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

다른 표기 언어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三十 동의어 화엄경 주본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저작자 실차난타(번역)
문화재 지정 보물 제1191호
창작/발표시기 1011년
성격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유형 문헌
권수/책수 1권1축
분야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오크밸리2길 260(월송리) 뮤지엄 산

요약 고려전기 『대방광불화엄경』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개설

보물 제1191호.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실차난타가 한역한 80권본 외에도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60권본과 반야(般若)의 40권본이 있다.

편찬/발간 경위

『화엄경』은 991년에 북송에서 개보판 대장경으로 간행되어 수입되었다. 그러다가 현종 2년에 거란의 침입이 일어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목판으로 불경을 새기게 되었던 것이다. 결국 이 대장경은 전쟁 중에 불교신앙의 힘으로 국민을 단결시켜 국난을 타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간행한 것이었다.

이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때인 1011년에 시작하여 10여 년 동안 판수제 등 개보판 대장경의 일부를 수정하여 판각하였다.

서지적 사항

상하단변에 상하간 크기는 22.6㎝ 장크기는 28.5㎝×47㎝, 한 장에 23항 14자씩 배자되어 있다. 표지가 없어지고, 첫째 장에 제목 등 약 20여 자가 없어졌다. 책 제목아래 ‘신역(新譯)’이란 표시가 있어서 이 책이 화엄경 주본 80권을 옮겨 적었음을 알 수 있다. 권말에는 양쪽 끝에 주칠이 되어 있는 0.8㎝의 굵기에 길이 33㎝의 권축이 붙어 있다. 송태조 조부의 휘인 ‘경(敬)’자의 겸피휘자인 ‘경(竟)’자에 결획이 있다.

내용

화엄경 39품 가운데 제25 십회향품의 제8회향이다. 회향이란 보살이 닦은 공덕을 남에게 나누어 준다는 뜻인데 이 30권의 내용은 제8회향으로 진여상을 회향한다는 의미다. 보살은 모든 사람에게 가식없이 세상의 진면모를 있는 그대로 깨우쳐 주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11세기 초에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으로 해인사대장경에 비해 새김이 정교하고 먹색이 진하다. 또한 매 행(行)의 글자수가 14자로 해인사본의 17자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특징도 보인다. 누습으로 인해 권수에 일부 탈락이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귀중한 초조대장경 판본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1994∼95 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