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난설헌 조선 중기의 시인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홍길동전>을 쓴 허균의 누나. 본관은 양천, 본명은 초희, 자는 경번, 호는 난설헌으로 어렸을 때부터 뛰어난 시재를 보였으며, 서화에도 능해 동생 허균에 의해 중국에서 난설헌집이 발간되면서 문명을 떨쳤다. 8세에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을 지어 신동이라고까지 했다. 15세에 김성립과 혼인했으...
    출생 :
    1563(명종 18), 강원 강릉
    사망 :
    1589(선조 22). 3. 19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양천(陽川, 지금의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 허난설헌 경번(景樊), 許蘭雪軒
    조선전기 『난설헌집』을 저술한 시인.|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 강원도 강릉(江陵) 출생. 아버지는 엽(曄), 오빠는 봉(篈), 남동생은 균(筠)이다. 현상(賢相) 공(珙)의 혈통을 이은 명문가문으로 유명한 문장가와 학자를 배출했다. 엽이 첫 부인 청주 한씨(淸州韓...
    시대 :
    조선
    출생 :
    1563년(명종 18)
    사망 :
    1589년(선조 22)
    유형 :
    인물
    직업 :
    시인
    대표작 :
    난설헌집
    성별 :
    분야 :
    문학/한문학
    본관 :
    양천(陽川)
  • 허난설헌 봉건시대의 굴레에 부대낀 한맺힌 부용꽃
    허균과 함께 이달에게 시를 배우다 지난날 우리나라는 철저한 남존여비의 사회였다. 그러한 사회에서 부덕이 높은 현모양처를 여성의 모범으로 꼽기도 했고, 바느질 잘하고 베 잘 짜는 여인을 훌륭한 여인상으로 꼽기도 했다. 이러한 속에서도 과감히 남성을 농락하며 한 세상을 불행하게 산 황진이 같은 여인도 있었고,...
    출생 :
    1563년
    사망 :
    1589년
  • 허난설헌 Heo Nanseolheon, 許蘭雪軒
    난설헌 허씨(蘭雪軒許氏, 1563년 ~ 1589년 3월 19일)는 조선 중기의 시인, 작가, 화가이다. 본명은 초희(楚姬)로, 다른 이름은 옥혜(玉惠)이다. 호는 난설헌(蘭雪軒), 난설재(蘭雪齋)이고, 자는 경번(景樊)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이달(李達)에게 시와 학문을 배워 천재적인 시재(詩才)를 발휘하였다. 1577년(선조...
    도서 위키백과
  • Heo Nanseolheon 허난설헌, 許蘭雪軒
    Heo Nanseolheon (1563–1589), born Heo Chohui, was a prominent Korean female poet of the mid-Joseon dynasty. She was the younger sister of Heo Pong, a minister and political writer, and elder to Heo Gyun (1569–1618), a prominent writer of the time and credited as the author of The Tale of Hong G...
  • 허난설헌 許蘭雪軒 墓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당초에 묘는 현재의 위치에서 약 500여m 우측에 있었으나, 중부고속도로의 개설로 1985년 현 위치로 이장되었다. 내용 묘의 주인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은 조선시대 여류 시인으로 자는 경번(景樊)이며 본명은 초희(楚姬)이고, 호는 난설헌이며,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허엽의 딸이고...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문학/한문학
  • 허난설헌 솔숲
    강릉에 위치한 허난설헌 솔숲은 허난설헌 생가터 주위에 있는 울창한 소나무 군락이다. 허난설헌은 27세에 요절한 조선 최고의 여류 문인으로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누이이다. 허난설헌이 7살 때까지 동생 허균과 뛰어놀았던 깨끗한 앞마당이 너른 소나무 숲에 바로 맞닿아있다. 사시사철 시원하고 향긋한 솔바람...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16 (초당동)
  • 허난설헌 생가터
    강릉에 있는 허난설헌 생가터는 조선 시대 최고의 여류문인 허난설헌의 예술혼과 문학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마련된 곳이다. 허난설헌은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누이로 8세 때부터 천재적인 시재를 발휘하였으나 27세 때 요절했다. 섬세한 필치로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달래는 노래를 했는데 허난설헌이 죽은 후 동생...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16 (초당동)
  •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혁신 사상을 선양하고, 최고의 여류 문인으로 인정받고 있는 허난설헌의 문화적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허난설헌 생가 터, 허균·허난설헌 기념관, 전통차 체험관으로 조성되어 있다. 허균·허난설헌 기념 공원에서는 매년...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29 (초당동)
  •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을 낳은 고장 강릉에 가다
    강릉의 오죽헌은 율곡과 신사임당이 태어나고 경포호 쪽으로는 추사 김정희, 김홍도, 송시열 등 많은 문인들을 배출한 생각보다 깊고 넓은 고장이다. 특히 올 하반기 방영될 이영애 주연의 ‘사임당’ 촬영지이기도 하다. 허난설헌의 생가 터에는 아직도 이 비운의 여류시인 숨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 난설헌집 蘭雪軒集
    편찬/발간 경위 1606년(선조 39) 허난설헌이 별세한 후 18년 뒤에 최초로 중국에서 간행되었다. 허난설헌의 작품은 상당히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임종 때 그의 유언에 따라 모두 소각되었다. 다행히 동생 허균(許筠)이 친정에 보관되어 있던 작품들을 편집,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 · 양유년(梁有年)에게 보여...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규원가 원부사, 閨怨歌
    集〉에 실려 있다. 홍만종의 〈순오지 旬五志〉에는 허균의 첩인 무옥(巫玉)이 지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금가곡〉에 지은이가 밝혀져 있고 허난설헌의 오언고시 〈소년행 少年行〉의 내용과 〈규원가〉의 내용이 같은 것으로 미루어, 지은이는 허난설헌(許蘭雪軒:1563~89)이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3건

광주 허난설헌 묘
난설헌시집 목판 초간본
유선사 / 난설집
난설집 표지
양간비금도
난설헌집
난설헌집
묵조도
허난설헌 생가
허난설헌 묘
허난설헌 묘
허난설헌묘
허난설헌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