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비열홀주

다른 표기 언어 比列忽州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삼국/신라
성격 지방행정구역
유형 제도
시행일 556년(진흥왕 17)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지금의 함경남도 안변 일대에 설치되어 있었다. 비열홀은 본래 고구려의 군(郡)의 하나로 이곳에 설치되었는데, 신라가 진흥왕 때 이곳을 장악하면서 주를 설치하게 된 것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일찍이 300년(기림이사금 3) 2월에 신라의 국왕이 이곳을 순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곳이 신라의 영토가 된 것은 진흥왕 때의 일이므로 이 기록은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진흥왕은 556년(진흥왕 17)에 이 곳에 주를 설치하고 사찬(沙飡) 성종(成宗)을 초대 군주(軍主)로 삼았다. 561년에 건립된 창녕의 신라진흥왕순수비에 나타나는 이른바 사방군주(四方軍主) 가운데 하나인 ‘비리성군주(碑利城軍主)’의 ‘비리성’은 바로 이 비열홀주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 뒤 568년 10월 이를 없애고 대신 강원도 고성을 치소(治所)로 한 달홀주(達忽州)를 두었다. 그러다가 668년(문무왕 8) 3월 기존의 우수주(牛首州 : 치소는 春川)를 없애는 대신 다시 비열홀주를 설치하고 파진찬 용문(龍文)을 총관(摠管)으로 삼았다.

또 673년에는 비열홀주를 없애고 다시 우수주를 두었다. 신라의 동부 지방에서 이처럼 주가 자주 변동되었던 것은 그 때마다의 군사·정치적인 상황의 변화에 따라 신축성 있게 이를 이동했기 때문이다.

효소왕 때 이곳에 성을 쌓았는데 주위가 1,180보(步)였다. 경덕왕 때 지명을 개정하면서 이 곳의 명칭을 삭정군(朔庭郡)으로 바꾸었으며, 그 뒤 ‘비열홀’이라는 지명은 행정 구역 명칭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
  • ・ 「新羅幢停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비열홀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