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전체항목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88종의 식물과 약 2,000여 컷의 사진을 수.. 자세히보기

저자정연옥 | 출판사가람누리

조회순 표제어 목록

  • 쑥부쟁이 쑥부쟁이 (권영초) 가을이 다가오면 비슷하게 보이는 꽃이 많이 피는데, 쑥부쟁이와 구절초가 대표적이다. 구절초는 쑥부쟁이보다 꽃과 꽃잎이 크고 흰빛이다. 쑥부쟁..
    태그 , 야생화
  • 상사화 상사화 (개가재무릇) 상사화란 서로 생각하는 꽃이라는 뜻이다. 꽃이 피면 잎이 없고 잎이 나 있을 땐 꽃이 피어 있지 않아서, 꽃은 잎을 그리워하고 잎은 또 꽃을..
    태그 , 야생화
  • 눈개승마 눈개승마 (삼나물) 눈개승마는 누워 자라는 개승마라는 뜻이다. 승마의 한 종류이고, 승마는 약초로 마의 성질이 승한다고 해서 승마인데,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다...
  • 바람꽃 바람꽃 (조선바람꽃) 바람이 많이 부는 곳에서 잘 자란다고 해서 바람꽃이다. 바람꽃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 꽃은 대표종답게 가장 화려해서 관상 가치가 매우 ..
    태그 , 야생화
  • 무릇 무릇 (물구지) 무릇은 들이나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바른 곳이면 어디에서든 잘 자라며, 키는 20~50㎝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뿌리는 둥글고..
  • 풍란 풍란 (꼬리난초, Wind orchid) 풍란(風蘭)은 우리나라 자생난 중에서 자라는 모습이 매우 특이하고 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다. 풍란동호회나 연구회가 많이 있을 정도..
  • 꼭두서니 꼭두서니 (꼭두선이) 꼭두서니는 옛날에 옷감을 물들일 때 쓰던 식물이다. 꼭두서니의 뿌리를 삶은 물로 천이나 나무를 붉게 염색했기 때문에 붉은 빛깔을 흔히 꼭두서..
    태그 , 야생화
  • 맥문동 맥문동 (알꽃맥문동) 맥문동은 학교나 공원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다. 특히 상록식물이라서 겨울에도 푸른 잎이 남아 있는데, 그만큼 생명력이 강..
    태그 , 야생화
  • 꽃창포 꽃창포 (꽃장포) 꽃창포는 꽃이 아주 화려해서 원예품종으로 생각되지만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화다. 초여름부터 보라색 꽃이 무리지어 피는데 꽃 안쪽에는 노란 ..
    태그 , 야생화
  • 피막이 피막이 (피막이풀) 피막이는 피를 막는다는 말 뜻 그대로 피를 멈추게 하는 데에 약초로 쓰인다. 한자로는 ‘지혈초(止血草)’라고 한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병풀..
    태그 , 야생화
  • 애기물매화 애기물매화 (애기물매화풀) 물매화는 물기가 있는 땅에서 피는 매화 같은 꽃이라서 붙여진 이름으로, 매화초로도 불린다. 키가 10㎝로 아주 작아서 ‘애기’라는 명칭이 붙..
    태그 , 야생화
  • 삼백초 삼백초 삼백초(三白草)는 ‘3가지 흰 색깔을 지닌 풀’이라는 뜻이다. 3가지 흰색이란 꽃이 필 때쯤 꽃 밑에 있는 2~3개의 잎이 하얗게 변하고 꽃..
  • 비비추 비비추 비비추는 공원 등지에 가면 맥문동과 함께 무리를 이루어 심어져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언뜻 들으면 외국말 같지만 순우리말이다. 어린잎..
    태그 , 야생화
  • 배초향 배초향 (방앳잎) 배초향(排草香)은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토양의 부엽질이 풍부한 양지 혹은 반그늘에서 자란다. 특히 자갈밭에서 잘..
  • 호장근 호장근 (호장) 어릴 때의 줄기에 자주색 반점이 있어서 호피처럼 생겼다고 호장근(虎杖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호장근보다 키가 큰 왕호장근, 꽃이 붉은 붉은..
    태그 , 야생화
  • 타래난초 타래난초 (타래란) 타래난초는 나사처럼 꼬여 있는 줄기를 따라 빙빙 꼬여서 꽃이 핀다. 그 모습이 참 질서 있게 보여서 귀엽다. 타래란 뭉쳐놓은 실이나 노끈 따..
    태그 , 야생화
  • 참산부추 참산부추 (산부치) 부추는 김치나 장아찌로 만들어 먹으며, 생채로도 많이 먹는데, 참산부추 역시 부추의 일종으로 식용할 수 있다. 대표종인 부추보다 다소 큰 편..
    태그 , 야생화
  • 질경이 질경이 (길장구) 질경이는 아주 흔해서 어디에서든지 볼 수 있는 풀이다. 질경이라는 이름도 생명력이 질기기 때문에 붙여졌다. 사람들이 밟고 다녀도 잘 자라며 ..
    태그 , 야생화
  • 일월비비추 일월비비추 (방울비비추) 비비추는 언뜻 들으면 외래어 같지만 순우리말로,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데 잎에서 거품이 나올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고 해서 ‘비비추’라는..
    태그 , 야생화
  • 원추리 원추리 (넘나물) 예로부터 여인들이 원추리를 가까이하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했다. 그래서 득남초(得男草), 의남초(宜男草)라 했으며, 아들을 낳으면 근심이..
    태그 , 야생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