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격동하는 근대조선은 19세기 후반부터 열강의 침입을 맞는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등으로 서구 열강의 개항 압력에 맞닥뜨리고, 조선왕조 내내 한반도를 침입했던 일본은 본격적으로 조선을 유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그 와중에 문란한 정치로 피폐해진 국민들은 혼탁해진 정치와 몰려드는 서구 세력에 대해 저항운동을...
-
-
이경하 여회(汝會), 李景夏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회(汝會). 1863년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자 훈련대장 겸 좌포도대장을 지냈고, 1866년 병인양요 때에는 한성부판윤·형조판서·강화부유수·어영대장·공조판서를 지냈다. 그해 대원군이 천주교도를 탄압할 때 포도대장으로서 교도들을 수없이 학살하였는데...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11년(순조 11)
- 사망 :
- 1891년(고종 28)
- 경력 :
-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강화부유수, 어영대장, 공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
-
이장렴 제경(霽卿), 李章濂李南軾)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1859년(철종 10) 황해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대원군의 중용으로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때에 진무사(鎭撫使)가 되었고, 1868년에는 병인양요로 한때 함락되었던 강화부유수가 되어 혼란된 민심을 수습하였다. 이어 1869년 금위대장이 되어...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21년(순조 21)
- 사망 :
- 미상
- 경력 :
- 황해도수군절도사, 강화부 유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전주
-
운요호사건 ─號事件5,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대만정벌을 수행한 뒤 나가사키에 주둔 중이며, 장차 조선을 정벌하려 한다. 프랑스·미국도 조선과의 관계가 미해결상태(병인양요·신미양요)로 있기 때문에, 조선이 서둘러 프랑스·미국 등과 통상관계를 체결한다면 일본은 고립되어 감히 동병(動兵)하지 못할 것이고, 따라서 한반도의...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75년 9월 20일
- 성격 :
- 전투, 포격사건
- 유형 :
- 사건
- 종결 :
- 1875년 9월 20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일본군함 운요호, 이노우에, 이민덕
- 관련 장소 :
- 강화도
-
강화 마니산 주변 가볼만한 곳, 마니산 고려 궁지 고려시대 궁궐의 일부로 남은 곳표지는 특별하게 비단을 사용하였고, 종이는 고급 초주지를 사용하였으며, 해서체로 정성 들여 글씨를 쓴 다음 붉은선을 둘러 왕실의 위엄을 더하였다. 병인양요 당시 외규장각에 보관 중이던 은괴 19상자와 함께 프랑스군의 눈을 사로잡은 것도 채색 비단 표지에 선명한 그림으로 장식된 어람용 의궤들이었다. 병인양요...
- 요금 :
- 어른 900원, 청소년·군인 600원
- 휴관일 :
- 연중무휴
- 가는 법 :
- 강화 터미널을 등진 상태에서 오른편으로 걷는다. 사거리가 나오면 강화군청 방향으로 걷는다. 우체국을 지나친 후 계속 걷다 보면 고려 궁지가 표시되어 있는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를 따라 길 안으로 들어선 후 계속 직지하여 걸으면 된다. 버스 터미널에서 고려 궁지까지는 도보로 20분 정도 소요된다.
- 이용 시간 :
- 오전 9시 ~ 오전 6시
-
녹차집 綠此集비웃었으며, 삼천리 방방곡곡을 두루 돌아다녔는데, 특히 금강산을 많이 구경한 기인(奇人)이라는 내용의 글이다. 격문의 「격양이(檄洋夷)」는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보낸 격문으로 천주교를 배척한 내용과 싸우려면 즉시 배에서 내려와 승부를 겨루고, 싸우지 않으려면 빨리 도망가라는 내용이다. 책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황오
- 창작/발표시기 :
- 1932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이종소, 강신용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석촌문집 石村文集것으로 학문연구와 실천하는 방법, 효제(孝悌)·충신(忠信)·이기(理氣)·심성(心性) 등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소 중 「의척왜소(擬斥倭疏)」는 1866년 병인양요 후 일본이 외교를 구실로 접근해오는 데 대하여 임진왜란 때의 일을 상기시키고 그들을 경계할 것을 주장한 글이다. 「의창의격문(擬倡義檄文)」도 병인양요...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권석하
- 창작/발표시기 :
- 197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권기섭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이원구(개인소장)
-
-
융서촬요 戎書撮要현재 남아 있는 것은 제1책(2권)뿐이다. 책머리의 목록 다음에 실려 있는 저자의 형 갈봉노초(葛峰老樵)가 쓴 서(序)에 의하면, 이 책의 실제 저자는 병인양요 때 중임을 맡았던 무신이었다. 그는 프랑스군의 침입을 맞이하여 전국이 경동(警動)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은 평소에 대비가 없었던 때문이라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신관호(申觀浩)
- 창작/발표시기 :
- 1867년(고종 4)
- 성격 :
- 군서, 병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책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