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화암사 동종 花巖寺 銅鐘내용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전체적으로 검은 빛이 감도는 화암사동종은 전체 높이가 105㎝이고, 입지름이 69㎝로, 16세기 후반에 제작된 동종 가운데 크기가 큰 편이다. 종의 형태는 상부에서 중앙을 향해 벌어지며 내려오다 살짝 오므라드는 모양을 보인다. 천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남양주 봉선사 동종 南陽州 奉先寺 銅鍾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봉선사 동종은 세조의 추복을 위해 1469년에 제작되었다. 왕실 발원으로 만들어진 조선 초기 대표적인 범종이다. 내용 봉선사는 세조의 능침인 광릉(光陵)의 원찰로 그의 비인 정희왕후 윤씨와 아들 예종에 의해 1469년에 창건되었으며, 같은 해 7월에 동종이 주조되었다. 왕실 발원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내장사 조선 동종 內藏寺 朝鮮 銅鐘내용 총 높이 72.5cm, 종신높이 7cm, 종지름 46.5cm. 1768년(영조 44) 제작.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동종의 형식과 양식을 보면 종정상의 용통(甬筒 : 음관)은 고려 후기 동종에서 보이는 일반적 양식을 갖추고 단룡(單龍)의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로 용의 입...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여수 흥국사 동종 흥국사강희사년명종, 麗水興國寺銅鍾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15.5㎝. 원래 순천의 월등면 동리산(桐裏山)에 있었던 대흥사(大興寺)라는 절에서 1665년(현종 6)에 750근의 중량을 들여 제작한 범종이었으나 어떠한 연유인지 몰라도 지금의 흥국사로 옮겨졌다. 그리고 명문에서 확인되듯이 17세기 중엽에서 말까지 남해안에 인접한 경상남도...
- 시대 :
- 조선후기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556호
- 성격 :
- 동종, 범종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115.5㎝
- 제작시기 :
- 1665년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산17번지 흥국사
-
갑사 동종 甲寺 銅鐘밝히고, 당시 주조에 쓰였던 물품의 시주자를 적어놓았다. 의의와 평가 이 종은 기본형태와 양식에서 신라종·고려종을 계승하고 있으며, 조선시대 전반기 동종의 양식을 볼 수 있는 대표적 작품의 하나이다. 현재도 조석(朝夕) 예불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종신이나 용뉴(龍鈕)에 아무런 손상이 없는 완전한 형태이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강릉 관음사 동종 江陵 觀音寺 銅鍾내용 이 동종은 1794년(정조 18)에 조성되어 현재 강릉의 관음사 법당에 봉안되어 있다. 정상부에는 음통과 용뉴(龍鈕: 용 모양의 꼭대기 장식)가 1개씩 있다. 용뉴의 용은 꼬리로 음통을 한 번 휘어 감고 있으며 2조의 발톱이 있는 다리로 종의 상부인 천판을 부여잡고 있다. 용은 이목구비가 잘 표현되어 있고 신체...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혜원명동종 大惠院銘銅鍾내용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금의 경기도 안성 지역인 죽주(竹州)에 소재했던 대혜원의 동종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다. 동종은 불룩한 몸체가 아래로 갈수록 살짝 오므라드는 형태이며,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뉴와 긴 음통을 갖추고 있다. 천판 가장자리에는 입상화문대가 있으며, 몸체의 위와 아래에는...
- 시대 :
- 고려후기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781호
- 성격 :
- 범종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74㎝, 지름 44.5㎝
- 재질 :
- 청동
- 제작시기 :
- 고려 후기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 용인대학교박물관
-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鐘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167㎝, 입지름 91㎝. 용뉴 좌우에 오목새김된 명문에 의해 이 종이 725년(성덕왕 24)에 주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어떠한 목적으로 주성되어 어느 절에 보관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안동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안동루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 天興寺銘 銅鍾내용 1993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128.3㎝, 종 몸체의 높이 9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제작기법이나 양식에서 있어서 고려시대의 우수한 대표적 범종이다. 종의 형태를 살펴보면, 용뉴(龍鈕)는 신라종의 용뉴와는 달리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고개를 들어올린 형상이다. 용통(甬筒)은 신라종과 유사하게 5단...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승천사동종 계지사동종, 承天寺銅鐘내용 높이 76㎝, 입지름 44.5㎝. 중형종으로서 음통(音筒)은 비교적 가는 편이고 길다. 그 표면에는 4단의 화문을 각주(刻鑄)하여 장식하였고, 붙여서 조형된 용뉴(龍鈕)도 종의 규모에 비하여 연약한 감을 주고 있다. 용두의 모양은 비교적 정교하게 표현하였으며, 입을 벌려서 종정(鐘頂) 위에 얹힌 보주를 깨물고...
- 시대 :
- 고려
- 성격 :
- 범종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76㎝, 입지름 44.5㎝
- 제작시기 :
- 고려시대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일본 후쿠오카현(福岡縣) 하카타시(博多市) 쇼텐사(承天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