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북구 北區
    대구광역시 북부에 있는 구. 신라시대에는 대구현·팔거리현에 속했다. 조선시대에는 대구부의 팔거현이었다. 1938년 북구출장소가 신설되었고 이후 1963년 구제 실시로 북부출장소와 달성군 공산면 동변동·서변동이 합쳐져 북구로 설치되었다. 1964년에는 태평로3가의 법정동 11개동을 중구로 이관했다. 1966년에는...
    인구 :
    444,923(2020)
    면적 :
    93.99㎢
    행정구역 :
    23개동
    소재지 :
    대구광역시
    사이트 :
    http://www.buk.daegu.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군위군의 유물·유적·관광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3, 사적 1)와 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8, 기념물 2, 민속자료 1) 및 문화재자료 13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물로 효령면 장기동에서 출토된 돌칼·돌화살촉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부계면 남산동의 군위삼존석굴(軍威三尊石窟, 국보 제109호), 삼국유사면 화북동의 인각사보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구
  • 대구교육대학교 大邱敎育大學校, Daegu National University..
    연원 및 변천 1950년에 대구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전통이 있는 대구교육대학교는 슬기·보람·사랑을 바탕으로 초등교육 발전과 인류복지에 이바지 할 참된 스승을 기른다는 대학이념 아래 유능하고 사명감 있는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교육학과에 12개의 심화과정(학부)과 20...
    시대 :
    현대
    위치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2동 1797-6
    설립 :
    1950년 3월 25일
    성격 :
    대학교, 국립교육대학교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군위 삼존석굴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軍威 三尊石窟 石造 毘盧遮▽那佛 坐像
    내용 불상 높이 74㎝. 1991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3단의 방형 연화대좌 위에 안치되어 있다. 대좌의 상대석과 중대석은 근래에 새로 만든 것이고, 하대석도 연화문(蓮花文 : 연꽃무늬)이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되어 있기는 하지만 심하게 마모되었으며 일부는 파손된 상태다...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수성구 壽城區
    1·2·3·4가, 범어동, 만촌동, 황금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으로 분동되어 수성구로 신설되었다. 1981년 경산군 고산면 일부를 편입해 대구직할시 수성구가 되었다. 1987년 가천동 일부를 동구로 이관했다. 1988년에는 자치구로 승격되었고 1991년 구의회가 개원했다. 1995년 대구시광역시...
    인구 :
    425,987(2020)
    면적 :
    76.54㎢
    행정구역 :
    23개동
    소재지 :
    대구광역시
    사이트 :
    http://www.suseong.daegu.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팔공산 파계사 八公山 把溪寺
    어의(御衣)가 나와 학계의 관심을 끌었고, 설화의 신빙성을 더해 주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100여 평에 이르는 2층 누각인 진동루(鎭洞樓)가 1984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2014년 보물로 지정된 원통전(圓通殿) 안에는 1989년 보물로 지정된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을 비롯하여...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장사진 의병장 유적
    오천리로 이주해왔다. 1592년 9월 경상북도 지방에 주둔한 일본군은 제2차 경주성 전투에서 패한 후 경주성을 버리고 서생포로 퇴각하고 있었다. 이 무렵 대구에 본영을 두고 있던 일본군의 일부가 인동 부근에도 주둔하고 있었는데 군위 경계까지 침범하여 약탈과 살인 등의 만행을 저지를 때 장사진은 의병을 일으켜...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오천1길 5-20
    지역 :
    군위
  • 동구 東區
    대구광역시 북동부에 있는 구. 1938년 대구부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8년에 동촌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이 두 출장소가 1963년 구제가 실시되면서 통합되어 대구시 동구로 승격했다. 이후 행정구역의 개편이 지속되다가, 1976년 동촌출장소가 대구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면서 동구청은 23개 행정동(15개 법정동)을...
    인구 :
    342,133(2025)
    면적 :
    182.14㎢
    행정구역 :
    23개동
    소재지 :
    대구광역시
    사이트 :
    http://www.dong.daegu.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군위 인각사지 軍威 麟角寺址
    개설 1992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인각사지는 화산(華山: 760m) 최북단 기슭, 위천(渭川)변의 퇴적지에 자리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흥현」조에 “인각사는 화산에 있으며, 동구에 바위 벼랑이 우뚝한데, 옛 말에 기린이 이 벼랑에 뿔을 걸었으므로 그렇게 이름 붙인 것으로 전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군위군의 식재
    군위군은 내륙산간에 위치하고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하며, 강수량이 적다. 위천유역에 위치한 군위읍·소보면 등지의 평야지대에서는 쌀·보리의 주곡을 주로 생산하며, 이외에 옥수수·메밀 등의 잡곡과 팥·콩·감자·고구마 등도 일부 재배한다. 채소류는 수박·오이·가지 등이 생산되고 있으며 엽채류는 배추·부추...
  • 중구 中區
    대구광역시 중북부에 있는 구. 1601년(선조 34) 경상감영(慶尙監營)이 포정동에 설치되고, 지역의 행정·산업·군사를 총괄하는 관찰사가 상주하게 되었다. 당시의 중구 일대가 중심 시가지로 형성되었고, 이것을 바탕으로 오늘날 대구시로 성장하게 되었다. 1953년 설치된 대구시 중부·종로출장소가 1963년 구제 실시...
    인구 :
    77,262명(2020)
    면적 :
    7.05㎢
    행정구역 :
    12개동
    소재지 :
    대구광역시
    사이트 :
    http://gu.jung.daegu.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수산물도매시장
    대구를 대표하는 농수산물시장 가운데 하나다. 신선한 농산물과 싱싱한 수산물을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다. 1층은 각종 농수산물을 판매하며, 2층은 구입한 활어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이다. 2층에서는 상차림 비용만 지불하면 1층에서 구입한 생선회를 먹을 수 있으며, 주류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로18길 34 (매천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건

대구 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2·28 학생 의거 기념탑. 1960년 2월 28일에 일어난 학생 의거를 기념하기 위해 명덕 로터리에 세웠다.
경상 북도 지방의 행정 · 교통 · 문화의 중심지인 대구 시가지
대동여지도 중 경상북도 대구, 청도 부분
달성 공원 안에 있는 최제우 동상
대구 시민의 휴식처인 달성 공원
금호강 기슭의 비산 염색 공단
중앙 공원 안에 있는 선화당
팔공산 남쪽에 있는 동화사
대구(영남지도)
항공사진 대구시 전경
대구광역시 달서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