 폭포, 야영장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용이하다. 화사한 맥문동을 배경 삼아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포토 스팟이기도 하며, 방문 전 꽃이 폈는지 확인하고 가는 것이 좋다. ◎ 한류의...
    위치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산44
  • 맥문아재비 왕맥문동, 麥門─
    개설 제주도와 전라남도·경상남도의 섬에 자생하는 떡잎이 한 개인 식물이다. 왕맥문동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다. 학명은 Ophiopogon jaburan (Kunth) Lodd.이다.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29호)과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72호) 등에서 자생하고 있다. 생태 땅속줄기가 옆으로...
    분류 :
    백합과 맥문아재비속
    원산지 :
    한국, 일본
    서식지 :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성격 :
    식물, 초본
    유형 :
    동식물
    크기 :
    길이 30∼50㎝, 지름 4∼7㎜
    학명 :
    Ophiopogon jaburan (Kunth) Lodd.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5∼7월
  • 건인맥문동엑스산 100g/병 Kunin Maekmundong Ext. Pow..
    성분/함량 500 mg 중 맥문동 1.0 그램 (KP) 효능효과 해열, 진해, 소염, 거담, 이뇨, 강심 용법용량 1일 1.15~3.84g을 3회 식전 또는 식간에 분할 복용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하여 사용하고 조제용에 배합할 경우 적의 감량하여 사용한다. 주의사항 이 약은 인습에 특히 주의할 것(사용후 반드시 밀폐할 것...
    식약처 분류 :
    [07190]기타의 조제용약
    전문/일반 :
    일반의약품
    약효 분류 :
    호흡기계 작용약 > 기타 호흡기관용약 > (한) 해열, 진해, 거담 > 맥문동
    제조/수입사 :
    건인약품(주)
    성상 :
    담갈색의 입상형 - 가루형
    제형 :
    산제, 과립제, 세립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삼영맥문동엑스산 500g/병
    성분/함량 500mg 중 맥문동 1.0 그램 (KP) 효능효과 해열, 진해, 소염, 거담, 이뇨, 강심 용법용량 1일 1.15~3.84g을 3회 식전 또는 식간에 분할 복용한다. 연령 중상에 따라 적의 증감하여 사용하고 조제용에 배합할 경우 적의 감량하여 사용한다. 주의사항 이 약은 인습에 특히 주의할 것(사용후 반듯이 밀폐할 것...
    식약처 분류 :
    [07190]기타의 조제용약
    전문/일반 :
    일반의약품
    약효 분류 :
    호흡기계 작용약 > 기타 호흡기관용약 > (한) 해열, 진해, 거담 > 맥문동
    제조/수입사 :
    엔비케이제약(주)
    성상 :
    엷은 갈색의 입상형~가루형
    제형 :
    산제, 과립제, 세립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맥문동
    식재료 맥문동 50g,물 1L(5컵) 조리방법 1. 물에 맥문동을 넣고 중간 불에서 1시간 정도 달인다. 2. 달인 차를 식힌 다음 체에 면포를 깔고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다.
    분류 :
    다과류 > 음청류 > 차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청양군의 식재
    부직포를 사용하여 새로운 농법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맛과 향이 뛰어나고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청정고추이다. ㆍ가공 식품 : 건고추, 고춧가루 맥문동 뿌리의 괴근을 약제로 이용하여 해발 2000m이하 산야의 수림속에서 자생하고 있는 다년생초본의 중국이 원산이며 일교차가 큰 기온 덕분에 고품질의 맥문동...
  • 소엽맥문동 겨우사리맥문동
    잎이 작은 맥문동 맥문동은 요즘 조경용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공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으며, 특히 상록식물이라서 겨울에도 푸른 잎이 남아 있다. 참고로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굵은 부분이 보리와 비슷하고 겨울을 이겨내는 식물이라서 붙여졌다. 소엽맥문동은 잎이 작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맥문동은 잎의...
    분류 :
    백합과
    서식지 :
    풀숲의 반음지 혹은 양지
    꽃색 :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
    크기 :
    키는 약 7~12㎝ 정도
    학명 :
    Ophiopogon japonicus (L.f.) KerGawl.
    용도 :
    관상용, 덩이줄기는 약재
    분포지역 :
    우리나라 남부지방,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10월경
  • 맥문아재비 왕맥문동
    흰 꽃이 피는 맥문동 맥문동을 닮았다고 하여 맥문아재비라는 이름이 붙었다. 형태는 서로 비슷하나 맥문동은 꽃이 자주색으로 피는 반면맥문아재비는 흰색으로 피는 점이 다르다. 또한 열매도 맥문동은 거의 검은색에 가까우나 맥문아재비는 청보라색이다.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가 보리와 비슷하고 잎은 부추처럼...
    분류 :
    백합과
    서식지 :
    반 그늘진 곳의 물 빠짐이 좋고 비옥한 토양
    꽃색 :
    흰색
    크기 :
    키는 약 30~50㎝ 정도
    학명 :
    Ophiopogon jaburan (Kunth) Lodd.
    분포지역 :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섬 지방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8~9월
    결실기 :
    9월경
  • 맥문동 Liriope (plant), ヤブラン属
    생물 분류 맥문동속(Liriope)은 비짜루목 비짜루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길고, 꽃은 자주색으로 핀다. 맥문동 (Liriope muscari) Liriope gigantea 좀맥문동 (Liriope minor) Liriope exiliflora 개맥문동 (Liriope spicata)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놀리나아과 Nolinoideae, スズラン亜科
    생물 분류 놀리나아과에서 별도의 과인 루스쿠스과(Ruscaceae)로 분류하기도 했다.저널 인용 은방울꽃과(Convallariaceae) 또는 맥문동과로 분류하기도 했다. 크론퀴스트 분류법에서는 백합과에 속했던 분류군들 가운데 일부가 여기에 속해 있다. col-1-of-2 놀리나족(Nolineae S.Watson) 둥굴레족(Polygonateae Benth...
    도서 위키백과
  • Liriope 맥문동속, Liriope (genus)
    Liriope is a genus of low, grass-like, flowering plants from East Asia and Southeast Asia.Some species are often used in landscaping in temperate latitudes. It may be called lilyturf in North America although neither a true grass (family Poaceae) nor lily (genus Lilium). In the APG III...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1건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맥문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