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구광역시의 인구와 도시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대구광역시의 인구와 도시. 이 지역의 인구변동은 행정구역의 변천, 8·15해방 및 6·25전쟁과 같은 사회적 변동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다. 1969년 이후 연평균 5.96%의 증가율을 유지하다가 1981년 직할시가 되면서 180만을 넘어섰고, 1995년 달성군과 통합 이후 시역이 확장되어 240만 명을 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의 산업과 교통
    9,272개소의 공장이 있다. 가장 비중이 큰 것은 기계?금속공장(3,592개소)이며, 다음으로는 섬유공장(1,156개소) 및 전자공장(704개소)의 비중이 크다. 상업 대구는 상업과 섬유공업이 서로 보완의 관계를 유지하는 상공업도시로 성장해왔다. 옛날부터 영남지방 상권의 중심지로 발달했고, 조선시대에 이미 전국 3대시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일제 강점기 이후 대구시의 면적이 계속 확대되고 해방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구도 계속 증가했다. 1981년 직할시로 개편될 때에 183만 명이었던 인구는...화학섬유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1970년대에는 섬유산업을 기반으로 도시가 발전했으나, 1990년대 후반 IMF로 인해 침체기를 겪었다. 2000...
    위치 :
    대한민국 동남부
    인구 :
    2,373,844 (2024)
    면적 :
    1,497.70㎢
    행정구역 :
    7개구 2개군 7개읍 10개면 130개 행정동
    사이트 :
    http://www.daegu.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구 , 경상북도
  • 경상북도의 인구와 도시
    승격·분리되어 319만 명으로 대폭 줄어들게 되었다. 대구시를 제외한 인구는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농촌인구가 대도시로 유출됨에 따라 감소하기 시작했고...274만 8,599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경상북도 총 인구 255만 1,370명 가운데 시급 도시 인구는 212만 1,872명으로 82.4%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 달구벌, 大邱廣域市
    ㎢, 인구 17만 7758명(2020년 기준). 구청 소재지는 평리동이다. 지형은 거의 대부분이 평야이다. 북부에는 동서로 흐르는 금호강과 그 지류인 달서천(達西川...솟은 와룡산(300m)이 전부이다. 본래 이 지역은 조선 후기에 대구도호부 관할 하의 대구본부(大邱本府) 내 서중면(西中面)과 달서면(達西面)에 속했다. 그...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위치 :
    경상북도 남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면적 :
    883.52㎢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경상북도 慶尙北道
    ㎢, 인구 2,551,370(2024). 연혁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땅이었으며, 통일신라 757년(경덕왕 16)에 9주 중에서 상주와 양주가 경상북도에 속했다. 그후 고려 태조 때에 동남도로 되었다가 995년(성종 14)에 영남도·영동도·산남도로 나뉘었으며, 1106년(예종 1)에 다시 경상진주도로 합쳐진 후 몇 차례 개칭을 거쳐...
    위치 :
    한반도 동남부
    인구 :
    2,551,370 (2024)
    면적 :
    18,415㎢
    행정구역 :
    10개시 12개군
    사이트 :
    http://www.gb.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 동구 大邱廣域市 東區
    대구광역시 전체 면적 883.48㎢의 20.6%를 차지하여 달성군(426.67㎢) 다음으로 넓다.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은 임야가 전체 면적의 60.7%를 차지하며, 논...11.7㎢(6.4%), 하천 7.14㎢(3.9%), 도로 8.1㎢(4.4%)로 나타난다. 동구 지역은 도시와 농촌의 복합적인 산업분포를 이루고 있다. 금호강 남측의 기존 시가지인...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대구광역시 서구 大邱廣域市 西區
    농가인구는 561명이다. 한편 전체 농지 21.5㏊ 중에서 밭이 11.5㏊, 논 10.0㏊이며, 가구당 평균 규모는 겨우 0.017㏊로 극히 영세하다. 교통은 경부선 철도가...4개의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광역 교통망 체계는 양호한 편이다. 또한 대구광역시 지하철 2호선이 통과하고, 시내버스 노선망도 발달되어 있어 대중교통...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대구광역시 Daegu, 大邱広域市
    게이트웨이 1,000만 대구대도시권 구축 대도시권 중심도시 역량 강화 대구 케어 프로젝트 스마트 & 세이프 시티 시민 학습문화도시 대구광역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 총인구 인구그래프 비고 1925년 76,534명 새막대 1930년 93,319명 새막대 1935년 107,414명 새막대 1940년 178,923명 새막대 1938년 달성군 수성면...
    도서 위키백과
  • 대구광역시 중구 大邱廣域市 中區
    위치한 도시근린공원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희귀 거수목과 조경수, 넓은 잔디광장(26,446㎡) 그리고 사적지와 동물원이 있어 어린이 교육장과 시민들의 휴식공간...공간이다. 잔디밭과 분수 사이로 수목이 우거져 있고, 벤치도 충분히 마련되어 휴식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대구 지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 관광지...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대구광역시 북구 大邱廣域市 北區
    ㎢, 인구는 44만 3119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23개 행정동(31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청은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 있다. 자연환경 태백산맥 줄기의 팔공산(八公山)과 문암산 등으로 구성된 환상산지가 뻗어 있고, 팔조령에서 발원하여 대구시가지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북류하고 있는 신천과...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대구광역시 남구 大邱廣域市 南區
    이고, 인구는 16만 852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3개 행정동(3개 법정동)이 있다. 구청은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있다. 자연환경 지형 · 지세는 전형적인 남고북저형이다. 남부 산지는 비슬산(琵瑟山, 1,084m)을 주봉으로 하여 북동 방향으로 최정산(最頂山, 915m), 청룡산(靑龍山, 793m), 산성산(山城...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늘어나는 도시 인구
세계 도시 인구 분포
주요 도시 인구의 성장
항구 도시 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모여 사는 곳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