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북구

다른 표기 언어 北區
요약 테이블
인구 444,923(2020)
면적 93.99㎢
행정구역 23개동
소재지 대구광역시
사이트 http://www.buk.daegu.kr/

요약 대구광역시 북부에 있는 구.

대구광역시 북부에 있는 구. 신라시대에는 대구현·팔거리현에 속했다. 조선시대에는 대구부의 팔거현이었다. 1938년 북구출장소가 신설되었고 이후 1963년 구제 실시로 북부출장소와 달성군 공산면 동변동·서변동이 합쳐져 북구로 설치되었다.

1964년에는 태평로3가의 법정동 11개동을 중구로 이관했다. 1966년에는 침산동 일부를 서구로 이관했다. 1968년에는 칠성동2가 일부를 동구로 이관했다. 1978년 칠성동2가에 있던 청사를 고성동3가로 이전했다. 1981년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칠곡군 칠곡읍 일부 지역을 편입해 칠곡출장소를 설치했다. 1984년 청사를 침산3동으로 이전했다. 1988년 자치구로 승격했다. 1995년 대구광역시 북구로 개칭했다.

동쪽은 동구와 맞닿아 있으며, 서북쪽으로는 칠곡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쪽으로 달성군·서구·중구와 접한다. 구의 중심부를 동에서 서로 흐르는 금호강을 경계로 남부는 대부분 저평한 범람원 지역이고 북부는 도덕산(660.7m)을 중심으로 하는 구릉성 산지로 되어 있다.

북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공업지역으로서 많은 공단이 들어서 있다. 제1공단·제3공단·검단공단·태전지역이 있으며 대구섬유공업의 핵심지이다. 1936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칠성동·고성동·노원동·침산동·비산동(지금의 서구)·평리동(지금의 서구)·조야동·노곡동 일대 6.38㎢가 공업지역으로 조성되면서 이 지역이 공업지역으로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6·25전쟁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공단 주변을 중심으로 북구의 남부지역에 주택이 밀집되어 있으며, 점차 신천 동쪽으로 확장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구의 중앙을 동에서 서로 관통하며 서대구 인터체인지가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행정구역은 고성동, 칠성동, 침산1·2·3동, 산격1·2·3·4동, 대현동, 복현1·2동, 검단동,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노원동, 국우동 등 23개동(행정동 기준, 법정동 기준 31개동)이 있다. 구청 소재지는 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65이다. 면적 93.99㎢, 인구 444,923(2020).

엑스코

ⓒ 대구광역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금호강 하중도

ⓒ 대구광역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대구광역시 북구


[Daum백과] 북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