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태조는 1395년 운종가에 종각을 세우고 커다란 종을 매달았다. 임진왜란으로 종과 종각이 모두 소실되었고, 현재의 종은 1469년에 주조한 것이다. 원래 서대문 안의 정릉사에 있었는데 원각사로 옮겼다가 1619년에 종루로 옮겼다. 1895년 3월 15일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단 이후부터 보신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재의 종각은 6·25전쟁 뒤에 재건되었다.
높이 318㎝, 입지름 228㎝인 보신각종은 현존하는 종 가운데 성덕대왕신종 다음으로 크다. 종의 정상부는 반구형처럼 둥글고 중앙에는 쌍룡으로 된 용뉴가 있다. 종신은 3개의 띠에 의해 상하단으로 나뉘었고, 상단에는 보살입상의 윤곽이 보이나 당좌는 없다.
1985년까지 재야의 종으로 사용했으며, 그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보물 제2호이다.
1468년 작. 보물 제2호. 높이 318㎝, 입지름 22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조는 1395년에 고려의 제도를 모방하여 운종가(雲從街)에 종각을 세우고 커다란 종을 매달았는데 이 종소리에 따라 성문을 열고 닫았다고 한다. 세종 때 종각을 개축했으나 임진왜란으로 종과 종각이 모두 소실되었다.
현재의 종은 1469년(세조 14) 주조한 것으로 원래 서대문 안에 있는 정릉사(貞陵寺)에 있었는데 원각사(圓覺寺)로 옮겨진 뒤 원각사가 없어지자 남대문에 옮기려 했던 것을 1619년(광해군 11)에 종루로 옮겨 걸었다. 종각의 이름이 보신각이 된 것은 1895년(고종 32) 3월 15일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내걸은 다음부터이며 현재의 종각은 6·25전쟁 뒤에 재건한 것이다.
보신각종은 현존하는 종 가운데 성덕대왕신종 다음으로 크며, 종의 정상부는 반구형처럼 둥글고 그 중앙에는 쌍룡으로 된 용뉴(龍鈕)가 있다. 종신(鐘身)은 3개의 굵은 띠에 의해 상하단으로 나뉘었고, 상단에는 다른 조선시대 종에서 흔히 보이는 보살입상의 윤곽이 보일 뿐 당좌(撞座)도 없다. 종신에 있는 '성화4년'(成化四年)으로 시작되는 명문에 의해 종의 주조 연대와 제작에 참여한 사람 및 장인을 알 수 있다. 반구형의 정상부, 띠장식에 의해 상하단으로 분리된 종신, 당좌의 소멸 등은 조선 초기 동종의 특징이며, 조선 초기의 동종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임진왜란과 6·25전쟁 때 화재로 인해 원래의 모습과 음향이 많이 손상되었지만 1985년까지 재야의 종으로 사용했으며, 그뒤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