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산신문 釜山新聞내용 5월 3일 김준원(金俊源)을 발행인으로 하여, 부산광역시 중구 충무동 3가 102번지에서 창간되었다.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2면제였다. 이 신문은 엄정중립을 편집방침으로 내세우면서도 좌경적 색채를 띠었다. 지면의 구성은 다른 지방신문과 비슷하게 1면은 주로 『합동통신』이 제공하는 통신기사 중에서 정치에...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준원
- 창작/발표시기 :
- 1946년 5월 3일(창간), 1950년 3월(폐간)
- 성격 :
- 신문, 일간신문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김준원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김종서 국경(國卿), 金宗瑞고려사』 · 『고려사절요』의 편찬 책임자이기도 하였다. 아버지가 무관직에 있었고 육진 개척에서 이룩한 공로가 있어 흔히 무장으로 알기 쉬우나, 강직 · 엄정하고 밝은 문인 · 학자였으며, 유능한 관료이기도 하였다. 강직 · 엄정한 면모는 사헌부 · 사간원의 이력을 통해 쉽게 짐작할 수 있으며, 고제(古制)와...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최수철 일탈적인 주제를 촘촘한 문체로 엮는 소설가열림과 화해의 구조를 제시하고 있는 점도 이에 못지않은 의의를 지닌다. 페스트 장편소설 『페스트』에서 최수철은 지금껏 자신이 천착해온 의식의 해체, 엄정한 문체, 도저한 지적 사유라는 작가적 과제와 스타일을 견지하면서도, 개인 스스로 삶을 방기하는 자살이라는 문제를 전면화한다. 그리고 폐쇄적 개인에서...
- 출생 :
- 1958년 5월 13일
- 국적 :
- 대한민국
- 대표작 :
- 얼음의 도가니, 페스트, 사랑은 게으름을 경멸한다, 침대, 갓길에서의 짧은 잠
- 수상 :
- 1993년 이상문학상
-
상앙 공손앙(公孫鞅), 商鞅읍을 하사받았고 상군(商君)으로 불리게 되었다. 진나라의 재상이 된 상앙은 법 집행에 있어 한 치의 실수도, 인정도 용납하지 않았다. 상앙이 가혹할 정도로 엄정하게 법을 집행하자 그의 변법으로 피해를 입은 백성과 귀족들의 원성이 빗발쳤다. 하지만 상앙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변법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 출생 :
- 미상
- 사망 :
- BC 338
-
손자병법 시계편, 장자 지신인용엄야 將者 智信仁勇嚴也공이 있는 자에게는 충분한 상을 내리고, 죄를 지은 자에게는 반드시 그에 합당한 벌을 내린다는 신상필벌(信賞必罰)에 대한 신뢰를 가리킨다. 상과 벌이 공정하고 엄정하게 시행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을 때 병사들은 전진하고 후퇴하라는 장수의 명령에 착오 없이 움직일 것이다. 셋째, 인자해야 한다. 두(二) 사람(人...
-
시화 詩話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보려는 태도가 시화에 적용되었던 시기였다. 작품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고증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고, 동시대의 작가를 엄정하게 품평하려는 노력이 가해졌다. 대표적인 시화로는 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 이덕무(李德懋)의 『청비록(淸脾錄)』, 이서구(李書九)의 『강산...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한문학
-
-
박문수 조선 후기의 문신감당하기 어려운 대표적인 부담으로서 군포의 폐단을들고, 이를 적절히 감면하는 것이 급선무임을 지적했다. 세정에 관해서는 호조판서로 있던 1748년 〈호조일정지례(戶曹一定之例)〉를 제정하여 출납에 있어서 엄정을 기하도록 했다. 영호남을 돌며 부정한 관리를 색출했던 암행어사 순행할 때의 많은 일화가 전한다...
- 출생 :
- 1691(숙종 17)
- 사망 :
- 1756(영조 32)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본관 :
- 고령(高靈)
- 자 :
- 성보(成甫)
- 호 :
- 기은(耆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