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목왕후 大穆王后
    고려는 건국 초기 송악의 지방 세력에 불과했으므로 전국 각처에서 할거하고 있던 호족들과 혼인정책을 통해 연합전선을 구축했다. 그로 인해 무려 29명의 부인을 얻은 태조 왕건은 소원하던 통일제국을 완성했지만 호족들의 군웅할거 속에 독점적인 왕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그런데 호족들은 자신들의 딸을 태조의 아...
    시호 :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
  • 대목왕후 고려 광종의 비
    고려 제4대 왕 광종의 비이며, 제5대 왕인 경종의 어머니. 광종이 호족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박탈하고자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자 외가였던 황주황보씨를 지키기 위해 호족세력의 이해를 대변해 그 실시를 중지하도록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슬하에 경종, 효화태자, 천추전부인, 보화궁부인, 문덕왕후 등을 뒀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본관 :
    황주(黃州, 지금의 황해도 황주군)
    시호 :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
  • 대목왕후 大穆王后
    고려전기 제4대 광종의 왕비.|생애 및 활동사항 태조의 셋째딸이며, 어머니는 신정왕태후(神靜王太后) 황보씨(皇甫氏)이다. 광종이 956년(광종 7)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을 실시하려 하자 노비들이 그 주인을 배반하는 풍조가 성행하였으므로, 이 법의 실시를 중지하도록 건의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생으로는...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왕후
    유형 :
    인물
    직업 :
    왕비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목왕후 Queen Daemok, 大穆王后
    왕족 정보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4대 국왕인 광종의 황후이다. 태조 왕건과 신정왕후의 딸이며, 제5대 왕 경종의 모후이다. 성과 본관은 외가를 따라 황주 황보씨(黃州 皇甫氏)이며, 정식시호는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安靜宣明懿正信敬恭平靜睿大穆王后)이다. 태목왕후...
    도서 위키백과
  • 왕건의 여인들
    붕어하고 난 후 40년을 더 살다 성종 2년(983) 여든을 넘긴 나이로 사망했다. 신정왕태후가 죽었을 당시 칭호는 사실 명복궁대부인이었다. 대종 욱과 대목왕후를 낳아 명복궁대부인이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왕태후가 되었을까. 《고려사》 〈후비전〉 서문에 따르면, 태후의 칭호는 왕모에게 주어진 것으로 고려...
  • 원경왕후 조선 태종의 비
    소식을 전해주자 비로소 집으로 들어갔다. 그녀의 강인한 면모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이 사건은 여흥 민씨 가문의 두 대군부인의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 이방간...남편이 패하면서 토산으로 함께 귀양을 떠났다. 반대로 원경왕후 민씨는 남편이 세자에 책봉되면서 세자빈으로서 정빈(貞嬪)에 봉해졌고, 그해 11월...
    출생 :
    1365(공민왕 14)
    사망 :
    1420(세종 2)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
    인목왕후나 아버지 김제남은 재앙을 자초한 면이 있었다. 조선시대 왕비는 입궁하면 대략 1천 결 정도의 왕실토지에 대한 수세권을 얻는다. 이는 매년 1천 가마 이상의 수입을 의미한다. 그녀의 재산은 친정인 명례동에 마련한 서제소(書題所)의 차지(次知) 오윤남이 관리했다. 1603년(선조 36년) 정명공주가 태어나면서...
  • 인현왕후
    그로부터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대궐에서 소식이 왔다고 한다. 숙종은 인현왕후의 복위와 동시에 중전 장씨를 옛 작호인 희빈으로 강등하고, 예전에 머물던...민씨가 사가에 있을 때 귀인 김씨와 함께 은화를 모아 복위를 도모하고 있다.”는 대목이 있었다. 그가 폐비를 감시하고 있던 정황이 드러난 것이다. 의금부...
  • 신정왕후 (고려) Queen Sinjeong (Goryeo), 神静王后
    三重大匡)을 지내고 충의공(忠義公)의 시호를 받은 황보제공(皇甫悌恭)의 딸로 태어났다. 남편 태조와의 사이에서 성종의 아버지 대종과, 제4대 왕 광종의 부인 대목왕후 등 1남 1녀를 낳았다. 그녀는 태조가 즉위 이후 맞아들인 부인중 두번째 추존 왕태후로, 이미 왕후와 여러 부인이 있었기 때문에 태조에 의해 후궁...
    도서 위키백과
  • 문덕왕후 Queen Mundeok, 文德王后
    왕족 정보 문덕왕후 유씨(文德王后 劉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다. 광종과 대목왕후의 3녀이자 성종의 제1비이다. 본관은 충주이다. 광종과 대목왕후의 딸이며, 유(劉)씨 성은 친할머니인 신명순성왕후의 성씨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원래 태조와 헌목대부인의 손자이자 수명태자의 아들인 홍덕원군 왕규...
    도서 위키백과
  • 고려의 왕후 목록 高麗王后, 高丽君主配偶列表
    제3대 정종定宗 문공왕후文恭王后 945년~ ? 승주 박씨 昇州 朴氏 안릉安陵 박영규 朴英規국대부인 견씨 國大夫人 甄氏 문성왕후文成王后 제4대 광종光宗 대목왕후大穆王后 949년 ~ ? 황주 황보씨黃州 皇甫氏 태조 太祖신정왕후 神靜王后 제5대 경종景宗 헌숙왕후獻肅王后 헌승황후 憲承皇后 경주 김씨慶州 金氏 영릉...
    도서 위키백과
  • 헌정왕후 Queen Heonjeong, 献貞王后
    고려 왕실 가계도 【태조 ~ 현종】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후 제1대 태조 신정왕후 정덕왕후 신성왕후 제2대 혜종 제3대 정종 제4대 광종 대목왕후 추존 대종 선의왕후 추존 안종 제5대 경종 문덕왕후 제6대 성종 헌애왕후 헌정왕후 제7대 목종 제8대 현종 조부 : 태조(太祖, 877~943) - 제1대 국왕 조모 : 신정왕후 황보씨...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