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현왕후
    서인과 남인의 당쟁이 극한으로 치닫던 숙종 시대에 인현왕후 민씨는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면서 함께 폐출되었고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에게 중전의 자리를 빼앗겼지만 갑술환국으로 남인들이 철퇴를 맞자 때 중전으로 복위하면서 국모로서의 명예를 되찾았다.|조선 왕조 5백 년 동안 수차례 일어난 정변과 찬...
  • 인현왕후 仁顯王后
    조선후기 제19대 숙종의 왕비. 계비.|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아버지는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이며, 어머니는 은진송씨(恩津宋氏)로 송준길(宋浚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1년(숙종 7) 가례(嘉禮)를 올리고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예의가 바르고 덕성이 높아 국모로서 만백성의 추앙을 받았...
    시대 :
    조선
    출생 :
    1667년(현종 8)
    사망 :
    1701년(숙종 27)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사환국, 갑술옥사
    직업 :
    왕비, 계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인현왕후 조선 숙종의 계비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계비. 인경왕후가 죽고 서인들이 집권한 뒤 1681년 숙종의 계비가 되었으나, 왕자를 낳지 못해 왕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데다가 숙원 장씨가 왕자를 낳자 서인과 남인 간의 권력다툼 과정에서 희빈 장씨와 함께 희생양이 되었다. 1689년 2월 송시열 등 노론이 윤을 원자로 책봉하는 데 반대...
    출생 :
    1667(현종 8)
    사망 :
    1701(숙종 27)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
  • 한 남자를 사랑한 두 여인의 비극, 인현왕후 vs 장희빈
    우리나라 역사 인물 중에서 사극의 주인공으로 가장 많이 등장한 인물은 누구일까요? 정답은 숙종의 후궁 장희빈이에요. 1961년 영화 〈장희빈〉이 만들어진 이후, 지금까지 장희빈을 주제로 한 영화와 TV 연속극이 무려 여덟 편이나 제작되었어요. 희빈 역을 했던 연기자들도 모두 당대를 대표하는 스타였으니, 장희빈...
  • 인현왕후 (관련어 인현 왕후) Queen Inhyeon, 仁顕王后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계비이다.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여양부원군 민유중과 은성부부인 송씨(송준길의 딸)의 차녀(次女)이다. 가문의 당적은 부계·모계 모두 그녀의 외조부인 송준길이 효종~현종 때 당수로 군림했던 서인 산당(山黨)이었...
    도서 위키백과
  • 인현왕후 (드라마)
    작품으로, 1988년 1월 13일부터 1988년 10월 13일까지 방영되었던 문화방송 수목드라마이다. 이제는 고전으로 남은 사랑하고 복수의 파노라마 희빈 장씨와 인현왕후 사이에서 대립각 및 변덕스러운 임금 숙종의 행각과 함께 정치적으로는 붕당정치를 가속화시킨 불행한 시기를 재조명했다. col-3 박순애(인현왕후...
    도서 위키백과
  • 왕자의 출생과 기사환국 (관련어 인현왕후)
    숙종이 처음 맞아들인 인경왕후는 삼십의 젊은 나이로 하세하였으므로 모친 명성왕후가 친히 중궁을 다시 간택하여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 민씨를 맞아 가례를 올렸다. 그녀가 바로 인현왕후였다. 인현왕후는 현숙하고 인자하며 천품이 국모의 자격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가례를 지낸 지 6년이 지나도록 태기가 없...
  • 인현왕후 인현왕후민씨덕행록(仁顯王后閔氏德行錄), 仁顯王后傳
    작자 및 이본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은 궁중이라는 특수층을 배경으로 하는 궁중문학이자 숙종 당시의 궁중을 배경으로 왕가 일문에서 인현왕후가 겪어야 했던 생애를 소설체로 엮은 작품이다. 작자는 인현왕후를 모시고 있던 궁인이 쓴 여성의 작품이라는 설이 있으나, 최근의 연구로는 왕후 폐출에 반대하였던...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인현왕후 복위 남인이 몰락하다
    서인인 김만중이 숙종의 인현왕후 폐위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아 소설 『사씨남정기』를 쓰고 죽었다(1692년). 숙종은 이를 읽고 자신이 희빈 장씨에게 눈이 멀어 인현왕후를 대궐 밖으로 쫓아낸 일을 후회하기 시작했는데, 때마침 서인 김춘택이 인현왕후(폐비 민씨) 복위 운동을 벌였다. 남인 민암 등은 이를 반대하며...
    시대 :
    1694년
    국가/대륙 :
    한국
  • 명릉 숙종과 인현왕후·인원왕후의 능
    명릉은 제19대 숙종(1661~1720)과 계비 인현왕후 민 씨(1667~1701), 인원왕후 김 씨(1687~1757)의 능이다. 숙종과 인현왕후의 능은 동원쌍분으로 조영하고 인원왕후의 능은 오른편 언덕에 단릉으로 모셔 쌍릉과 단릉, 동원이강의 특이한 형식을 볼 수 있다. 숙종은 1674년 13세의 나이로 왕에 오른 후 46년 동안 재위...
  • 인현왕후 仁顯王后傳
    원제는 〈인현성후덕행록 仁顯聖后德行錄〉이며 〈인현왕후민씨덕행록〉·〈민즁뎐덕녹〉·〈민즁전긔〉라고도 한다. 인현왕후를 모셨던 궁인의 작품으로 추측되었으나 최근 왕후 폐출에 반대한 남성의 작품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 주인공 민비의 출생에서 시작하여 숙종의 계비가 되어 겪은 사건을 그린 내용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옥책 肅宗繼妃 仁顯王后 追上尊號 玉冊
    유물설명 영조 52년(1776) 숙종의 제1계비(繼妃) 인현왕후(仁顯王后, 1667~1701)에게 ‘장순(莊純)’이란 존호(尊號)를 올리며 제작한 옥책이다. 1776년 정월, 영조의 꿈에 선왕(先王)의 신명(神明)이 나타나 영조의 효성과 영조의 계비(繼妃)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어짊을 칭찬한 것을 계기로 신하들이 존호를 올릴 것...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4.8cm, 길이: 140.2cm, 두께: 1.6cm, 폭: 17.0cm, 편폭(片幅): 3.3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건

고양 서오릉 중 명릉 정면
명릉(明陵)
명릉(明陵)
인현왕후 신도비
인현왕후 필적
인현왕후 vs 장희빈
인현왕후 한글 편지
인현왕후를 지키는 무인상
인현왕후의 한글편지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옥책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금보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금보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금보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옥보
숙종계비 인현왕후 추상존호 금보
더보기