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증 道證
    당나라에 가서 신라승 원측의 제자가 되어 유식학을 배웠다. 692년(효소왕 1) 귀국하여 왕에게 천문도를 바쳤다. 귀국 후의 활동은 전하지 않으나 유가종의 시조인 대현의 스승이라는 설이 있다. 그의 사상적 체계는 원측의 논적인 혜소가 〈성유식론요의등 成唯識論了義燈〉을 지으면서 원측과 도증을 비판한 것과 대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비금서당 장창당, 緋衿誓幢
    王京)을 지키는 핵심적 군단(軍團)인 이른바 구서당의 한 부대로 본래의 신라사람으로만 편성하였다. 672년(문무왕 12)에 설치한 장창당(長槍幢)을 693년(효소왕 2)에 개칭한 것이다. 이름 그대로 장창(長槍)을 특기로 하는 부대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소속군관으로는 최고지휘관인 장군 2인을 비롯하여 대관대감(大官...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군제, 군부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693년(효소왕 2)
    분야 :
    역사/고대사
  • 김문영 金文穎
    지금의 강원도 춘천)총관이 되었으며, 668년에는 대아찬(大阿飡)으로서 비열성주 행군총관(卑列城州行軍摠管)에 임명되었고, 그해 사천원(蛇川原)에서 고구려군사를 크게 격파하는 전공을 세웠다. 683년(신문왕 3)에는 이찬(伊飡)이 되어 왕비 간택에도 참여하였고, 694년(효소왕 3)에는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상대등
    유형 :
    인물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김문영 金文颕
    그뒤 683년(신문왕 3)에 신문왕이 새 부인으로 김흠운(金欽運)의 딸을 맞을 때, 이찬의 관등에 있으면서 파진찬 삼광(三光:김유신의 아들)과 함께 택일에 참가했다. 694년(효소왕 3)에 상대등이 되었다. 695년 개원(愷元)이 상대등에 임명된 것으로 보아 김문영은 사망했거나 늙어서 사퇴한 것으로 보인다.→ 김유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비열홀주 比列忽州
    등 주요공격로의 명칭이 붙은 사령관이 나타나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그후 673년(문무왕 13)에 다시 우수주를 설치하고 비열홀주를 없앴다. 그러나 군사적 중요성은 계속 인정되어 효소왕 때는 사방 1,180보에 달하는 성을 쌓기도 했다. 경덕왕 때 삭정군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고려시대에 들어서는 등주가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통일신라시대의 음악
    받아들여 폭넓은 음악문화를 형성했다. 664년(문무왕 4)에는 웅진부성에 주둔하던 당의 군진에 구일과 성천 등 28명을 보내 당악을 배우게 했다. 693년(효소왕 2)까지 거문고는 만파식적과 함께 신기로 소중히 간직되었다가 헌강왕 이후에 이르러서 겨우 널리 퍼져 연주되었다. 특히 888년(진성여왕 2)에 편찬되었다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조부 調府
    두었으며, 경덕왕 때 주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본래대로 바꾸었다. 관등은 사지에서 나마까지였다. 사지는 685년(신문왕 5)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사고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본래대로 바꾸었다. 관등은 사지에서 대사까지였다. 사는 8명이었는데, 695년(효소왕 4)에 2명을 더했으며 관등은 선저지에서 대사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조부 調府
    나마(奈麻)까지로 하였다. 사지는 1인으로 685년(신문왕 5)에 두었으며, 경덕왕이 사고(司庫)로 고쳤다가 혜공왕이 다시 사지로 환원하였으며, 관등은 사지에서 대사까지로 하였다. 최하위직인 사는 8인이었는데, 695년(효소왕 4)에 2인을 더하였으며, 관등은 선저지(先沮知, 일명 造位)에서 대사까지로 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관서
    유형 :
    제도
    시행일 :
    584년(진평왕 6)
    분야 :
    역사/고대사
  • 김흠운 金歆運
    치고 조천성(지금의 비봉산성)을 공략하다가 백제군의 습격을 받아 패배했다. 대사 전지가 후일을 기약할 것을 권유했으나 거절하고 싸우다 대감 예파·소감 적득과 함께 전사했다. 죽은 뒤 일길찬에 추증되었다. 〈양산가 陽山歌〉는 그의 죽음을 슬퍼하여 불려진 노래이다. 딸이 신문왕의 왕비가 되어 효소왕을 낳았다...
    출생 :
    미상
    사망 :
    655(태종무열왕 2)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승전 勝詮
    내용 그의 내력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찍이 중국에 건너가 화상 법장(法藏) 밑에서 화엄학을 배우고 효소왕(孝昭王)초에 귀국하였다. 귀국할 때 법장이 동문 선배인 의상(義湘)에게 전하는 「당법장치신라의상서(唐法藏致新羅義湘書)」와 『탐현기(探玄記)』·『교분기(敎分記)』·『현의장(玄義章)』 등 많은...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비열홀주 比列忽州
    두었다. 신라의 동부 지방에서 이처럼 주가 자주 변동되었던 것은 그 때마다의 군사·정치적인 상황의 변화에 따라 신축성 있게 이를 이동했기 때문이다. 효소왕 때 이곳에 성을 쌓았는데 주위가 1,180보(步)였다. 경덕왕 때 지명을 개정하면서 이 곳의 명칭을 삭정군(朔庭郡)으로 바꾸었으며, 그 뒤 ‘비열홀’이라는...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지방행정구역
    유형 :
    제도
    시행일 :
    556년(진흥왕 17)
    분야 :
    역사/고대사
  • 이방부 理方府
    7)에 설치한 우이방부로 나누어져 있었다. 처음에는 이방부라고만 부르다가 뒤에 따로 이방부를 설치하면서 좌이방부·우이방부로 나누어 부른 듯하다. 692년(효소왕 1) 관청의 이름이 왕의 이름인 이홍과 같아 의방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관원으로 좌이방부에는 영(급찬~잡찬) 2명, 경은 2명이 있었으나 678년(문무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신라 효소왕릉 정면
경주 효소왕릉
효소왕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