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균문학작가상
    허균문학작가상은 최초의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의 작가인 허균의 문학혼을 기리고, 변화와 개혁의 시대인 21세기에 걸맞는 문학인을 발굴하기 위해, 강원일보와 허균 허난설헌선양사업회가 1999년부터 전국의 신인 및 기성작가를 대상으로 중편소설 부문을 공모하는 문학상이다. 2006년 1회 이순원 2007년 2회 구효서...
    도서 위키백과
  •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許筠-許蘭雪軒記念公園)은 조선 시대 문인 허균과 허난설헌 남매를 기념하기 위해 2007년 2월 1일,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29에 조성된 공원으로 허균·허난설헌의 생가와 기념품집, 경포대 등이 있다.
    도서 위키백과
  • 마포를 대표하는 시인 권필
    들고 연거푸 들이켠다. 마포를 대표하는 또 한 사람, 권필은 1569년 마포 현석촌에서 태어났다. 지금의 상암 월드컵경기장 주변이다. 권필과 허균은 막역한 사이였다. 허균이 쓴 <그리운 벗 권필에게>라는 편지에는 권필이 강화도에 살 때는 서울에 올라오면 자신의 집에 와서 술도 마시고 시도 쓰며 마음을 나누었는데...
    관련 장소 :
    마포
  • 조선시선 朝鮮詩選
    병부급사중(兵部給事中) 서관란(徐觀瀾)을 따라 조선에 들어왔다가 조선의 한시에 관심을 가지고 수집하기 시작했는데, 오명제 자신이 지은 서(序)에 의하면 “허균(許筠)이(삼형제 가운데) 가장 영민해서 (시를) 한 번 보면 잊지 않아, 동방의 시를 수백 편이나 외워 주었다”고 한다. 그는 당시 병조좌랑이던 허균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오명제(吳明濟)
    창작/발표시기 :
    1598년, 1600년(간행)
    성격 :
    시선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2책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북경도서관
  • 국조시산 國朝詩刪
    35명의 다양한 시체(詩體)의 작품 888수를 수록하고, 편말(篇末)에 「허문세고(許門世藁)」를 싣고 있다. 이 시 선집(詩選集)은 오랫동안 발간되지 못하다가 허균(許筠, 1569~1618) 사후(死後) 80년이 지난 뒤, 숙종 때에 이르러 박태순(朴泰淳)이 다시 편집 · 간행하였다. 1695년에 쓴 박태순의 서문(序文)에는 '숙종...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문학/한문학
  • 성소부부고 惺所覆瓿藁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만력(萬曆) 계축에 쓴 이정기(李廷機)의 서문으로 미루어 보면 1613년(광해군 5) 봄이나 그 전해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때는 허균(許筠)의 일생 중에서 가장 불우했던 시기이다. 그가 칩거하면서 그동안 저술한 시와 산문들을 모아 시부(詩部) · 부부(賦部) · 문부(文部) · 설부(說部...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문학/한문학
  • 홍길동전 위도왕전(韋島王傳), 洪吉童傳
    작자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기록은 택당 이식(澤堂 李植, 1584~1647)의 『택당집(澤堂集)』 별집(別集) 권15 「산록(散錄)」에 전한다. 이를 근거로 하여 허균을 「홍길동전」의 작자(作者)로 여겨 왔다. 그러나 『택당집』의 기록은 이식의 사후(死後)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1607~1689)이 교정(校正...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손곡산인전 蓀谷山人傳
    구성 및 형식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8 전(傳)에 수록되어 있다. 허균이 지은 여타 4개의 인물전(人物傳)과 달리 이 작품은 길이가 매우 짧다. 내용 ‘손곡산인’은 조선 중기의 삼당시인(三唐詩人)인 손곡(蓀谷) 이달(李達)을 지칭하며, 그가 강원도 원주(原州) 손곡에 살았기 때문에 붙은 제목...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한문학
  • 강호 시인들의 천국 봉은사
    허균이 유년시절 겪었던 일들을 적은 글을 읽다보면 허균이 조선의 고승인 사명대사를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봉은사로 향하던 둘째 형 허봉과 함께 막 배에서 내리던 참이다. 어느 날 한 스님이 갑자기 나타나 뱃머리에 서서 우리 두 사람에게 공손히 읍(揖)을 하였다. 그러자 허봉 형님도 얼른 일어나 함께 합장했다...
    관련 장소 :
    봉은사
  • 학산초담 鶴山樵談
    내용 1책. 필사본. 『패림(稗林)』 제6집에 수록되어 있다. 허균의 후기에 의하면, 『학산초담』은 그가 임진왜란을 피하여 강릉에 머무르던 25세 때(1593)에 쓴 시(詩) 비평집이다. 허균이 청년기 시절에 활달하고 날카로운 시야로 당시의 시인들에 대한 생각과 작품을 분석한 평론서이다. 『성수시화(惺叟詩話)』와...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이항복 집터에서
    올라간 길로 내려왔다. 여러 기록을 살펴보면 이항복의 옛집은 살구나무가 많아 시인, 묵객들이 많이 출입했다고 한다. 출입 인사 명단에는 허균(許筠)도 들어 있었다. 허균은 비록 이항복과 당은 달랐으나 이항복의 인품을 늘 존경해마지않았다. 광해군이 즉위하고 대북파가 정권을 잡았을 때 이항복은 이이첨, 허균 등...
    관련 장소 :
    인왕산
  • 난설헌집 蘭雪軒集
    별세한 후 18년 뒤에 최초로 중국에서 간행되었다. 허난설헌의 작품은 상당히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임종 때 그의 유언에 따라 모두 소각되었다. 다행히 동생 허균(許筠)이 친정에 보관되어 있던 작품들을 편집,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 · 양유년(梁有年)에게 보여 출간하게 함으로써 처음으로 중국의 문사들...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저자1건

멀티미디어21건

허균
허균
허균 글씨
성소부부고(권26) / 도문대작편의 식품에 관한 내용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 석장비
국조시산(권4) / 연광정
국조시산(권3) / 연광정
패림 / 학산초담
《홍길동전》
《홍길동전》
성소부부고
홍길동전
홍길동전
성수시화
한정록
홍길동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