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라 33대 왕, 성덕 聖德王
    신라 제 33대 이자 신문왕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융기. 효소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여 정치·사회적으로 통일신라의 전성기를 이룩하였으며 상대등의 역할이 약화되었고 상대적으로 중시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유교적 이상에 맞는 구휼정책을 적극 시행하여 백성들을 구제했으며 722년에는...
    출생 :
    미상
    사망 :
    737(성덕왕 36)
    국적 :
    통일신라,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702년∼737년
    능묘 :
    경주 성덕왕릉(慶州 聖德王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성덕 융기(隆基), 聖德王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재위:702~737) .|요약문 성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 이다. 재위 기간은 702~737년이며, 신문왕의 둘째 아들로서 형 효소왕이 후사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으로 추대했다. 즉위 후 축성과 민생안정 사업에 주력했다. 잦은 수해와 전염병 만연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737년
    경력 :
    신라 국왕(재위 702∼737)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본관 :
    경주김씨
  • 성덕 Seongdeok of Silla, 聖徳王
    691년? ~ 737년 음력 2월)은 신라의 제33대 이다. 신문왕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의 친동생이다. 신문왕과 신목왕후의 차남으로, 초명(初名)은 천중(天中)이며, 휘(諱)는 융기(隆基)였으나 당나라(唐)로부터 현종(玄宗) 황제와 휘가 같다는 항의를 받고 흥광(興光)으로 고쳤다. 자식을 두지 못한 효소왕이 죽은 뒤 백...
    도서 위키백과
  • 성덕 (기자조선) Seongdeok of Gojoseon, 盛徳王
    인물 정보 성덕이다. 문혜의 아들이며 휘는 월(越)이다. 그의 왕위는 도회(직(職))이 승계받았다.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 이덕무의 《앙엽기》(盎葉記) - 국가지식포털 한국고전번역원 - 기자조선 계보 이만운의 《기년아람》(紀年兒覽) - 권5 기자조선
    도서 위키백과
  • Seongdeok of Silla 성덕왕, 聖徳王
    Seongdeok Daewang (reigned 702–737) was the thirty-third king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Silla. He was the second son of King Sinmun, and the younger brother of King Hyoso. In 704 Seongdeok married Lady Baeso 陪昭夫人 (Queen Seongjeong 成貞), the daughter of Gim Wontae. In 715 their son, J...
  • 조선 3대왕, 태종 왕권 강화로 창업의 기틀을 다지다
    남다른 총명함과 재능으로 집안의 자랑이었던 이방원 태종은 1367년(공민 16)에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났다. 태조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의 다섯째 아들이며, 이름은 방원(芳遠), 자는 유덕(遺德)이다. 방원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여 태조의 사랑을 받았다. 자라면서 유학 공부에도 심취해 문무를 겸비하였으며...
    시대 :
    조선
    출생 :
    1367년(공민왕 16)
    사망 :
    1422년(세종 4)
    본명 :
    이방원(李芳遠)
    본관 :
    전주(全州)
  • 태종 유덕(遺德), 太宗
    문물제도를 정비하고 중앙집권을 이룩함으로써 세종 성세의 토대를 닦았다. 상훈과 추모 1418년 성덕신공상왕(聖德神功上王)의 존호를 받았다. 1421년에는 성덕신공태상으로 가봉(加封)되었다. 시호는 공정예철성렬성덕신공문무광효대(恭定睿哲成烈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이다. 묘호(廟號)는 태종이다. 능호는 헌릉...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신라 33대 성덕 즉위
    신라 32대 효소왕이 아들 없이 죽고 그의 동생 이융기가 성덕(재위 702년~737년)으로 즉위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정전(丁田)을 실시해 많은 세금을 거둠으로써 재정을 안정시킨 이다(신라 정전제 실시 참조). 참조
    시대 :
    702년
    재위 :
    702년~737년
    국가/대륙 :
    한국
  • 조선 3대 왕, 태종 조선 제3대 왕, 太宗
    이성계파의 인물들을 유배시키고, 그간의 개혁법령을 폐지하는 등 반격을 시도했다. 이때 수하를 동원하여 정몽주를 살해함으로써 대세를 만회했으며 이성계를 으로 추대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정도전(鄭道傳)·조준(趙浚) 일파의 견제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에도 들지 못했다. 정도전과 조준은 신진...
    출생 :
    1367(공민왕 16)
    사망 :
    1422(세종 4)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재위 :
    1400년∼1418년
    시호 :
    태종공정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太宗恭定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능묘 :
    헌릉(獻陵)
  • 백관잠 百官箴
    성덕왕대는 문무·신문왕 대에 거듭된 귀족세력에 대한 숙청과 전제왕권의 강화에 힘입어 신라 정치사상 왕권이 가장 안정되었던 시기였다. 〈백관잠〉의 내용은 전하지 않으나 전제왕권하에서 신하들이 지켜야 할 계명들을 적은 것으로 보인다. 유교사상에 입각한 충군사상이 기조를 이루고, 백관은 귀족적인 세력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성덕대왕신종 봉덕사종, 聖德大王神鐘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완성은 혜공왕 때인 771년에 이루어졌다. 이 종은 봉덕사(奉德寺)에 달았으나 수해로 폐사된 뒤 영묘사(靈廟寺)에 옮겼다가 다시 봉황대에 종각을 짓고 보호하였다. 1915년 8월에 종각과 함께 박물관으로...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성덕왕릉
경주 성덕왕릉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
상원사 동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