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진상 李震相
    3)에는 국가제도의 이상적 개혁안을 제시한 〈묘충록 畝忠錄〉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1871년에는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대한 반대운동을 벌였다. 1876년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의 소식을 듣고 의병을 일으키려고 계획했다가 화의가 성립되자 그만두었다. 당시 천주교가 전파되고 서양과 통상함을 우려하여 척사의...
    출생 :
    1818(순조 18), 경주 성주
    사망 :
    1886(고종 23)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청일 전쟁 연표 淸日 전쟁 연표
    반납(대정봉환) 1867년 일본 메이지 천황, 도쿄로 천도. 메이지 유신 추진 1873년 조선, 고종이 직접 정치하기 시작 1875년 일본, 강화도에 불법 침입. 운요호 사건 발생 1876년 조선, 일본과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약) 체결. 조선 최초의 불평등 조약 1882년 조선, 임오군란 발생 → 흥선 대원군 다시 권력 장악...
  • 강화부 江華府
    일어나자 1874년 강화도 동쪽 해안에 포대를 설치해 외침에 대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875년 일본 군함이 포격을 가해 초지진과 포대가 완전히 파괴되는 운요호사건(雲揚號事件)이 일어났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일본의 강압으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면서 조선은 일본에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 강화유수부는 1896년...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행정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뇌서집 磊棲集
    문경현구폐전말(聞慶縣捄弊顚末)」은 그가 문경의 유지들과 폐정을 척결한 전말을 적은 것이고, 임오군란의 시발을 분석한 「국변기략(國變紀略)」, 운요호사건(雲揚號事件)에서 일본의 침략을 예시한 「인항설(仁港說)」, 압록강 연안의 무창(茂昌)·여연(閭延)·우예(虞芮)·자성(慈城)을 군(郡)으로 승격해 변방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병욱(金炳昱)
    창작/발표시기 :
    1907년(필사본), 1923년(연활자본)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2책
    간행/발행 :
    김성규·김호진(1907년), 김우진(1923년)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등
  • 영종진공원
    길 등 다양한 테마를 간직하고 있다. 총 600m의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고, 어린이들이 놀기 적합한 숲 속 유치원도 있다. 조선말 일본 군함에 의해 발생한 운요호사건으로 사라졌다가 복원된 태평루와 성곽, 이때 숨진 수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추모비도 볼 수 있다. 영종도 역사를 간직한 공원으로 공원 내 영종진...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구읍로 63 (중산동)
  • 강화도조약 조일수호조규
    운요호 사건으로 1876년 일본과 맺어진 불평등 조약 부산·인천·원산 등 3개의 개항과 치외법권의 인정 등 불평등한 내용으로 된 12개 조의 근대 조약이다. 이 조약을 맺음으로써 일본·미국·영국·독일·프랑스 등 열강의 제국주의가 본격적으로 침입하기 시작했다.
  • 조·일 수호 조규 朝日修好條規
    불평등 조약으로 얻은 손해를 보상받기 위해 조선과 수교를 원하였다. 조선에서는 민씨 정권이 권력 유지를 위해 외국과의 분쟁을 피할 필요가 있었다. 군함 운요호를 끌고 강화도에 나타난 일본은 배에 입은 사소한 피해를 이유로 조선에 보상을 요구하였고, 결국 12개 조항으로 된 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의 주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선의 개항
    강제로 밀어붙인 이 조약으로 조선은 세계 자본주의 체제에 끌려들어 가게 됐다. 1868년 메이지유신으로 먼저 국가 체제를 정비한 일본은 1875년 운요호(雲揚號) 사건을 일으켰고, 1876년 다시 군함을 몰고 와 개항을 강요했다. 쇄국의 상징이던 흥선대원군이 1873년에 물러난 조선에서는 개항을 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
    시대 :
    1876년 2월
    국가/대륙 :
    한국
  • 포함외교 Gunboat diplomacy, 砲艦外交
    물으며 병인양요를 일으켰고, 미국은 통상 및 개항을 요구하며 제너럴셔먼호 사건 및 신미양요를 일으켰다. 그리고 일찍히 서구화에 성공한 일본도 운요호 사건을 통해 강화도 조약을 강제적으로 체결하였다. 오늘날에도 포함외교는 항공모함 등을 이용하여 활용되고 있으며, 주로 항공모함 배치 및 해군 함정의 대규모...
    도서 위키백과
  • 모란사 사건 Japanese invasion of Taiwan (1874),..
    주도를 도와 성공을 이룰 것을 약속한다. 4월 7일, 해군성에서 포함 모오슈, 운요호, 보병 제1소대, 해군포 2문과 육군성에서 구마모토진 관할 보병 1대대, 포병...명령에 의해 본격적인 진압을 시작했다. 6월 3일에는 무단 사(牡丹社) 등 사건 발생 지역을 제압하고 현지의 점령을 계속했다. 전사자는 12...
    도서 위키백과
  • 강화도 조약 Japan–Korea Treaty of 1876, 日朝修好条規
    정한론'을 매개로 결집하는 걸 막으려 했고, 수호조약을 체결한 우호 국가를 대상으로 징벌하자고 주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일본은 자신들이 일으킨 운요호 사건을 핑계로 1876년 1월 30일 조선에 군함과 함께 전권대사를 보내 협상을 강요하였다. 이때 일본에서는 정한론자도 조선 개혁론자도 있었다. 운요호 사건에...
    도서 위키백과
  • 강화 초지진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624번지 일대는 조선 효종 7년(1656)에 강화도와 강화해협의 수로 방비를 위해 구축한 요새인 초지진(草芝鎭)이 있던 곳이다.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조약 이후 허물어져 돈대(墩臺)의 터와 성의 기초만 남아 있던 것을 1973년 강화전적지 보수정비사업 때 초지돈대만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7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운양호(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운요호 사건을 그린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