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신각 동종 서울 보신각종, 舊 普信閣 銅鍾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에 있었던 조선 전기의 종.|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1m, 입지름 2.28m. 1985년까지 종로 보신각에 걸려 있어 제야(除夜)의 종으로 사용되었던 종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 보존 중이다. 원래는 1395년(태조 4) 종로 운종가(雲從街)에 종각을 짓고 권근(權近)이 찬...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보신각 동종 보물 제2호
    태조는 1395년 운종가에 종각을 세우고 커다란 종을 매달았다. 임진왜란으로 종과 종각이 모두 소실되었고, 현재의 종은 1469년에 주조한 것이다. 원래 서대문 안의 정릉사에 있었는데 원각사로 옮겼다가 1619년에 종루로 옮겼다. 1895년 3월 15일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단 이후부터 보신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재 , 보물
  • 보신각 동종 (관련어 옛보신각동종)
    문화재 정보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1985년까지 섣달그믐 자정에 종을 울리는 행사를 하였으나 종의 보호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오늘날 새해맞이 타종을 위해 보신각에 걸...
    도서 위키백과
  • 제야의 종
    현판을 내걸은 다음부터다. 태조 때 만든 종각은 세종 때에 개축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종루와 종이 소실되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보신각 동종은 세조 때 주조한 것으로, 1985년까지 제야의 종 행사 때 사용했던 종이다. 지금의 보신각은 6·25전쟁 뒤에 재건한 것이며, 종은 1985년에 새로 주조한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의식행사 , 불교
  • 보신각 Bosingak, 普信閣
    Seoul 07 (8524025516).jpg|2013년 삼일절 Boshingak for The 20th Presidential Inauguration 02 (52062193600).jpg|2022년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한국 도시철도 종로3가역한국 도시철도 광화문역 영화 《시간이탈자》의 오프닝을 장식한 보신각 제야의 종을 행사하는 장면이 나온다. 보신각 동종 대한민국의 누정
    도서 위키백과
  • 용산공원 근현대 120년 격동의 역사를 목격한 곳
    도심 녹지 속에 자리 잡고 있다. 평일에도 그렇지만 휴일이면 견학 온 학생들과 소풍 나온 시민들의 발길이 끊일 줄 모른다. 박물관 건물을 나와 보신각 동종(보물 제2호)이 있는 남동쪽 뜰을 거닐어 가족공원으로 들어선다. 청둥오리와 잉어가 노니는 연못 주위로 산책로가 열려 있다. 조각공원 풀밭에서 오락하는...
    면적 :
    약 300만㎡(총면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1~6가 일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 시법
옛 보신각 동종 부분
옛 보신각 동종 부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