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고인쇄기술사 韓國古印刷技術史에서 우리나라 고서목록과 도서해제를 해 놓은 것이 매우 빈약하다고 하였다. 김원룡 교수의 『한국고활자개요(韓國古活字槪要)』와 손보기 교수의 『한국인쇄기술사(韓國印刷技術史)』가 출판되어 한국 인쇄술의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개척하였으나, 고활자 인쇄는 인쇄술 연구의 한부분에 국한된 것이며 인쇄기술사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두종
- 창작/발표시기 :
- 1974년
- 성격 :
- 이론서, 과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탐구당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한국과학기술사 韓國科學技術史할 수 있는 홍이섭(洪以燮)의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는 조선 초에서 조선 말까지의 과학기술을 연대순으로 서술한 개설서였다. 여기에 비하여 『한국과학기술사』는 분야별로 나누어 천문학·기상학, 물리학과 물리기술, 화학과 응용화학, 지리학과 지도를 다루고 있다. 니담(Needham,J.)의 『중국의 과학과 문명...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전상운(全相運)
- 창작/발표시기 :
- 1966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과학세계사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기술사 技術士종목의 신설, 통합 및 폐지 등을 통해 변화하고 있다. 2022년 말을 기준으로, 국가 기술 자격 기술사 자격 시행 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광해광업공단 등이 있으며, 기술사의 응시 자격은 다음 각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개정 2022. 2. 17.) ①...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이조농업기술사 李朝農業技術史개설 A5판. 176쪽. 1964년 한국연구원에서 간행하였다. 대륙 영향이 짙었던 조선시대 이전의 농업에 대하여 논고하고, 조선시대는 전·중·후·말의 4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대한 개관을 기술하고, 이어 특기할 만한 논제를 내세워 이를 논고하였다. 내용 제1장에서는 역사적 배경으로서 석기시대의 농경, 금석병용시대...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춘녕
- 창작/발표시기 :
- 1964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한국연구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한국문화사대계 한국현대문화사대계, 韓國文化史大系하」(천관우)의 8분야로 구성되었다. 제3권(1968)은 과학·기술사로서 「한국농업기술사」(이춘녕)·「한국어업기술사」(박구병)·「한국생물학사」(이덕봉)·「한국체신사」(진기홍)·「한국천문기상학사」(전상운)·「한국지리학사」(이찬)·「한국의학사」(노정우)·「이조조선사」(강만길)·「이조인쇄기술사...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나세진, 김원룡, 김철준 외
- 창작/발표시기 :
- 1964년∼1972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 간행/발행 :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전상운 全相運刻石) 등 16종을 보물로 지정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전상운은 평생 한국 과학사 통사 집필에 매진하였다. 1966년에 펴낸 『한국과학기술사』는 홍이섭의 『조선과학사』(1946)에서 부족하였던 과학적 내용을 제대로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74년에는 『Science and Technology in...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솜씨새로운 시대에 적응하여 발전시키는 것이 기술이다. 그러나 전래의 솜씨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할 때 문화창조의 기반이 허약해짐은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한국기술사의 여러 분야에 생긴 공백도 채울 길이 없게 된다. 아무리 기계 기술이 발달하더라도 손의 가공 능력이 가진 미묘한 변화를 외면할 수 없는 일이므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혼천의 및 혼천시계 渾天儀 및 渾天時計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게 한다. 이 천문시계는 조선의 전통적인 혼천의에다 서양식 자명종의 작동원리를 결합시켜서 만든 것으로서, 한국과학기술사에서 ‘서양과학기술의 수용과 융합의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내용 높이 99.0㎝, 길이 118.5㎝, 두께 52.5㎝의 나무상자 속에 진자식(振子式...
- 유형 :
- 유물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