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은사 奉恩寺봉은사는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었던 고려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한 사찰이다. 951년에 태조의 원당으로 아버지 태조를 위해 세웠다. 951년 무렵에 태조 진전에 태조 왕건 동상이 조성되어 안치되었다. 경내 효사관(공민왕 이후 경명전)에 태조의 어진을 봉안하였다. 1234년(고종 21) 강화도로 천도했을 때는 참정 차...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봉은사 奉恩寺봉은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도산(修道山)에 있는 사찰이다. 창건 당시에는 견성암이라 하였는데 1499년(연산군 5) 선릉의 능침사(陵寢寺)가 되면서 봉은사라 사액되었다. 1551년(명종 6) 이 절을 선종의 수사찰(首寺刹)로, 광릉의 봉선사는 교종의 수사찰로 삼았으며, 보우를 주지로 삼아 불교를 중흥하는 중심도량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강호 시인들의 천국 봉은사허균이 유년시절 겪었던 일들을 적은 글을 읽다보면 허균이 조선의 고승인 사명대사를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봉은사로 향하던 둘째 형 허봉과 함께 막 배에서 내리던 참이다. 어느 날 한 스님이 갑자기 나타나 뱃머리에 서서 우리 두 사람에게 공손히 읍(揖)을 하였다. 그러자 허봉 형님도 얼른 일어나 함께 합장했다. ...
- 관련 장소 :
- 봉은사
-
서울 봉은사 칠성도 서울 奉恩寺 七星圖개설 2007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55㎝, 가로 229.8㎝. 봉은사 칠성도는 1886년 4월 후불탱화(비로자나불도), 산신도와 함께 조성되어 판전에 봉안되었다가 1942년에 북극보전으로 이안된 불화이다. 이 불화의 증명은 호봉 응규(帍夆 應奎), 한은 정준(漢隱...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서울 봉은사 십육나한도 서울 奉恩寺 十六羅漢圖없다. 방제가 없는 나한은 제10, 11, 13, 15존자로서 원래의 나한도가 결실됨에 따라 1955년에 만봉(萬峰)과 석성(碩成)이 새롭게 조성한 것이다. 내용 봉은사 십육나한도는 상규(尙奎), 경선 응석(慶船 應釋), 종선(宗禪), 창민(昌玟), 성전(性㻇), 경협(景冾), 재겸(在謙), 금곡 영환(金谷 永煥), 영명 천기(永明 天機...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봉은사 시왕도 봉은사 시왕탱(奉恩寺 十王幀), 奉恩寺 十王圖내용 「봉은사 시왕도」는 명부(冥府) 세계에서 심판하는 시왕(十王) 중 2대왕과 4대왕이 그려진 불화로, 총 네 폭으로 구성된 시왕도 중 한 폭이다. 2018년에 미국으로부터 환수된 문화재(현, 국가유산)다. 원래의 장황과 화기는 소실되었는데, 한국전쟁 전후로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18년 국외 경매시장에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울 봉은사 삼세불도 서울 奉恩寺 三世佛圖개설 2007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면 바탕에 채색. 세로 319.7㎝, 가로 291.8㎝. 봉은사 삼세불도는 사월 지장(沙月 智昌), 보운 긍엽(寶雲 亘葉), 등운 수은(騰雲 修隱), 대연 월추(大淵 月䆋)가 증명하였고, 인권시주(引勸施主)인 오청 정월(吳淸 淨月)과 민두호(閔斗鎬)를 비롯...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서울 봉은사 대웅전 신중도 서울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개설 2007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00.5㎝, 가로 245㎝. 봉은사 대웅전 신중도는 1844년 7월 29일 당시의 지명인 광주군 수도산 봉은사에서 제작되어 봉안된 불화이다. 불화의 증명은 낙암당 정훈(洛巖堂 正訓), 무경당 관주(無鏡堂 觀周), 포운당 윤취(布雲...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서울 봉은사 비로자나불도 서울 奉恩寺 毘盧舍▽那佛圖상궁들이 시주하였다. 시주자들은 고종과 고종의 비인 민씨와 세자(후에 순종)의 수명장수를 기원하고 있어 조선시대 서울의 우두머리 사찰이자 능침원찰인 봉은사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불화 조성은 영명 천기(影明 天機)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으며 경선 응석(慶船 應釋)이 출초를 하고 동호 민철(東昊 震徹), 연하...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