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二十九누습으로 인한 자국과 내용 일부가 훼손되었으나 그 외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권말에는 양쪽 끝에 주칠이 되어 있는 권축이 붙어 있다. 송 태조 조부의 휘인 ‘경(敬)’자의 겸피휘자인 ‘경(竟)’자에 결획이 있다. 내용 화엄경 39품 가운데 제25 십회향품의 제7회향이다. 회향이란 보살이 닦은 공덕을 남에게...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實叉難陀)(한역)
- 문화재 지정 :
- 국보 제257호
- 창작/발표시기 :
- 1011년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7길 111(우면동) 관문사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三十이 책이 화엄경 주본 80권을 옮겨 적었음을 알 수 있다. 권말에는 양쪽 끝에 주칠이 되어 있는 0.8㎝의 굵기에 길이 33㎝의 권축이 붙어 있다. 송태조 조부의 휘인 ‘경(敬)’자의 겸피휘자인 ‘경(竟)’자에 결획이 있다. 내용 화엄경 39품 가운데 제25 십회향품의 제8회향이다. 회향이란 보살이 닦은 공덕을 남에게...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번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191호
- 창작/발표시기 :
- 1011년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오크밸리2길 260(월송리) 뮤지엄 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三十六大方廣)’ 부분이 보이고 그 아래에 ‘신역(新譯)’과 함차 표시인 ‘장(章)’이 온전하나, 권수제와 본문 30여 자가 훼손으로 결실되어 있다. 송태조의 조부휘인 경(敬)자가 다섯 번 등장하는데 한 곳에만 결획되어 있다. 내용 화엄경은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루고 7처 9회에서 39품으로 나눠 깨달음의...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實叉難陀)(한역)
- 문화재 지정 :
- 국보 제277호
- 창작/발표시기 :
- 11세기 초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한솔제지,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오크밸리2길 260(판대리) 뮤지엄 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二,七十五21장 이후가 탈락되었다. 권75는 온전하다. 두 권 모두 권말의 양쪽 끝에 주칠이 되어 있는데, 지름 0.9㎝에 33㎝ 크기의 권축이 붙어 있다. 송태조 조부의 휘인 ‘경(敬)’자의 겸피휘자인 ‘경(竟)’자에 결획이 있다. 그리고 권75의 권수에 ’지현(智賢)‘이란 각수 이름이 보인다. 내용 화엄경 39품 가운데 제1품인...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實叉難陀)(한역)
- 문화재 지정 :
- 국보 제266호
- 창작/발표시기 :
- 11세기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신림동) 호림박물관
-
하동 청계사 법화영험전 河東 淸溪寺 法華靈驗傳寺)에 안치했던 고려본을 판하(板下)로 하여, 1534년(가정 13) 전라도 고창(高敞) 문수사(文殊寺)에서 번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판본에는 고려 2대왕 혜종의 휘인 ‘무(武)’ 자의 마지막 획이 결획되어 있어서 고려 판본을 번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판본으로 1534년 중암판(中庵版), 1652년 개흥사판(開興寺版) 등...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七十四1권 1축, 사주단변 상하 간 크기는 22.2㎝, 장 크기는 28.7㎝×46㎝에 23항 14자씩 배열되어 있다. 11세기 초에 새긴 목판에서 찍어 낸 것이다. 송태조의 조부휘인 경(敬)자와 겸피휘자인 경(竟, 鏡)에 결획되어 있다. 재조본은 권말간기가 있고, 1항에 17자씩 배열되어 있다. 권축은 있으나 누습으로 표지가 탈락되었고...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實叉難陀)(한역)
- 문화재 지정 :
- 국보 제279호
- 창작/발표시기 :
- 1011년 이후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관문사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7, 77 화엄경 주본,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十..붙였으나 제2장부터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두 권 모두 권말의 양쪽 끝에 주칠이 되어 있는 지름 0.9㎝에 33㎝ 크기의 권축이 붙어 있다. 송태조의 조부의 휘인 ‘경(敬)’자에 결획이 있다. 내용 권67·권77 2권 모두 화엄경 39품 가운데 입법계품의 내용을 담고 있다. 권67은 선재동자가 변행외도·향팔이 장자·바이...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번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205호
- 창작/발표시기 :
- 11세기(1011년)이후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102번길 40-9(옥련동) 가천박물관
-
예종비 장순왕후 상휘호 금보 睿宗妃 章順王后 上徽號 金寶시호를 올릴 때마다 어보를 새로 제작하였다. 또 묘호(廟號)를 새길 경우에는 맨 앞에 새겼다. 예종비 장순왕후(1445~1461)의 어보로 성종 3년(1472)에 '휘인소덕(徽仁昭德)'이란 휘호를 올리면서 만든 것이나, 1924년 도난당하여 조선미술품제작소에서 다시 제작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종묘 영녕전 책보록...
- 분류 :
- 유물 > 어보
- 크기 :
- 세로: 10.1cmcm, 가로: 10.1cmcm, 높이: 8.7cmcm
- 재질 :
- 금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